소개글
"사회복지실천 장수상회영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화 '장수상회'의 사례분석
2.1. 영화 '장수상회'의 내용 요약
2.2. 영화 '장수상회'의 가계도
2.3. 영화 '장수상회' 주인공의 문제점
3. 치매 대처 방법에 대한 고찰
3.1. 치매당사자에 대한 접근
3.2. 가족에 대한 접근
3.3. 지역사회에 대한 접근
4. 치매 대처 방법의 개선점
4.1. 치매당사자에 대한 제언
4.2. 가족에 대한 제언
4.3. 지역사회에 대한 제언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 사회는 급격한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고, 그 과정에서 국민의 생활수준도 급격히 높아지게 되었다. 과학 발달에 따라 의료기술도 발달하게 되었는데 그로 인해 인간의 평균수명이 과거보다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로 인해 노인인구가 급증하게 되었고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서 치매 노인의 수도 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치매 노인을 돌보는 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누구나 알고 있는 것처럼 치매는 정신 질환의 일종으로 언어능력, 기억력, 시공간 능력, 인격 및 인지력 등과 같은 다양한 인간의 정신활동 중 최소한 3가지 이상의 영역에 장애가 발생한 것이다. 그로 인해 지적기능의 연속적인 손상이 초래되는 질병이 바로 치매이다. 기본적으로 치매에 걸린 환자는 자립도가 약화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노인인 경우는 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그에 따라 가족의 부양에 대한 부담도 증가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회복지적인 측면에서의 접근과 개입이 필요하다.
2. 영화 '장수상회'의 사례분석
2.1. 영화 '장수상회'의 내용 요약
영화 '장수상회(2014)'는 70대인 성칠과 금님의 인생의 마지막일지 모르는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이 영화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노년층이 겪고 있는 치매를 주요 소재로 다룬다. 사실 그동안 치매를 소재로 다루었던 국내 영화 및 드라마를 보면 치매에 대해 어둡게만 그리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그런 작품들에 비해 '장수상회'는 치매를 조금은 다르게 그리고자 노력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영화를 보면 가족과 지역사회가 치매에 걸린 노인을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그에 함께 대처하는 분위기가 그려지기 때문이다. 이는 이 영화가 가지고 있는 큰 장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영화에도 아쉬운 점이 있는데, 치매로 인하여 발현되는 각종 증상이 각 시기에 맞지 않게 뒤섞여 있다는 점이다. 일을 할 수 있는 멀쩡한 체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성칠)가 자신의 가족을 송두리째 몰라보는 일은 사실 거의 없을 수 없는데 주인공은 그런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장면은 치매에 대한 큰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치매라는 질환에 대해 지나치게 암울하게만 다루지 않았다는 점에서 볼 때, 이 영화는 상당히 의미 있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영화 말미에 알 수 있는 반전이 있는데, 단순 이웃으로만 생각했던 성칠과 금님은 원래 부부였다는 사실이다. 즉, 두 부부는 슬하에 장수(아들)와 민정(딸)을 두었던 것이다. 극중 장수는 사별을 했고, 민정은 이혼을 했다. 마치 성칠의 아들 장수, 금님의 딸 민정으로 그려졌던 내용에 반전이 마지막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한 가족이었는데, 성칠의 치매로 인해 앞의 에피소트가 펼쳐진 것이다.
2.2. 영화 '장수상회'의 가계도
클라이언트 김성칠과 아내 금님은 원래 부부였다. 슬하에 아들 김장수와 딸 김민정을 두었다. 김장수는 아내를 사별하였고, 김민정은 이혼을 했다. 즉, 영화 속에서 단순 이웃으로 비춰지던 김성칠과 금님은 실제로는 부부였으며, 장수와 민정이...
참고 자료
오현숙 외(2008). 가족부양자의 노화과정에 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노년학연구.
김수영‧김진선‧윤현숙(2004),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요인. 한국노년학.
김영욱‧변상해(2020).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삶의 질, 스트레스,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민진희‧배정이‧김윤정(2010). 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치매노인의 부양부담, 국가위기관리학회,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영화 <장수상회>, 2014.
배선표, 인지증(치매)에 대한 이해와 환자 대처법 (100세 장수시대, 고령자와 그 가족들이 꼭 읽어 봐야 할 돌봄 지침서!!), 이지출판, 2021.
김경애 외, 치매케어 (예방.재활.케어.사례), 문예미디어, 2015.
치매안심센터 홈페이지 (ansim.ni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