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가정 코로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가정 코로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사회간호사 역할에 대한 정의
2.1. 일차 의료제공자
2.2. 직접 간호제공자
2.3. 교육자
2.4. 상담자
2.5. 대변자-옹호자
2.6. 관리자
2.7. 의뢰자-알선자
2.8. 연구자
2.9. 변화촉진자
2.10. 협력자
2.11. 정보수집자
2.12. 조정자

3. 지역사회간호사 역할에 대한 사례
3.1. 사례 1
3.2. 사례 2
3.3. 사례 3
3.4. 사례 4
3.5. 사례 5
3.6. 사례 6

4. 결론

5. 소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코로나19의 대유행은 일상생활을 제약함으로써 대인관계를 어렵게 하는 동시에 고립으로 인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3년 현재, 위드 코로나19(with Covid-19) 시대를 맞이하면서 일상으로의 회복으로 향하고 있다. 국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수준 향상과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를 강화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역사회 중심 간호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과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역사회간호사는 지역사회라는 집단을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고 보건 교육을 실시하여 그들 스스로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능 수준으로 향상시킴에 목적을 두고,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학교, 산업장, 복지기관, 가정간호기관, 교정시설 등 다양한 기관에서 1차부터 3차 간호에 이르는 폭넓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역할에 따라 활동 영역이 다양하고 실무 현장이나 지위에 따라 업무 내용도 달라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지역사회간호사의 실제 사례를 보여준다면 지역사회간호를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역사회간호사 역할에 대한 정의
2.1. 일차 의료제공자

지역사회간호사는 지역사회 내에서 개개인이나 가족들이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본적인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간호사는 치료와 투약을 할 수 없지만, 관련 법규에 따라 독자적으로 일차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은 보건교육 실시, 예방접종, 건강사정, 기본 임상검사, 치료와 처치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학교의 보건교사와 산업장의 산업간호사 또한 외상치료, 응급처치, 투약 등의 일차보건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사회간호사는 지역사회 내에서 개인과 가족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필수적인 보건의료 서비스를 독자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지역보건 증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수준 향상에 기여한다.


2.2. 직접 간호제공자

직접 간호제공자는 지역사회간호사의 가장 오래된 역할이다.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사정하고 간호진단을 도출하며 간호사업을 계획하여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는 역할이다. 즉, 간호사로서 간호를 제공하는 역할이다.

임상간호사와 지역사회간호사의 차이점은 임상 간호는 대상자에게 초점이 맞춰진 반면, 지역사회간호사는 대상자와 가족도 포함한다는 점이다. 지속적으로 질병 예방과 최적의 건강 수준을 성취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을 지향하는 간호 제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기본 간호술뿐 아니라 여러 가지 특수 간호 기술, 신체 사정과 신체 간호 기술, 면담술과 의사소통 기술, 보건교육 기술, 상담 기술, 지역사회 단위 건강 문제 사정 및 수행 기술 등이 요구된다. 지역사회 대상자와 가족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 예방을 위해 다양한 간호기술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대상자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지역사회간호사의 직접 간호제공자로서의 역할이다.


2.3. 교육자

지역사회간호사는 건강과 관련된 습관, 건강증진 행위 등과 관련된 사항이 바람직하게 변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단순한 보건교육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받은 대상자가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돌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상자는 지역사회 전체 인구집단으로 대부분이 건강한 사람이며 건강정보를 잘 받아들이고 실천에 옮길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이 중요하므로 지역사회간호에서 강조되는 역할이다. 지역사회간호사는 대상자의 교육 요구를 사정하여 보건교육을 계획, 수행, 결과평가를 한다. 지역사회 내 코로나 및 백일해 감염 확산을 줄이고, 감염 예방 및 관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손씻기, 마스크 착용, 예방접종, 기침예절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지역사회 주민의 80% 이상이 감염 예방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감염예방 교육을 실시하며, 학교와 지역 행사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캠페인을 펼쳐 예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감염 예방 교육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주민의 교육 기회를 확대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주민의 감염 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 행동 실천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2.4. 상담자

지역사회간호사는 상담을 통해 대상자 자신이 처한 상황과 요구를 스스로 더 정확히 알 수 있도록 돕고, 자아인식을 하도록 도와 문제해결 방법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다시 말해, 지역사회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문제를 인식하도록 하고, 대상자의 문제해결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방법을 찾는 것을 도와준다. 또한, 지역사회 대상자와 지역사회주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사람과 상담이 가능하다. 즉, 상담자로서 지역사회간호사는 대상자 자신의 상황과 요구를 스스로 인식하도록 도와 문제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게 하며, 다양한 대상자와의 상담을 통해 문제해결을 지원한다.


