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잠복고환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잠복고환의 정의
2. 본론
2.1. 잠복고환의 원인
2.2. 잠복고환의 병태생리
2.3. 잠복고환의 증상
2.4. 잠복고환의 진단 방법
2.5. 잠복고환의 치료 방법
2.6. orchiopexy 수술 과정
3. 결론
3.1.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3.2. 잠복고환 환아 간호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잠복고환은 태아 시기에 고환이 정상적으로 음낭 내로 내려오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는 미숙아나 저체중아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대상자인 1세 환아는 미숙아로 태어나 잠복고환으로 진단받고 orchiopexy 수술을 받았다. 따라서 잠복고환과 orchiopexy 수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대상자의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통합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수술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고자 한다.
1.2. 잠복고환의 정의
잠복고환은 태아 시기에는 고환이 복강 내에 있다가 점차 하강하여 출생 시에는 음낭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음낭까지 하강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고환의 정자 형성 세포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복부보다 온도가 1.5-2도 정도 낮은 음낭에 위치해야 정상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잠복고환증이 치료되지 않고 계속 복부 안에 고환이 있으면 정상적인 정자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다.
2. 본론
2.1. 잠복고환의 원인
잠복고환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남성호르몬, 서혜관, 정관, 음낭 등의 구조물 이상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한다고 추정되고 있다. 잠복고환은 요도하열, 모호한 외부성기를 보이는 성분화이상 등을 비롯한 많은 다른 선천성 기형들과 흔히 동반되는 질환이다. 잠복고환의 빈도는 미숙아나 출생 시 저체중아에서 높다. 또한 약 70~77%에서는 생후 3개월까지는 자연적으로 음낭 내로 내려오므로 자연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생후 12개월 이후에는 이와 같은 자연하강이 1% 미만에서 일어나므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2.2. 잠복고환의 병태생리
잠복고환은 태아 시기에 고환이 복강 내에 있다가 점차 하강하여 출생 시 음낭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어떤 원인에 의해 음낭까지 하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질환은 요도하열, 모호한 외부성기를 보이는 성분화이상 등을 비롯한 많은...
참고 자료
박충선 외 28명(2018)/ 아동건강간호학
세브란스병원 https://sev.severance.healthcare/sev/index.do
신촌연세병원 http://www.scys.co.kr/
약학정보원
잠복고환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잠복고환 – 질환백과, 의료정보 건강정보, 서울아산병원
김미예 외 15명(2014). 아동건강간호학, 경기:수문사
박은영 외 5명(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현문사
김미예 외 8명(2014). 아동간호학개론, 경기: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