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의 다문화가정 주부 대상 독서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문화가정 주부 독서능력 현황
1.2. 한국어 문해력 향상의 필요성
2. 본론
2.1. 다문화가정 주부 독서능력
2.2. 한글 문해력 향상을 위한 독서지도 프로그램
2.2.1. 1차시: 한국어 자음과 모음 학습
2.2.2. 2차시: 한국어 존칭어 학습
2.2.3. 3차시: 한국 명절 문화 학습
3. 결론
3.1. 문화 이해와 의사소통을 위한 독서지도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문화가정 주부 독서능력 현황
다문화가정의 40% 이상이 독서를 좋아한다고 밝혔지만, 가정 내 보유 도서가 10권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다. 그러나 한국으로 이주 후 독서가 좋아진 이유로는 한국어 공부가 되어서라고 답하였다. 이는 현재 한국에 존재하는 다문화가정에서 가장 요구되는 문화적 지원이 한국어 문해력 향상을 위한 독서지도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문화체험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과거 한국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높지 않았던 시대에 이주한 다문화가정의 주부들은 한국어에 상당히 서툴러서 이로 인해 자녀들에 대한 한국어 학습을 비롯한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할 수 없었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한류문화열풍으로 시작된 한국의 K-pop 문화의 성공으로 인해 한국으로 이주한 다문화가정 주부들 중에서는 상당수 한국어 학습을 진행한 상태에서 이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거와 같이 다문화가정 주부들이 반드시 한국어 문해력이 낮은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주부들의 경우 결혼이주 또는 취업을 위해서 이주한 경우가 상당하여 이들의 경우 한국어에 서툰 경우가 상당하며, 이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적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제공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
1.2. 한국어 문해력 향상의 필요성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전체 인구의 약 4.3%를 차지하여 다양한 국적과 문화권의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사회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이 요구된다. 즉,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려는 노력과 자...
참고 자료
독서지도론 강의안
장은영 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의사소통유형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서울, 2012
서울신문(김기중 기자), ‘다문화가정 보유 도서 10권 미만 36.6%’, 2023. 03. 01
사회복지 개발과 평가 황 성철 공동체
프로포절 작성의 실제 김 승의 공동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프로포절 사례집 2011
사회복지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강 병로 나눔의 집
사회문제론 박 정호 여 진주 신정
보건복지가족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