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인훈 광장 구조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최인훈 광장 구조주의
1.1. 최인훈의 삶과 작품 활동
1.2. 최인훈 문학 세계의 내용적 특징
1.2.1. 이데올로기의 대립
1.2.2. 소외된 주인공
1.3. 최인훈 문학의 형식적 특징
1.3.1. 관념적 묘사의 활용
1.3.2. 실험적 문체와 소재
1.4. 주인공의 사랑과 현실의 연계성
1.5. 작품 분석
1.5.1.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1.5.2. 광장
1.5.3. 회색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최인훈 광장 구조주의
1.1. 최인훈의 삶과 작품 활동
최인훈은 1936년 4월 13일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어났다. 해방 후 북한 공산정권에 의해 집안이 부르주아로 몰리자 1947년 원산으로 이주했으며,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에는 가족이 함께 부산으로 피난을 왔다. 1952년 서울대 법대에 입학했으나 중퇴, 1958년에는 군에 입대하여 6년간 군 생활을 했다. 1959년 군 복무 중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을 '자유문학'에 발표하며 등단했고, 1960년에는「광장」을 발표해 본격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이후 「회색인」, 「서유기」, 「웃음소리」 등 다채로운 사유가 돋보이는 문제적 소설을 다수 창작하며 한국 문학사의 독보적인 작가로 자리 잡았다. 1970년대에는 희곡 창작에 몰두하며 동, 서양의 다양한 고전 작품을 현대적 연극으로 재탄생시켰다. 1977년부터 서울예술대학의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창작 활동이 뜸해졌지만, 말년까지 「달과 소년병」, 「화두」, 「바다의 편지」 등 굵직굵직한 작품을 계속 내놓으면서 한국 현대사에 대한 고뇌를 멈추지 않았고, 2018년 7월 23일 대장암 말기 진단을 받고 투병 중 별세했다.
최인훈의 작품은 환상적인 묘사의 고전 소설 패러디 양식 위주인 「구운몽」, 「서유기」 계통과 지식인의 자기 성찰이 중시되는 「광장」, 「회색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지식인 성찰 계통은 「크리스마스 캐럴」, 「회색인」,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등이며, 환상 계통은 「가면고」에서 잘 드러나고, 「구운몽」과 「금오신화」는 고전을 패러디해 60, 70년대의 현실적인 상황을 현대적 괴담으로 그려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전통 설화의 현대적 변용으로 희곡을 창작하기도 했다. 「총독의 소리」와 「주석의 소리」, 「태풍」 등의 소설은 식민지 시대를 새로운 의식으로 관찰한 최인훈의 시선이 담겨있다.
1.2. 최인훈 문학 세계의 내용적 특징
1.2.1. 이데올로기의 대립
최인훈의 문학 세계에서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중요한 요인이다. 첫째, 피난민 의식이 반영된 주인공이 등장한다. 최인훈 작품에는 고향을 잃고 타지로 이주했으나 그곳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이 많다. 최인훈 본인도 이데올로기와 전쟁 때문에 이주와 피난을 경험했기에, 자신과 닮은 월남인이나 지식인에게 서사를 투영하기 쉬웠다. 둘째, 회색을 상징적으로 사용한다. 최인훈 소설에서 회색은 흑백논리로 명확하게 나뉘지 않는 공간이나 사람을 상징한다. 당시 한국에서 특정 사상을 선택하는 것이 명확한 해결책이 되지 못했지만, 모든 선택지를 포기하기도 어려웠다. 회색은 이러한 주인공의 내면 갈등을 나타낸다. 셋째,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혼란을 겪는 주인공의 내면을 표현하며 현실 정치를 비판한다. 최인훈 소설의 주인공들은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 채 이상 세계를 꿈꾼다. 이는 분단 문제, 전쟁, 사회의 억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한 것이다. 주인공들은 사회에 종속되거나 소외되어 선택을 강요당한다. 그러나 동시에 자신이 속한 사회를 이해하려 노력하기도 한다. 최인훈은 이데올로기가 정치권력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현실을 비판하고자 한 것이다.
1.2.2. 소외된 주인공
최인훈 소설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사회에서 소외된 존재이다. 이들은 주로 지식인이기 때문에 깊은 배움을 바탕으로 한국의 현실을 포괄적으로...
참고 자료
이호규, 1960년대 소설 연구-일상, 주체 생산, 그리고 자유, 새미(2001)
상허학회, 새로 쓰는 한국작가론, 백년글사랑(2002)
이훈성,‘4·19 50년을 말한다’(1) 소설가 최인훈-문학평론가 김치수 대담, 한국일보, 2010.01.28., https://m.hankookilbo.com/News/Read/*************65476
김윤식, 한국 현대문학 명작사전, 일지사(1982)
최인훈, 웃음소리, 민음사(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