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불안정형협심증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협심증의 개요 및 중요성
1.2. 불안정형 협심증의 정의와 특징
2. 불안정형 협심증의 병태생리
2.1. 관상동맥 협착과 혈전 형성
2.2. 심근 허혈의 기전
2.3. 심근 산소 요구량 증가와 공급 감소
3. 불안정형 협심증의 증상 및 진단
3.1. 불안정형 협심증의 임상 증상
3.2. 진단검사: 건강력 사정, 심전도, 심초음파 등
3.3. 관상동맥조영술과 기타 특수검사
4. 불안정형 협심증의 치료
4.1. 약물치료: 항혈소판제, 질산염제, 베타차단제 등
4.2. 중재시술: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4.3. 외과적 치료: 관상동맥 우회로술
5. 불안정형 협심증 간호
5.1. 통증 관리
5.2. 호흡곤란 관리
5.3. 출혈 및 감염 예방
5.4. 혈당 관리
5.5. 낙상 예방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협심증의 개요 및 중요성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협심증은 가역적인 심근세포 손상에 의한 심근허혈의 결과이며,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증후군이다. 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비교적 초기단계에서 볼 수 있으며, 신체적 노력이나 정서변화에 의해서 흉통이 발생된다. 하지만 불안정형 협심증은 경색전 협심증이라고도 하며 심근경색증의 전단계로, 위험한 상태의 협심증이다. 대부분 급성심근경색이 일어나기 1~4주 전에 나타나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협심증 질환자 수가 17년 대비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불안정형 협심증이 4명 중 1명을 차지할 만큼 발생률이 높아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과 폐색, 혈관 수축, 혈전 등으로 인해 심근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하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근경색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협심증에 대한 의료진들의 정확한 이해와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매우 중요하다.
1.2. 불안정형 협심증의 정의와 특징
불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위험한 형태이다. 관상동맥의 죽상경화 병변이 갑자기 악화되어 혈전이 형성되면서 관상동맥이 심하게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심근에 산소 공급이 급격히 감소하여 심근 허혈이 발생하고 전형적인 협심증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경색전 협심증이라고도 하며, 대부분 급성심근경색이 일어나기 1~4주 전에 나타나므로 위험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이 높아 신속한 처치가 필요하다.
2. 불안정형 협심증의 병태생리
2.1. 관상동맥 협착과 혈전 형성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심근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의 협착은 죽상경화증에 의해 서서히 진행된다. 죽상경화증은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장애와 염증반응으로 인하여 혈관 내 지방 및 콜레스테롤 축적이 증가하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혈관 내경이 좁아지고 혈류가 감소하게 된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안정형 협심증이 악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죽상경화 병변의 파열로 인한 혈전 형성이 그 원인이다. 불안정한 죽상경화 병변의 섬유성 피막이 갑자기 파열되면 혈소판 활성화와 혈전 형성이 일어나 관상동맥이 급격히 좁아져 심근 허혈이 발생한다. 이때 혈전에 의한 관상동맥의 폐쇄가 일어나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불안정형 협심증은 죽상경화 병변의 파열과 혈전 형성이 주된 병태생리적 기전이라 할 수 있다. 관상동맥의 협착이 악화되면서 혈전이 형성되어 관상동맥 내 혈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심근 허혈이 나타나게 된다.
2.2. 심근 허혈의 기전
심근 허혈의 기전은 다음과 같다.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심근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근 허혈 상태가 발생한다. 심장근육은 호기성 장기로서 산소 섭취율이 다른 근육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약간의 산소 결핍에도 심근 허혈이 발생한다. 정상인의 경우 관상동맥이 공급할 수 있는 혈액량은 약 4배 정도 여유가 있어, 필요할 때 안정 시보다 약 4배 많은 혈액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관상동맥질환으로 협착이 발생하면 관상동맥 혈류 예비력이 크게 줄어들어 운동 시 심근 허혈로 협심증이 발생한다. 또한 심장 근육이 필요로 하는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게 되면 관상동맥을 통한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심근 허혈이 발생한다. 심한 운동, 정서적 흥분,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심박수, 심근 수축력이 증가하면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여 전형적인 협심증 증상이 나타난다. 발열, 갑상샘기능항진증 등으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하면 역시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여 협심증 증상이 유발된다. 한편 일시적인 관상동맥 연축에 의해서도 심근 허혈이 발생할 수 있다. 관상동맥 협착이 있는 부위는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장애로 인해 혈소판과 백혈구에서 방출하는 수축 물질에 반응하여 관상동맥 연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심근 허혈이 나타난다.
2.3. 심근 산소 요구량 증가와 공급 감소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심장 근육이 ...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21), 성인간호학, 수문사, p. 745~756, 1318~1322
성미혜 외(2021), 간호과정, 수문사, p. 247~340
박의현 외(2009), 심장과 혈관: 협심증, 엠엠케이커뮤니케이션즈(주), p. 8-9
2024년 대비 퍼시픽 성인간호학1 국시대비 개념서, 퍼시픽 북스, p. 307~31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협심증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9
국제간호진단협회,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 메디컬, 2019
약학정보원, 약물백과, 2021.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8판), 수문사, 2017.
정욱진, 심초음파의 기본 해석, 2018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p.424-444, 2018.
김성완, 심전도 신호의 리듬 특징을 이용한 부정맥 검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13-8, p.131-139, 2013.
이주희, Pleural Effusion in Cardiovascular Disease, 대한내과학회지, 81-2, p.161-166, 2011.
윤은자 외. (2021). 성인간호학 Ⅰ, Ⅱ. 수문사(9판).
정향미 외. (2020).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양선희 외 (2018). 기본간호학 Ⅰ, Ⅱ.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