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당뇨발환자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당뇨발 정의 및 중요성
1.2. 당뇨병 유병률 증가 현황
2. 본론
2.1. 당뇨발의 발생 원인
2.2. 당뇨발 예방을 위한 발 관리법
2.3. 당뇨병성 족부 궤양 예방 및 관리
2.4. 발 관리 교육의 필요성
2.5. 발 관리 교육 내용 및 방법
3. 결론
3.1. 당뇨발 관리의 중요성
3.2. 당뇨발 예방을 위한 실천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당뇨발 정의 및 중요성
당뇨발은 당뇨병과 관련되어 발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적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의 진단이다. 당뇨병의 유병률은 지난 30여년 동안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5%에서 8%로 두 배가량 증가한 반면 우리나라는 1.5%에서 7-9%로 무려 5-6배 증가하였다. 2010년 국내 당뇨병 환자는 전 국민의 약 9%인 3백3십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당뇨환자의 20%가 발의 문제로 입원하게 되고, 당뇨병성 족부궤양이 발생하는 경우는 약 15% 정도이며 비외상성 다리 절단의 약 50-70%가 그 원인이 당뇨로 인한 발 문제였다. 따라서 당뇨발의 문제의 시작인 족부 궤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기왕에 발생한 궤양이 절단으로까지 진행하지 않도록 적절한 처치를 하는 것이 당뇨발 치료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다.
1.2. 당뇨병 유병률 증가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 1.5%에서 7-9%로 무려 5-6배 증가하였다. 2010년 국내 당뇨병 환자는 전 국민의 약 9%인 3백3십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미국의 경우 5%에서 8%로 두 배가량 증가한 것에 비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의 급격한 상승이 두드러진다. 이처럼 당뇨병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그에 따른 환자와 가족을 포함한 사회 경제적 문제가 국가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당뇨병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예방이 시급한 실정이다.
2. 본론
2.1. 당뇨발의 발생 원인
당뇨발의 발생 원인은 오랜 기간 고혈당증에 노출되면서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과 말초 혈관의 기능 장애 또는 폐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고혈당은 말초신경을 손상시켜 감각 저하와 운동 장애를 유발한다. 또한 말초혈관의 기능 저하와 폐색으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 손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당뇨병성 족부 궤양이 당뇨발의 시작점이 된다.
2.2. 당뇨발 예방을 위한 발 관리법
매일 2회 이상 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에 물집이나 색깔 변화, 냄새, 고름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특히 발가락 사이를 하나하나 확인해야 한다. 발에 이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이다.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등의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도 당뇨발 예방을 위한 중요한 관리 방법이다. 당뇨병의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혈당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발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데, 미지근한 물로 부드럽게 닦고 깨끗이 말리는 것이 좋다. 물에 오래 담그면 피부가 ...
참고 자료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유양숙 (2011). 성인간호학 하권(5판). 서울: 현문사
이경순, 이미경, 김경희 (2012).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서울: 현문사
이현주 (2002). 당뇨인의 발관리. 월간 당뇨, 146, 58-59
박혜선 (2004). 당뇨인의 발 관리는 관찰이 가장 중요합니다!. 월간 당뇨, 189(11), 26-29
최금희 (2004). 당뇨인의 발 마사지 및 관리법. 월간 당뇨, 180(11), 30-31
김재영 (2006). 당뇨병과 감염-내 발을 얼굴같이! 무서운 족부감염, 미리알고 예방하자. 월간 당뇨, 199(6), 32-36
이정림 (2007). 스스로 하는 발 관리. 월간 당뇨, 213(8), 17-20
김광원 (2007). 당뇨병성 족부 병변. 대한의사협회지, 50(5), 447-454
김신곤, 최동섭 (2008). 우리나라 당뇨병의 현황. 대한의사협회지, 51(9), 791-798
박태선, 백홍선, 박지현 (2008). 당뇨병 관리의 일반적 원칙. 대한의사협회지, 51(9), 806-812
이호승 (2013). 당뇨발의 예방과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56(3), 220-228
문미영 (1999). 당뇨병환자를 위한 발관리 교육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D. (2011).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in Korea.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5(4), 303-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