2.5. 대변자-옹호자

의료지식 또는 의료제도 등 잘 모르는 대상자의 유익을 위해 행동하거나 그들의 입장에서 의견을 제시한다. 어떤 보건의료 자원이 대상자의 계속적인 간호를 가능하게 하는지, 무슨 보건의료를 받을 권리가 있는지, 어떤 자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지 스스로 정보를 얻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안내하고 도와준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좀 더 독립적으로 되도록 돕는다.

지역사회간호사는 대상자가 필요한 보건의료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입장에서 의료기관 또는 관련 기관과의 의사소통을 돕는다. 대상자가 자신의 건강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중재하고, 보건의료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대상자의 권리를 대변하여 지역사회 차원에서 필요한 서비스나 자원을 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노인이나 장애인 등 취약계층 대상자가 필요한 보건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연계해 주거나, 지역사회 자원의 부족으로 불편을 겪는 주민들의 의견을 대변하여 관련 부서에 개선을 요...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2022). 최신 지역사회보건 간호학1 수정판. 파주: 수문사.
김희영(2014). 김희영 교수의 지역사회 간호. 파주: 도서출판 형설.
홍현진, 노영희(2009). 건강보건관련 국제기구 지식정보원. 한국학술정보.
이만우(2021). ‘코로나19 대유행’이 가져온 정신건강 위기와 대응 정책과제. 이슈와 논점 제1880호. 국회입법조사처. 31-9735042-001341-14.
김동진(2022). 2022년 건강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2년 1월 통권 제303호, pp.25-41.
조유향, 도은영, 강경숙, 김영미, 김윤경, 류화라, 이정미, 최인희, 최희정(2017).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육 현황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8, no3.3, pp.347-356.
진영란, 김현(2016). 일 보건진료소장의 수필에 나타난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한국보건간호학회지. vol.30, no.2, pp.300-310.
성기월(2002). 보건 간호사와 임상간호사의 주된 역할,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정도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32권 2호, 219-230.
박종언. 방문간호사 역할 중요해지지만 현실은 열악한 처지. 마인드포스트. 2018.08.01.
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566
보건복지부(2021). 보건소·학계·전문가·정부가 함께 코로나19, 보건소가 나아가야 할 길을 논의한다!. https://www.mohw.go.kr/react/
차용현. 사천시, 젊은 세대 심뇌혈관질환 예방 캠페인 실시. 공감언론 뉴시스. 2023.03.06.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306_0002215546&cID=10812&pID=10800
이시현. 엄마와 아기 건강, 방문간호사가 찾아와 관리해줘요. 내 손 안에 서울. 2023.02.09.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6907
소완섭. ‘딩동~ 우리동네 주치간호사’가 찾아갑니다. 새전북신문. 2023.02.28. http://sjbnews.com/news/news.php?number=772669
이도균. 남해군보건소, 방문건강관리 전문인력 사례관리 집담회 가져. 일요서울. 2018.03.03.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191
바쁘다 바빠... 쉴 틈 없이 흘러가는 보건 교사의 하루!. 울산MBC. 2022.03.22. https://www.youtube.com/watch?v=Hdo_GXi8-hY
지역사회 건강돌봄 방문간호사가 간다!. 생생정보마당 MBN. 2022.08.12. https://www.youtube.com/watch?v=5_AmfnWmHxw
권문희, 김정임, 정혜영, 송명경. (2024).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학생용. p44-58
안산시청. 안산통계. 행정구역/동별면적. 법정동 위치도
안산시청. 최신통계. 인구현황. 2024년 6월말 안산시 동별(외국인포함) 및 연령별(외국인 미포함) 인구현황
안산시청. 정보나눔터. 관내의료기관
행정안전부. 행정동별 연령별 인구현황.
제8기 안산시 지역보건의료계획(2023년~2026년). 안산시(상록수⦁단원보건소). 2023.3
안산시청. 분야별정보. 사회복지. 시설안내. 사회복지시설현황
권영창 기자. (2024.08). 안산시, '코로나19' 재유행 예방수칙 준수 당부. 경인매일
안자영 기자. (2024.07). 경기도 백일해 환자 3천4백명 넘어..한달 만에 2천8백여명 급증. 이코노미 뉴스.
김지미, 고정은, 김혜영, 오승은(2017). 간호학개론. :계축문화사
이자형(2000). 21세기 신생아 전문 간호사의 역할과 전망.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윤병기(2020). 숙련된 간호사 확보해야 감염병 막는다. Retrieved from
http://www.whosaeng.com/119100
김현주 외(2008).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 변화 경험.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이혜진(2017). [병원을 지키는 사람들] 호스피스병동 간호사 Retrieved from
https://news.imaeil.com/LifeAll/201705310017521261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