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내용은 한국인을 위한 한국문학교육 내용과 차별화되어야 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내용과 한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내용의 차이
2.1. 학습대상의 차이
2.2. 목적과 기능의 차이
2.3. 제작의도와 목표의 차이
2.4. 구현매체의 차이
2.5. 기타 차이점
3. 한국어문학교육 내용의 차별화 방안
3.1. 학습대상 고려
3.2. 학습목적 및 기능 고려
3.3. 제작의도와 목표 설정
3.4. 교재 구현 매체의 다양화
3.5. 문학 작품 선정의 기준 마련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내용과 한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내용은 서로 다른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학습 대상의 차이, 목적과 기능의 차이, 제작 의도와 목표의 차이, 구현 매체의 차이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해하고 고려하는 것은 효과적인 한국어 문학 교육 내용을 설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한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학 교육 내용의 차별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내용과 한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내용의 차이
2.1. 학습대상의 차이
학습대상의 차이는 국어 교과서와 한국어 교재가 목적과 대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국어 교과서는 한국어가 모국어인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며,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다. 국어 교과서는 한국인 국어 교사가 가르치지만, 한국어 교재는 한국인일 수도 있고 외국인일 수도 있다. 따라서 국어 교과서의 학습대상은 한국인 초등, 중등,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들인 반면, 한국어 교재의 학습대상은 해외 거주 교포, 한국 국적을 취득한 이주민, 새터민, 결혼이민자, 다문화 가정 자녀 등이다.
2.2. 목적과 기능의 차이
국어 교과서의 교육 목표는 일상 언어생활의 원활함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 배양과 국민 문화의 전승, 창조와 국어 개선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즉, 공동체적 목적이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로 한국어 자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언어사용능력, 사회적 소통능력, 국어문화의 계승과 발전 등에 깊은 목적을 두고 있다. 국어 교과서로 이루어진 국어교육은 성취도나 숙달도 차원보다는 과정적이고 수행적인 종합 평가를 통해 평가해야 한다.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의 사용 능력의 숙달도를 높이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고 있고 문법과 어휘를 재료로 언어기능별(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교재의 학습은 성취도 평가로, 습득한 언어사용능력은 숙달도 평가 등으로 주로 평가해야 한다. 교육 목적에는 일반 목적, 특수목적(학술 목절, 직업목적)이 있다.
2.3. 제작의도와 목표의 차이
국어 교과서는 국가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해서 하향적으로 만들어졌다.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무엇'을 담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교육 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상세화하여 ...
참고 자료
이상훈, ‘사회계약’ 어긴 정치인 부정부패, 한겨레, 2004.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045485?sid=10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서울
임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교육 방안교육학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2012년
강남욱,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재론 강의 교안(2022), 배론 원격평생 교육원
국어교육론• 국어국문학과 / 김억조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dongguk/kimeokjo/8.pdf
박영순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육 제14권 3호,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2003.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dj1nhuman/222617808711
김창원 2015 교육과정을 통해 본 국어과 교육과정 발전의 논제 ―영역과 내용 체계 Published 2016
박갑수(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문화적 배경』, 『선청어문』 26집, 서울대 국어교육과
권종분(1998),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신체언어능력의 중요성 및 문화와 제스처의 관계』, 『외국어교육연구』 창간호, 서울대 외국어교육연구소
윤여탁(1999),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국어교육연구』 6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이소영∙고경민(2011),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적합성 판단과 기준 - 한국어 연수생의 문학작품 수업을 바탕으로 -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우리말교육현장학회
도혜민(2014),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학 작품 활용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교재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