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자별 간호전문직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5.06.05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학자별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 정의

2. 문헌고찰
2.1. 전공만족도
2.2. 사회적지지
2.3. 간호전문직관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5. 자료분석방법
3.6. 연구의 윤리적 고려

4. 연구결과 기대효과 및 활용
4.1. 교육적 측면
4.2. 실무적 측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의문의 폐렴으로 시작한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팬데믹은 강력한 전염력과 빠른 전파 속도로 폭발적인 감염자 수를 만들어내며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에서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도록 이끌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세계적대유행(pandemic) 현상은 그 동안 진행해 온 학습방법에 대해서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지금까지 가장 고전적인 학습방법은 학습자가 학교라는 공간에 직접 가서 대면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이었다면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 사회는 엄청난 변화 속에서 초ㆍ중등학교, 대학교까지 학습이 비대면 수업이 일반화되었다. 교육부에서는 거리두기 단계별 체계 기준에 의한 격상에 따른 학사운영 조치사항으로서 비대면수업을 권고하였다. 이러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비대면수업으로의 급변하는 상황은 학생과 교수자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하였다. 간호학과는 교육과정에서 국가시험 전공교과목 총 학점은 평균 이론 43학점, 실습 24학점으로 구성되어 대면수업이 필요한 실습수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면수업의 중요도가 높다. 이렇듯 간호학과 수업방법은 대면수업이 상당히 요구되고 있으나, 예측하지 못했던 사회적 상황 속에서 비대면수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지각하는 정도를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비대면수업의 '편리하고 수월함'보다는 대면 수업의 '상호작용의 충분함'을 더 그리워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비대면수업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 방역체계는 일상생활에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20-30대 연령층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2021년도 코로나19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 보고에 의하면 19세이상 성인에서 20대가 자살생각률 22.5%, 심리적 지지자 '없음' 12.1%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20대인 대학생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취약한 인구집단임을 알 수 있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성공적인 대학생활과 학업성취도를 위해서는 교수-학생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일반화된 비대면 수업방식은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제한된 실정이다. 이에 비대면수업 방식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이며 학생 간 교육격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코로나19 이후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의 목적

코로나19 이후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사회적지지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와 비대면 수업이 일반화되면서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감소하였다. 이는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3. 용어 정의

전공만족도란 개인이 결정한 전공에 대한 기대치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에 대한 수준과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사람들에 의한 평가정도를 의미한다.

사회적지지란 한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적응할 수 있도록 주변의 의미 있는 사람들로부터 받는 지원이다.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에 대한 이해의 정도와 간호를 무엇인지를 뜻하는 간호관에 직업의 의미를 결합시킨 개념이다.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 간호계의 역할, 간호의 독자성 등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문헌고찰
2.1.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란 개인이 결정한 전공에 대한 기대치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에 대한 수준과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변사람들에 의한 평가정도를 의미한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경우 학과적응을 잘하고 학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간호직에 대한 태도나 가치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하며 학과 수업 및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는 간호전문직에 대한 가치관이나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에 대한 자신의 태도와 목표가 분명하며 졸업 후에도 간호사로서 직업에 대한 기대와 간호사에 대한 정체성이 확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에 대한 불만족은 간호대학생들이 추후 간호사가 되었을 때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올바른 신념과 태도를 형성하는데 장애가 되며 이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혼란과 부정적인 시각으로 이어져 결국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전공만족도는 졸업 후 자신의 진로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 결과,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은 통계적으로 강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 또한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공 공부에 대한 부담감과 졸업 학년으로 국가시험을 앞둔 상황에서 이론과 실습 교과목 전체가 비대면 동영상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매우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해서는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간호교육 과정에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지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2.2. 사회적지지

사회적지지는 한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적응할 수 있도록 주변의 의미 ...


