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부산 신항 배후지 오피스텔 개발
1.1. 부산 신항 개발 개요
1.1.1. 경제자유구역 및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소개
경제자유구역 및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부산항 신항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물류·유통, 첨단제조업 및 국제업무단지를 조성하여 물류비즈니스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지방자치단체조합이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신항만지역을 물류, 유통, 국제 업무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계획하며, 부산항과 김해국제공항, 부산역, 주요 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를 활용하여 항만, 물류거점, 해양도시로 도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7년까지 약 17조 4,241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정부투자기관, 신항만주식회사 등이 참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물류와 유통, 국제업무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한다.
1.1.2. 신항만 지역 개발 계획
신항만 지역은 물류, 유통, 국제 업무 기능을 수행할 예정으로 개발되고 있다. 부산항 신항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하여 물류·유통, 첨단제조업 및 국제업무단지를 조성하여 물류비즈니스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설립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의 관할 지역이다. 부산항 신항은 앞으로 항만, 물류거점 항만, 해양도시로 도약할 계획이며, 김해국제공항, 부산역, 주요 고속도로 등 우수한 교통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신항만 지역은 총 51.1㎢의 면적에 걸쳐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11.1㎢가 물류, 유통, 국제업무 기능을 수행할 신항만, 북측배후부지, 남측배후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부산 신항은 국내 최대 규모의 항만 및 물류 중심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 부지 개요
1.2.1. 시행법인 정보
시행법인은 2017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다. 자산은 120억 원, 부채는 130억 원, 자본은 -10억 원으로 자본이 부족한 편이다. 재고자산은 110억 원으로 이 중 분양용지가 100억 원, 미완성 공사가 10억 원이다. 차입금이 120억 원 규모로 상당한 편이다. 이처럼 시행법인은 자본과 자산 규모가 크지 않으며 부채 비중이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1.2.2. 토지 현황
토지 현황은 다음과 같다.
대지면적은 2,000평이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BJFEZ 신항만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준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대로2류이다. 지구단위계획구역은 신항만지구용지 북측 지구단위계획구역이며, 공법상 제한사항으로는 특별계획구역(전시용지 내 업무용지)이 있다. 인허가 상황은 오피스텔 개발 목적으로 완료되었다. 법정 건폐율은 60% 이하, 법적 용적률은 400% 이하, 최고높이는 90m 이하이다.
1.3. 오피스텔 개발 계획
해당 부분의 개발 계획은 다음과 같다. 총 700세대의 오피스텔과 근린생활시설 50개 호실로 구성되며, 대지면적 2,500평, 건축면적 1,500평, 연면적 14,000평 규모로 개발될 예정이다. 이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BJFEZ 신항만 지역에 위치한 2,000평 부지에 조성될 것으로, 토지이용계획상 도시지역, 준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대로 2류로 지정되어 있다. 특히 이 부지는 특별계획구역(전시용지 내 업무용지)으로 지정되어 오피스텔 개발이 가능한 상태이다. 법적 기준으로 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400% 이하, 최고높이 90m 이하의 규제를 받는다. 이를 통해 배후지역의 중심상권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4. 투자 타당성 검토
1.4.1. 투자 매력도
부산 신항 배후지 오피스텔 개발에 대한 투자 매력도는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첫째, 향후 가덕 신공항과 제2신항 등 대규모 인프라 시설이 조성될 예정이어서 해당 지역의 가치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인근 웅동지구, 신항만지구, 녹산지구, 화전지구, 신호지구 등 다수의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어 주거중심지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셋째, 이미 오피스텔 용도로 개발인허가가 완료된 상태여서 약 6개월에서 1년 가량의 개발기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