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질병의 정의와 특징
충수돌기(appendix)는 대장의 일부인 맹장 끝에 달린 약 6-9cm 길이의 관상 구조물이다. 충수돌기염(appendicitis)은 이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이다.
충수돌기염은 주로 충수돌기 개구부의 폐쇄에 의해 발생한다. 충수돌기 개구부가 폐쇄되면 충수돌기 내압이 증가하고 정맥 배액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점액과 세균이 축적되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폐쇄가 지속되면 결국 충수돌기가 천공되어 복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충수돌기 폐쇄의 원인으로는 분변 덩어리, 기생충, 이물질, 림프조직 비대 등이 알려져 있다.
충수돌기염의 전형적인 증상은 배꼽 주위에서 시작하는 통증이 시간이 지나면서 우하복부의 맥버니 점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오심, 구토, 식욕 저하 등이 동반된다. 체온은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한 정도이지만, 천공이 있는 경우에는 고열이 있을 수 있다. 맥버니 점의 압통과 함께 좌하복부를 압박할 때 우하복부 통증이 증가하는 로브싱 징후, 우측 엉덩관절 굴곡 시 우하복부 통증이 증가하는 파소스 징후 등이 나타난다.
충수돌기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병력 청취와 이학적 검사를 통해 전형적인 증상을 확인한다. 또한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복부 초음파 검사 및 CT 검사를 통해 충수돌기의 염증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충수돌기염을 진단한다.
1.2. 충수염의 발병 원인
충수염의 발병 원인은 다음과 같다.
충수염은 원발성 염증 과정에 따른 폐색, 부종, 분비물의 형성, 이물질(대변 덩어리)이나 기생충, 감염과정으로 인한 림프조직의 비대 등으로 발생한다. 충수관의 폐색이 주된 요인이다. 충수돌기는 가늘고 끝이 막혀 있어 일단 염증이 생기면 부종 때문에 출구가 막히기 쉬워 내압이 높아지면서 염증 증상이 악화된다. 또한 충수돌기 내부의 세균 증식과 분비물 축적, 정맥 배액 장애 등이 발병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별한 위험 요인은 없으나 예방이 어려워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1.3. 충수염의 증상과 징후
충수염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다.
급격한 복통이 시작되며, 처음에는 배꼽 주변에서 시작하다가 점점 우하복부의 McBurney 지점으로 이동한다. 오심과 구토, 식욕 상실, 미열과 같은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충수염 환자는 압통과 반동압통(Rebound tenderness)이 McBurney 지점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충수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고 손을 뗄 때 더 심해지는 것이다. 또한 Rovsing 징후와 Psoas 징후가 관찰될 수 있다. Rovsing 징후는 좌하복부를 압박했을 때 우하복부의 McBurney 지점에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고, Psoas 징후는 우측 고관절을 신전시키거나 내회전시켰을 때 우하복부 통증이 악화되는 것이다. 한편, 충수염이 천공되면 전반적인 복부 팽만, 강직, 반동압통과 같은 복막염 증상이 나타나며, 구토와 장폐색이 동반된다. 일부 노인이나 임부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지연될 수 있다. 이처럼 충수염은 다양한 증상과 징후를 보이므로 초기 증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1.4. 충수염의 진단 방법
충수염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체검진과 함께 다양한 검사방법이 활용된다. 천공이나 복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혈액검사 소견으로는 백혈구수의 상승이 나타난다. 백혈구수가 10,000~15,000/mm3 정도 증가하며, 20,000/mm3 이상으로 증가하면 천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영상검사로는 복부 초음파와 복부 CT가 주로 사용된다.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우하복부에서 충수의 비대, 충수벽의 비후, 국소화된 공기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복부 CT는 충수의 천공 여부, 주변 농양 형성 유무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다. CT 검사는 소아나 임산부에서 발생한 충수염의 진단에 특히 유용하다.
이 외에도 맥버니 점에서의 반동압통 검사, 로빙징후, 푸아징후 등의 신체검진이 충수염 진단에 도움이 된다. 맥버니 점 압통 검사에서 우측 하복부를 깊이 눌렀다 떼었을 때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반동압통이 나타나며, 이는 충수염을 시사하는 전형적인 증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