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반학급 지적장애 아동 교육지원 방법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일반학급 지적장애 아동 교육지원 방법
2.1. 지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중요성
2.2. 장애 정도에 따른 교육지원 방법
3. 과제분석(단계별로 나누어 가르치기) 적용 사례
3.1. 실제 사례와 목표
3.2. 단계별 과제분석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장애를 분리의 근거가 아닌 다양성으로 인정하고, 교육환경의 제한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변화로 인한 것이다. 이는 모든 아동이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교육기관에 전적인 참여를 통해 교육받을 수 있다는 권리와 신념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철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이는 장애아동들과 비장애아동들이 함께 생활하고 배움으로써 서로를 이해하면서 편견 없이 상호 협조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환경을 의미한다. 통합교육은 단순히 교육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넘어서, 모든 아동에게 동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소속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일반학급에 통합된 지적장애아동의 장애 정도에 따른 교육지원방법과 과제분석(단계별로 나누어 가르치기)을 적용한 실제 사례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2. 일반학급 지적장애 아동 교육지원 방법
2.1. 지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중요성
지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강조된다. 첫째, 사회적 통합의 측면에서 통합교육은 낙인 감소, 사회적 기술 향상, 포용적 사회 형성에 기여한다. 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서 또래들과 함께 교육받음으로써 장애 표찰로 인한 낙인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고, 비장애 아동들에게 다양성과 포용의 가치를 가르쳐 장애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차이를 인정하는 포용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교육적 영향 측면에서 통합교육은 개별화된 교육 계획을 통해 지적장애아동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맞춤형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일...
참고 자료
송준만 저, 지적장애 학생 교육, 학지사, 2022
Gargiulo, Richard M., Emily C. Bouck 저, 지적장애인 교육 (학교급별 교수전략), 교육과학사, 2021
백은희 저, 지적장애 이해와 교육, 교육과학사, 2020
최은아 저,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통합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음악교육학회, 2014
정대영 저, 특수아동교육, 창지사, 2020
조윤경 저, 특수 아동의 이해, 공동체, 2019
신진숙 저, 지적장애아 교육, 양서원, 2017
정동영 저, 장애아동 통합교육론, 교육과학사, 2017
김현진(2020).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표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지적장애아동의 공감능력과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송준만·강경숙·김희선·김은주 외 6명(2016). 지적장애아교육. 학지사
장선미(2015). 예술통합교육을 적용한 움직임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표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