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급성 폐쇄성 후두염에 대한 선택 이유
급성 폐쇄성 후두염을 선택한 이유는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저산소증으로 사망할 수 있는 심각한 질병이기 때문이다. 인터넷에서 급성 폐쇄성 후두염 환자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코로나로 인해 호흡기 질환 아동이 응급실에 가지 못하고 주사만 맞고 온 보호자의 글들이 많이 올라와 있었다. 이를 통해 보호자들이 급성 폐쇄성 후두염에 대한 적절한 대처법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이 질병을 선택하여 보호자에게 필요한 간호 중재에 대해 학습하고자 하였다.
1.2. 급성 폐쇄성 후두염과 관련된 통계
급성 폐쇄성 후두염과 관련된 통계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급성 폐쇄성 후두염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13만 3,120명이다. 연령대별로는 10대 이하가 78.2%로 전체 진료 인원 중 대부분을 차지했고 성별로는 남성이 54.3%로 여성 비율인 45.7%보다 많았다. 이 통계자료를 통해 급성 폐쇄성 후두염은 대표적인 아동질환임을 알 수 있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원인과 빈도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원인과 빈도는 다음과 같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은 바이러스가 주된 원인이며,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 바이러스가 75%로 가장 흔한 균이다. 아데노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홍역 등의 바이러스도 원인이 된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발생 빈도는 계절별로 겨울에 더 많이 발생하며, 성별로는 남아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환아의 약 15%에서는 가족력이 있으며 재발의 경향이 있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 잘 생기는 나이는 3개월에서 5세 사이이다.
2.1.2. 병태생리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은 상기도 감염이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각 형태는 가장 심하게 침범되는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급성 발작성 후두염,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 급성 후두개염, 급성 기관염으로 나누어진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모든 형태는 점막의 염증과 부종으로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기도폐쇄는 영아와 어린 아동이 성인보다 더 위험할 수 있는데, 어린 아동은 기도 지름이 작고 후두가 유연하여 기도근육 경련이 더 잘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1.3. 증상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개 짖는 듯한 쇳소리 같은 기침, 흡기성 협착음, 쉰 목소리, 다양한 정도의 호흡곤란이다. 밤에 갑자기 시작되며 며칠 간 상기도 감염 증상이 선행될 수 있다. 특히 후두기관기관지염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