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더니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1.1. 모더니즘
1.2. 포스트 모더니즘
2. 모더니즘 - 표현주의 미술교육
3. 포스트 모더니즘 - 다문화 미술교육
4. 표현주의 미술교육과 다문화 미술교육 비교 정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
1.1. 모더니즘
모더니즘은 19세기 말엽부터 유럽 소시민적 지식인들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해 20세기에 들어와 크게 유행한 문예사조이다. 기존의 사회질서와 종교, 도덕의 전통을 밑받침하고 있던 확실성에 대해 회의를 품은 니체의 허무주의, 마르크스의 유물사관과 혁명이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등의 선구적 사상들이 그 토대를 마련해놓았다. 세계를 정신적·물질적으로 황폐화시킨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모더니즘이 크게 성행했다.
모더니즘은 기존의 리얼리즘과 합리적인 기성도덕·전통적인 신념 등을 일체 부정하고,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도시 문명이 가져다준 인간성 상실에 대한 문제의식 등에 기반을 둔 다양한 문예사조이다. 19세기 예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실주의(리얼리즘)에 대한 반항운동이자,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일어난 전위예술 운동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모더니즘은 문학, 음악, 미술, 조각, 건축, 영화, 댄스 등 모든 예술 분야에 걸쳐 나타난 혁명적인 변화이다. 모더니즘은 문학에서 가장 찬란한 꽃을 피웠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모더니즘이 가진 다양성 때문에 노만주의나 사실주의와 대등한 중요한 문예사조이면서도 그 개념의 정립이 막연한 면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것은 신(新)모더니즘 혹은 후기 모더니즘이라 불린다.
모더니즘은 기성 전통과 인습과의 단절을 꾀하고 이탈하려 한다는 점에서 비전통의 전통을 가진다. 모더니즘은 19세기 부르주아 사회가 신봉한 사회적·경제적 전통이나 인습 또는 도덕적·철학적 전통과 인습을 모두 배격한다. 모더니즘은 일상적인 도덕성을 위선으로, 취향은 점잖은 도락으로, 전통은 거추장스런 구속으로 본다. 따라서 모더니즘은 전통의 짐에 대한 예술가의 깊은 관심과 함께 과거의 짐에 대한 예술가의 불안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모더니즘은 다원적이고 상대적 관점을 취하며 지극히 주관적이다. 삶은 그 정체를 알 수 없이 복잡하며 변화무쌍하다고 본다. 예술가는 상상력을 통해 창조하기에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한다. 작품에서 작가의 개입은 쓸 데 없는 설교에 불과하고 '가공할 만한 범죄'에 다름 아니다. 모더니즘에서 예술가는 성직자의 반열에 오른다. 작가란 독자와 잡담하는 존재가 아닌 진리의 전달자로 '신성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예술은 실재의 모방이 아닌 창조이기 때문이다. 예술가는 삶의 ...
참고 자료
박정애 (2017). 포스트모던 미술교육 : 미술을 통한 문화의 이해. <미술과 교육>, 18 1, 1-24.
박정애 (2017). 창의성, 어떻게 형성되는가?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미술과 교육>, 18 2, 57-71.
박정애 (2016). 미술사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미술사학>, 31, 211-237.
박정애. 미래교육의 변화와 학교교육. 한글문화사. 103-141
박정애. (2012). 차이, 정체성의 이슈와 다문화 미술교육. 미술교육연구논총, 31(0), 14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