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봄날 소설 분석
1.1. 작품 개요
이 소설은 1982년 봄을 배경으로 하며, 2년 전 5·18 광주민주화운동에서 친구를 죽음으로 몰았다고 생각하여 정신이상을 겪고 있는 상주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소설의 주인공 나와 그의 친구 병기, 순임은 광주사태가 잠잠해진 2년 후 상주를 만나러 남평에 위치한 요양소로 가지만, 결국 상주의 병이 악화되어 상주를 만나지 못하고 돌아온다.
이 작품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경험한 작가 임철우의 자전적인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당시 대학 4학년으로 광주사태를 목격했지만, 겁에 질려 민주화 항쟁에 직접 참여하지 못한 자신을 '비겁자'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이 소설에서 작가는 살아남은 자의 슬픔과 광주의 진실을 알리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상주라는 인물은 작가 자신을 상징하며, 광주사태의 진실을 알리지 못했던 작가의 죄책감과 자신의 비겁함을 드러내고 있다. 한편 나와 병기, 순임은 5·18과 관련 없이 현실에 충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상징한다. 이들은 유독 민감한 상주를 허약하다고 여기며, 과거의 아픔을 잊으려 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이 소설은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의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작가는 당시 겁에 질려 침묵했던 자신뿐만 아니라, 현실에 안주하며 과거의 아픔을 외면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를 통해 작가는 5·18의 진실을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1.2. 작가 소개
임철우는 1954년 10월 15일 전라남도 완도 평일도에서 태어났다.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전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개 도둑〉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그의 작품은 현실의 왜곡된 삶의 실상을 통하여 인간의 절대적 존재의식을 탐구하고 있다. 2011년 제19회 대산문학상 소설부문을 수상하였으며, 대표 작품으로는 〈사평역〉, 〈아버지의 땅〉, 〈그리운 남쪽〉, 〈붉은 산 흰 새〉, 〈불임기〉, 〈봄날〉 등이 있다.
1.3. 주제와 이미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