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읽기 텍스트 유형을 2개 이상 선정하여 그 유형에 해당하는 텍스트 예시 1개씩을 제시하고 각각의 읽기 전략을 간략히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읽기 텍스트 유형과 읽기 전략
2.1. 이야기체 텍스트의 특징과 읽기 전략
2.2. 설명적 텍스트의 특징과 읽기 전략
3. 정보 텍스트의 교수학습
3.1. 정보 텍스트 교수학습의 목표
3.2. 정보 텍스트 교수학습의 지도 방향
4. 문학 텍스트와 문서 텍스트의 읽기 전략
4.1. 문학 텍스트의 특징과 읽기 전략
4.2. 문서 텍스트의 특징과 읽기 전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과거 읽기 교육은 독해 중심의 읽기 교육이 강조되어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 강세였다. 그러나 읽기 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해독과 독해방식에서 의미를 재해석하고 유추, 비판을 하는 등 담화의 재구성까지 참여하는 의사소통 중심의 통합교육 강호로 변화되었다. 이에 텍스트 구조나 유형이 학습자의 읽기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이야기체 텍스트와 설명적 텍스트 2가지 읽기 텍스트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읽기 텍스트 유형과 읽기 전략
2.1. 이야기체 텍스트의 특징과 읽기 전략
이야기체 텍스트는 일정하고 예측 가능한 인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텍스트는 초급과정에서 많이 이용되며, 열거나 나열의 형태가 많고, 이야기나 사건의 흐름이 시간 순서로 되어있어 이해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이야기체 텍스트의 독자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사전 지식이나 배경을 통해 텍스트를 이해하고 회상하는 이야기 스키마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읽기 전 단계에서는 이야기 내용을 예상하여 자신의 사전지식이나 경험을 회상하고, 글이 어떠한 형태로 진행될지 예상해야 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어려운 어휘나, 내용들을 사전에 설명하여야 하며, 사전 질문을 만들어 학습자들이 읽으면서 그 질문의 답을 찾을 수 있도록 흥미를 주어야 한다.
읽기 본 단계에서는 학습자는 글의 요지가 무엇인지, 글을 읽으면서 다음 내용을 예측하여 그 예측이 맞는지 틀리는지, 사전 질문의 답은 무엇이었는지 생각하며 읽을 수 있다. 읽기 후 단계에서는 얼마나 이해했는가를 파악하고, 사전 질문의 답을 서로 공유하여 토론을 하거나 독후감 등 작문으로 이어나가 읽기의 기억력을 높이는 활동이 필요하다. 이야기체 텍스트는 초급과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어 읽기 교육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쉽게 텍스트의 ...
참고 자료
김하령(2008),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메가원격평생교육원, 교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교육론>, pp 42-50.
노명완 외, 『독서교육의 이해: 독서의 개념 · 지도 · 평가』, 한우리북스, 2011
이순영 외, 『독서교육론』, 사회평론, 201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2009
김중섭, 『한국어 교육의 이해』, 하우. 2014.
방정환, 『호랑이 형님』, 효솔,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