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작물생리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경북대 작물생리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북대 잡초방제학

3. 용어 정의 및 잡초 분류
3.1. 잡초의 개념
3.2. 생활형에 따른 잡초 분류
3.3. 형태적 특성에 따른 잡초 분류

4. 농경지 잡초 방제법
4.1. 기계적 방제법
4.2. 화학적 방제법
4.3. 생태적 방제법
4.4. 생물적 방제법

5. 자원식물의 활용
5.1. 자원식물의 정의 및 특징
5.2. 약용식물
5.3. 친환경 농업

6. 자원식물의 고부가가치화
6.1. 고기능성 품종 개발
6.2. 의약품 개발
6.3. 화장품 및 반려동물 펫푸드 개발
6.4. 고부가가치 작물 재배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경북대학교에서 진행된 잡초방제학 연구는 작물 생산 및 농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잡초는 인간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자라나는 식물을 의미하며, 이는 작물 생산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경북대학교의 잡초방제학 관련 연구 내용을 토대로, 잡초의 정의와 분류, 농경지에서의 잡초 방제 방법, 자원식물의 활용 및 고부가가치화 방향 등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물 생산과 농업 발전을 위한 잡초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 경북대 잡초방제학

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분류할 경우 1년생 잡초, 2년생 잡초, 다년생 잡초로 나눌 수 있다. 1년생 잡초는 1년 미만의 기간에 생장과 결실, 소멸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계 1년생 잡초와 동계 1년생 잡초가 있다. 2년생 잡초는 1년 내지 2년 사이에 생장하고 결실하여 죽는 잡초이며, 다년생 잡초는 다년에 걸쳐 생존하는 잡초이다.

잡초를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벼과 잡초, 방동사니과 잡초, 광엽 잡초로 나눌 수 있다. 벼과 잡초는 원통형의 줄기와 잎맥이 있으며 벼, 억새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방동사니과 잡초는 벼과 잡초와 유사하지만 줄기를 횡으로 자르면 삼각형 모양을 보이며 잎혀와 잎귀가 없다. 광엽 잡초는 잎이 넓적한 잡초로 토끼풀, 쑥 등이 포함된다.

농경지의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으로는 기계적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 생태적 방제법, 생물적 방제법이 있다. 기계적 방제법은 잡초를 손이나 농기계로 직접 제거하는 것이며, 화학적 방제법은 제초제를 사용하여 잡초를 사멸시키는 것이다. 생태적 방제법은 잡초의 생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잡초의 경합력을 약화시키고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멀칭과 윤작 등이 대표적이다. 생물적 방제법은 천적 곤충이나 미생물을 활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다.

이처럼 농경지의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잡초의 생활형과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제법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화학적 방제법의 남용에 따른 환경 및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해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방제법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3. 용어 정의 및 잡초 분류
3.1. 잡초의 개념

잡초는 인간의 농경 및 경작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자연적으로 자라나는 여러 가지 풀들을 의미한다. 잡초라 불리는 이유는 풀이 자라나는 시간적 또는 장소적 환경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인간이 노력을 기울이는 임업이나 농업 등에 해악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한때 잡초였던 것이 이후 어떠한 용도를 인정받아 잡초가 아닌 것으로 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잡초인지 아닌지 여부는 인간에 의해 판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잡초를 올바로 분류해야 하는 까닭은 잡초의 분류에 기초하여 잡초의 방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3.2. 생활형에 따른 잡초 분류

1년생 잡초는 1년 미만의 기간에 걸쳐 탄생 및 소멸하는 잡초이다. 1년생 잡초는 하계 1년생 잡초와 동계 1년생 잡초로 구분된다. 하계 1년생 잡초는 봄에 발아하여 여름 동안 성장하고 가을에 결실한 후 죽는다. 대표적인 하계 1년생 잡초로는 쇠비름과 바랭이가 있다. 동계 1년생 잡초는 가을 내지 늦겨울에 발아하여 봄에 성장하고 봄에서 여름 사이에 결실한 후 말라 죽는다. 대표적인 동계 1년생 잡초로는 둑새풀과 냉이가 있다. 2년생 잡초는 1년 내지 2년 사이에 생장하고 결실하여 죽는 잡초로, 엉겅퀴와 나도냉이 등이 해당된다. 다년생 잡초는 다년에 걸쳐 생존하는 잡초로, 민들레, 질경이, 애기수영, 올방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년생 잡초 중 구근형 잡초로는 야생 마늘이 있으며, 포복형 잡초로는 구경, 덩이줄기, 땅속줄기 등이 있다.


3.3. 형태적 특성에 따른 잡초 분류

잡초를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할 경우에는 잎과 줄기의 생김새 등 겉으로 보기에 어떠한 형태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게 된다. 이처럼 형태적 특성을 기준으로 할 경우 벼과 잡초와 방동사니과 잡초 및 광엽 잡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벼과 잡초는 원통형의 줄기를 갖고 있으며, 줄기의 마디마디 사이가 비어 있다. 열매가 영과이고, 잎은 잎집과 잎몸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잎몸에는 잎맥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로서 강아지풀, 갈대, 억새, 피 등이 벼과 잡초에 해당한다.

방동사니과 잡초는 벼과 잡초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벼과 잡초와 달리 줄기를 횡으로 자를 경우 삼각형 모양...


참고 자료

권오석, 잡초의 생물적 방제에 관한 국내외 기술동향 분석,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옥환석/변종영, 유기농 재배에서 잡초방제기술의 동향 및 전망, 韓雜草誌 31권 1호
한종헌 (2019) 제주 식물자원을 이용한 천식 의약품 활성소재 연구 제주대학교
안수용 (2015) 강원 백두대간 자생 자원식물 특성과 기능성 물질 탐색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정혜일 (2020) 한방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하굑 뷰티융합대학원
정현철 (2022) 친환경농업자재 활용 실태 및 개선 과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전순은 (2008) 친환경농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한 대신문 손수정기자 미래농업의 청사진 LED 식물공장 2009,03,22
유교음식문화에 나타난 조화의 태도, 전병술, 한국환경철학회, 2016, vol no21, p145-169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김미영,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Vol.0 No.72
가정과 연계한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식습관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하지영,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Beardsworth, Alan 및 Keil, Teresa. 메뉴의 사회학 : 음식과 사회 연구로의 초대(1). 미국 런던: Routledge, 2002. 프로퀘스트 에브리. 편물. 2016년 11월 21일.
사상체질에 따른 계절별 한식 코스 상차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선영, 2010, 국내석사
NFMK 03Vol.297 민족소식, 박문수, 국립민속박물관, 2024.02.29.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음식 백가지 1, 한복진 외2인, 현암사, 1998
문화원형백과 재미있는 세시음식 이야기,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국립중앙도서관, 2010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 국립중앙도서관, 200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