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적용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배경
1.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중요성
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2.1. 지역사회개발 모델
2.2. 사회계획정책 모델
2.3. 사회행동 모델
3. 지역사회문제 사례
3.1. 경기도 하남시의 지역사회문제
4.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모델 적용
4.1. 사회계획정책 모델의 적용
4.2.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활동
5. 결론
5.1.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통합적 적용
5.2.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배경
지역사회복지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와 가족주의 변화에 따라 가족과 지역의 공동체가 가지던 복지적인 기능이 약화되어 이를 보완하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둘째, 복지주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경제적인 복지서비스로 전환되었다. 셋째, 시설 수용 위주의 복지에서 벗어나 가정, 이웃과의 정상적인 생활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복지서비스가 등장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주민과 정책수립자가 점차 인지하게 되었고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 노력을 통해 보다 조직적, 과학적, 전문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복지가 대두된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였으며, 이는 지역복지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라 할 수 있다.
1.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중요성
지역사회복지가 나타나게 된 주된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지역사회와 가족주의 변화로 인해 가족과 지역사회의 복지적 기능이 약화되어 이를 보완하는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복지주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경제적인 복지서비스로 전환되면서 시설 수용 중심의 복지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복지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주민과 정책수립자들에게 점차 인지되면서 지역사회 문제를 보다 조직적이고 과학적이며 전문적인 관점에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복지의 중요한 자세가 확립되어야 지역복지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을 선택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2.1. 지역사회개발 모델
지역사회개발 모델은 지역사회의 변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행동에 참여하여야 한다는 전제에서 나온 지역사회복지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의 모델이다. 주민들은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개개인의 능력을 개발하여 지역사회를 변화시켜 나가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개발 모델은 지역사회의 문제나 욕구를 다룰 때 주민들의 자조정신을 강조한다. 따라서 주민들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켜 주는 데 역점을 두고, 문제의 파악 및 해결과정에 주민들의 광범위한 참여를 장려한다. 구체적으로는 주로 교육적인 방법을 통해 주민들 가운데 지도자를 양성하고 그 지도력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문제에 주민들이 협력적으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 모델에서 전문가는 조력자, 조정자, 문제해결 기술훈련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사회복지실천가는 지도력 개발, 상호부조, 지역성에 바탕을 둔 지역사회 연구 및 문제해결을 강조한다. 이 모델의 대표적인 예로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조직화사업, 자원봉사조직, 성인교육 및 리더십 훈련 등이 있다.
지역사회개발 모델은 지역사회의 능력을 향상하고 통합하기 위하여 집단들 간의 합의를 이루어내기 어려운 점, 지역사회 관련 집단들이 현실적으로 계급과 인종 등에 관련한 이해관계를 공동으로 가지지 않는 현실적인 문제, 권력구조 문제점으로 인한 실질적인 정책 ...
참고 자료
박귀영, 2001, 지역사회복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p.8~11
원향숙, 2007, 지역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한 지역협동조합운동 연구 - 원주의료생협운동을 중심으로 -, 국내석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 p.9~12
민현석, 2012, 2012 고령친화형 마을만들기 –서울시 종로구 이화동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p.1~3
경기도 65세 이상 노인 인구 14% 넘어서…'고령사회' 진입, 연합뉴스, 2022.07.12.
김찬우. (2005.05) 고령화시대 도시노인의 의료복지 향상을 위한 제언.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김범수. (2010)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서울디지털평생교육원.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하남타임즈. 하남시 인구 5년새 9만 2천명 늘어.
http://www.hanam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76 박필기 기자. 2023.04.18.
하남시 누리집 https://www.hanam.go.kr/www/contents.do?key=6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