참고 자료

강경숙, 고영숙 (2016).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2), 179-189.
강현숙, 조결저, 최남희, 긴원옥 (2002), 내러티브를 통한 임상간호사의 간호정체성, 대한간호학회지, 32(4), 470-481.
고정은, 김미희, 김은지, 김혜지, 엄지은, 이행아, 장누리, 장동은 (2011),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일 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간호학회지, 29-44.
교육부 (2020.12.7.).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에 따른 학사 운영 조치사항 등 안내.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82885&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에서 2021년 5월 12일 인출.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권현주, 남영희 천의영. (2012). 보건행정학과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3(2), 17-27.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 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연구, 1(1), 7-20.
김귀분,김혜숙,이경호 (2001), 간호사의 업무갈등, 대한간호학회지, 31(3), 492-505.
김덕진, 이정섭 (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 244-254.
김미원, 박정모, 한애경 (2011).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3), 416-425.
김미화, 서지영 (2021).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수강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 77-86.
김분한, 정복례, 김진경, 이애영, 황선영, 조준아, 김정아 (2013). 우리나라 간호인력 수급 현황 및 향후 전망. 한국성인간호학회지, 25(6), 701-711.
김상남 (2020).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비대면(on-line) 수업의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477-491.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김영선, 김향하, 김정이 (2021).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2), 171-184.
김원종·이중근 (2021).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인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247-250.
김윤희 (2012), 남자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자숙, 박아영 (2020). 코로나19(COVID-19) 비대면 온라인 학습 참여자의 자기통제력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8(9), 453-461.
김태경, 박연경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3), 1-13.
김희정 &, Sherman D. K. &, Taylor S. E. (2008), Culture and Social Support, American Psychologist, 63(6). 518-526.
김희정 (2017).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자기주도학습, 대학 몰입의 경로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40-50.
류영옥, 고은 (2015).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2(1), 7-15.
문미영, 황선영 (2016).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403-418.
박미정, 전원희 (2016).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1), 34-41.
박재우 (2020).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돌봄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주옥, 권혜진, 성석용 (1995). 임상간호사의 간호 전문직 태도와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중앙의대지, 20(1), 79-87.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현미, 석자영, 박소연, 이소영 (2020).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7(5), 1151-1158.
박현정, 오재우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 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17-426.
박현주 (2015).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2), 227-236.
방경숙, 조진경 (2008).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료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과학회지, 14(1), 88-97.
보건복지부 (2021.5.6.). 2021년 1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발표.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65582에서 2021년 5월 11일 인출.
서미, 최보영, 조한익. 2006.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7(2), 271-288.
서병우 (2013). 대학생의 특성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3(2), 65-81.
서정화 (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태성, 송영아 (2015).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10-17.
양윤경, 한금선, 배문혜, 양승희 (2014).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스트레스연구, 22(1), 23-33.
오금숙, 이미경 (2015). 간호대학생의 융합프로그램을 이용한 인턴십 체험. 한국융합학회논문지, 6(5), 173-185.
오영란 (2004).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완, 문인오, 박숙경 (2013).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14(2), 15-27.
이경임, 정경순 (202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8(1), 77-86.
이경혜 (2016).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건강학회지, 6(2), 29-38.
이동재 (2004).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 성정체감, 성고정관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명희 (2018).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 인문사회 21, 9(4), 1605-1620.
이상영, 정진욱, 황도경, 손창균, 윤시몬, 채수미, 차미란, 김효진 (2015) 한국사회의 사회ㆍ심리적 불안의 원인분석과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22.
이선영, 이정숙 (2017).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사회적 지지가 학과만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12), 403-412.
