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세먼지 간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세먼지 간호사
2.1. 대기오염의 실태와 건강영향
2.2. 우리나라 대기오염 현황 및 대책
2.3. 간호사의 역할과 전문분야 간 협력
2.4.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문제 예방을 위한 개선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서론] 한 기사에서 WHO는 '2019년 세계 건강 10대 위협'이라는 보고서에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건강을 위협하는 10대 요인 중 하나로 꼽았고 대기오염은 가장 큰 위협이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WHO에 따르면 세계 인구 10명 중 9명이 매일 오염된 공기를 마시고 있으며,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매년 700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대기 중 미세 오염 물질(눈에 보이지 않는 중금속, 각종 화학물질)은 인간의 호흡기와 순환계에 침투해 폐, 심장, 뇌에 손상시켜 암, 뇌중풍, 심장병 등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WHO에 따르면 미세 오염 물질은 단순한 환경오염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쳐 의료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이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고 건강과 관련하여 환경적 측면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 간호사는 임상 외에도 산업, 지역에서 간호사로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 전문가와 협력하여 실질적이고 세부적으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이 요구된다.
2. 미세먼지 간호사
2.1. 대기오염의 실태와 건강영향
WHO는 '2019년 세계 건강 10대 위협'이라는 보고서에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를 건강을 위협하는 10대 요인 중 하나로 꼽았으며, 대기오염은 가장 큰 위협이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WHO에 따르면 세계 인구 10명 중 9명이 매일 오염된 공기를 마시고 있으며, 대기오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매년 700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대기 중 미세 오염 물질(눈에 보이지 않는 중금속, 각종 화학물질)은 인간의 호흡기와 순환계에 침투해 폐, 심장, 뇌에 손상시켜 암, 뇌중풍, 심장병 등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 있다. WHO에 따르면 미세 오염 물질은 단순한 환경오염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쳐 의료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1]
스웨덴 국가 기반 코호트 분석 결과 5년간 초미세먼지 또는 산화질소 농도가 증가할 때마다 치매 위험이 약 50% 높아졌고 심부전 또는 허혈성 심장질환이 있다면 치매와 대기오염의 연관성은 더 커졌다. 초미세먼지 노출 시 93%(95% CI 1.54~2.43), 산화질소 노출 시 43%(95% CI 1.17~1.75) 심부전 환자의 치매 위험은 더 높아졌다. 초미세먼지 노출 시 67%(95% CI 1.32~2.12), 산화질소 노출 시 36%(9...
참고 자료
조용환(2020.April 9). medical observer,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www.monews.co.kr
송인하(2020.April 13). medical observer,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www.monews.co.kr/image/logo/toplogo_20181129034446.gif
이용준(2020. April 13). 이뉴스투데이,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www.enewstoday.co.kr
엄태선(2018. November 7). korea pharmaceutical association news, Retrieved 18 April, from https://www.kpanews.co.kr
서현우(2020. April 13). 월간산 606호. Retrieved 18 April, 2020, from http://san.chosun.com
백도명, “Health Effects Due to Air Pollution” 한국산업간호협회지 v.8 no.2 = no.28 (2001)10 - 18
정현초, “사망률 높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자연치유법 없을까?”, <건강다이제스트>, 2021.03.12.
http://www.ikunk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3392
한성간, "소독·살균제 노출 간호사, COPD 위험↑",<연합뉴스>, 2019.10.21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01&aid=0011156503
양윤모,‘암,심/뇌혈관 질환‘ 보다 무서운 이것은?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비욘드포스트>, 2021.09.03., http://cnews.beyondpost.co.kr/view.php?ud=2021090320224525524ecd436290_30
지식백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84&cid=51007&categoryId=51007
의학전문메거진 엠디포스트 블로그,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2050년 전 세계 사망 원인”
https://blog.naver.com/nextday92/222569992069
이정환, “미세먼지 때문에 COPD 환자 급증 보건의료 대책 절실”, <의협신문>, 2018.05.16.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548
알기 쉬운 사람해부학 3편, 현문사, 2019.01.15., P.301~P.322
“인체 구조와 기능1”, PPT. 호흡계통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2019, 수문사 ,성기월외 4인 02. 지역사회 간호과정
질병관리본부-‘미세먼지’ http://www.cdc.go.kr. 2020. 05. 02
환경부, 고혜진, 미세머지 고동도계절 공공2부제 시행 지침 개정본(2020.1.17.), 2020
환경부, 이혜진, 미세먼지 관리 종합게획 및 고농도 시기 대응 특별대책, 2019
제 3차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 2020~2024, 2019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09653492 이의영 충북도의원,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대책 마련 추진해야” 2020. 0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