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이태원 참사 원인 및 대응방안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이태원 참사 개요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이태원 참사 원인 분석
2.1. 소규모 공간에 밀집된 인파
2.2. 밀집에 대한 안전 인식 부족
2.3. 정부 및 지자체의 관리 소홀
2.4. 사건 발생 후 대응 미흡
3. 이태원 참사 대응 방안
3.1. 위험 지역 인프라 개선
3.2. 대규모 행사 관리 체계 정비
3.3. 재난 대비 교육 강화
3.4. 공권력의 적극적 개입 필요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이태원 참사 개요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이태원 세계음식거리에서 할로윈 축제를 즐기려는 수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30일 오전 9시30분 기준, 이태원 핼러윈 참사로 151명이 숨지고 82명이 다쳐 총 23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고의 주된 원인은 '미는 힘에 의한 전도(넘어짐) 및 압사'로, 압력에 의해 흉부가 압박되면서 숨을 쉬지 못해 숨진 외상성 질식사가 발생한 것이다. 특히 사상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해밀턴 호텔 옆 이태원로 173 인근 골목은 폭 4m, 길이 40m에 불과한 양쪽 끝에 턱이 있는 내리막길이었으며, 주변에서 울려 퍼진 큰 소음과 혼잡한 상황이 피해를 키웠다. 사고에 대비해 경찰 인력들이 배치되었지만 10만여 명에 달하는 인파를 온전히 통제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이번 이태원 참사는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한 대참사로, 정부와 지자체의 안전 관리 부실, 시민들의 안전 의식 부족, 그리고 사고 발생 시 대응 실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참담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이태원 참사의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향후 유사한 대규모 재난 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국가적 재난 관리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2. 이태원 참사 원인 분석
2.1. 소규모 공간에 밀집된 인파
작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모여 있었다는 것이 이태원 참사의 가장 큰 원인이다. 사상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해밀턴호텔 옆 이태원로 173 인근 골목은 폭 4m, 길이 40m에 불과한 양쪽 끝에 턱이 있는 내리막길이었다. 골목길 끝에는 번화가와 이태원역 1번 출입구가 이어져 있어 인파가 더욱 몰렸다. 군중행동 분석가 메흐디 무사이드에 따르면 이태원 압사 참사 때 1제곱미터(m2) 당 최소 8명, 최대 10명의 사람들이 몰려 있었다고 추정된다. 1m2는 약 0.3평으로 사람이 숨을 쉴 수 없는 정도의 밀도였다. 3년 만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많은 인파가...
참고 자료
김지수 기자. 2022.10.30. "최악의 참사 사고 원인은"...이태원 압사 사망 사건, 너무 끔찍했던 당시 상황
출처:살구뉴스 - 세상을 변화시키는 감동적인 목소리(https://www.salgoonews.com)
김우현 기자 2022-11-01 ‘군중 행동’ 전문가가 바라 본 이태원 참사[한입과학]
출처: https://www.mk.co.kr/news/society/10512645
김원기자. 2022.11.01. [단독] 해밀톤호텔 불법 건축이 '3.2m 병목' 만들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3947#home
경찰, '이태원 참사' 서울청·용산구청 등 6곳 압수수색 종료
조성필 저, 아시아경제,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