이소영, 최혜진(2021).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의 일상생활 변화 잠재계층유형, 영향요인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학교사회복지, 401-427.
이수희, 정갑연 장용운. (2016). 미용관련학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과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상업교육연구, 30(3), 21-47.
이아람(2018).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진로정체 감과의 관계.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하나,김주현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임파워먼트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8), 292-300.
임선영, 김소영, 최혜미 (2015).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전문직관과의 관계. 문화기술의 융합, 1(2), 45-51.
임세미(2020).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영향요인. 융합정보논문지, 19(5), 51-59.
장문영 (2005).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효진, 임정하(2010).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67-78.
정미현, 신미아 (2006).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170-177.
조결자, 백승남(2004). 4년제 정규과정과 RN-BSN과정 간호학생의 간호관 비고. 간호행정학회지, 10(4), 417-425.
조결자, 송미령(1997). 간호학생의 간호관 형성과 변화양상. 간호행정학회지, 3(1), 17-35.
조정애, 김정선 (2016).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587-595.
최현주 (2017).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68-77.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상숙, 김명희, 윤은경 (2008).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73-79.
한승희 (2018).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7), 379-389.
한영미 (2020). 남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합학회지 18(5), 367-374.
함연숙, 김화순 (2012). 학제에 따른 졸업학년 간호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비교.기본간호학회지, 19(3) ,363-373.
허영미(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은희, 신수진 (2017).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1), 97-108.
Barro, D., West, E., & Reeves, R. (2007).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1), 46-51.
Cohen, S. & H. M. Hoberman(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gg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 Adams and B. K. Mille (2001). Professionalism in nursing behaviors of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7(4), 203-210.
Hampton, G. M., & Hampton, D. L. (2004).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The case of Certified Nurse–Midwiv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9), 1042-1053.
L. Berkman & S. Syme (1979). Social networks, host resistance, and mortality: A nine-year follow-up study of Alameda Country residen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09(2), 186-204.
Linda, Y. (2017), Professionalism in nursing, Medsurg Nurs, 26(5), 293-294
M. J. Schank & D. Weis (2001). Service and education share responsibility for nurses’ Value development. J Nurse Staff Dev, 17(5), 226-231.
M. Stroebe. & W. Stroebe (1983). Who suffers more? Sex differences in health risks of the widowed. Psychological Bulletin, 93(2), 279–301.
S. Pressman, S. Cohen, G. Miller, A. Barkin & B. Rabin (2005). Loneliness, Social network size, and immune response to influenza vaccination in college. freshman. Health Psychology, 24(3), 297-306.
Vinokur AD, Van Ryu M. 1993. Social support and undermining in close relationship; Their independent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unemployed pers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350-359.
Weis, D, & Schank, M. J. (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 32(2), 201-204.
고 명숙 외, 『간호학개론』, 수문사, 2011, p67~114
고정은 외(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권영미 외(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김미란(2008).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수행과 재직의도.
류영옥(2014).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미용(2000). 전문직의 경력계획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선아(2011). 간호사 이미지 향상을 위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서보경(1994).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 관계에 관한 연구.
정은진(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최재진(2010). 전문직적 특성의 교원 보수체계 반영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인식 연구.
간호전문직의 과제와 실천방향 / 홍여신 엮음 / 현문사 / 1998
연구를 통한 간호 지식체의 형성 / 이은옥 / p.74 ~ 93
전문간호사 교육과 방향 / 김영임 / p.191 ~ 210
간호학 개론 : 전문직론 / 김혜숙 / 현문사 / 2000
간호의 전문화를 위한 정책방향 / 김광주 / 대한간호협회 33(2) / p.65 ~ 73
전문간호사제도 개발전략 / 대한간호협회 35(5) / p.65 ~73
간호전문직 : 발전과 전망 / 신재 홍신영 석좌운영회/ 대한간호협회 / 1996
우리나라 전문간호사 제도 개선방안 / 대한간호협회 34(3) / p.34 ~ 52
간호 이미지는 창조적 전략이다 / 임미림 / 간협신보 / 2000
간호사의 복장의 형태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 / 김조자 외 4인 / 간호학회지 / 1993
‘간호이미지' 일반인들은 어떻게 느끼나 / 정규숙 / 간협신보 / 1999
ppt 참고 / 만든이 - 영남대 의료원
[메디칼타임즈 뉴스 2015.02.05 이인복 기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