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초고층건축물 화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초고층 건축물 화재 위험성
2.1. 건물 구조적 측면의 화재 위험성
2.2. 피난·대피적 측면의 화재 위험성
2.3. 소방활동적 측면의 화재 위험성
3. 초고층 건축물 화재 방재대책
3.1. 비상 탈출용 엘리베이터
3.2. 소화설비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3.3. 특별피난계단의 안전성 확보
3.4. 인텔리전트 기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초고층 건축물의 등장은 도시 미관 개선과 경제성 향상 등의 이유로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초고층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성에 대한 대비책 마련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고층 건축물의 특성과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외국의 초고층 건축물 안전관리 현황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2. 초고층 건축물 화재 위험성
2.1. 건물 구조적 측면의 화재 위험성
초고층 건축물은 구조적 특성상 화재의 위험에 취약하다. 첫째, 건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내외부 온도차로 인한 강한 상승기류(굴뚝효과)가 발생하여 저층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엘리베이터나 배관 등을 통해 빠르게 상층으로 확산될 위험이 크다. 이러한 상승기류는 건축물 내부의 연기 이동을 가속화하여 화재의 급속한 확산을 초래한다.
둘째, 초고층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 발생 시 '폭렬(爆裂)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고강도 콘크리트는 내부 수분이 빠져나오지 못해 수증기가 한번에 터져 나오면서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고 철근이 열에 노출되어 건축물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이 위협받게 된다.
셋째, 초고층 건축물 내부에는 가연성이 높은 내장재, 인테리어 장식물 등이 많아 화재 발생 시 플래시오버(flashover)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고층부에서의 강풍으로 화염이 몰아치면서 연기가 복도 측으로 밀려 연소가 확대될 위험성도 있다.
넷째, 초고층 건축물은 대부분 밀폐된 구조로 설계되어 공기 부족으로 인한 불완전연소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재로 인한 유리창 파손 시 외부 공기 유입으로 화재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다섯째, 초고층 건축물의 공조시스템은 전층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여 연기와 유독가스의 확산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초고층 건축물은 구조적 특성상 화재 발생 시 화재 확산과 연기 이동이 빠르게 일어나 대형 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2.2. 피난·대피적 측면의 화재 위험성
피난시간 지연이다. 초고층 건축물 화재 발생 시 긴 수직피난거리로 인해 피난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피난이 5분 이상 지속될 경우 피난자는 피로를 느끼며 이에 따른 안...
참고 자료
건축물의 화재안전진단 및 보수 보강지침(2021), 저자 일본건축학회, 출판 태림문화사, 2021.01.25.
유재환, 2014, 초고층건물화재 시 소방대원의 현장접근성.
김종식(2013), 고층 건물화재 대응방안 연구: 화재안전기반 구축,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길준기, 2005, 고층 건축물의 방화관리 문제점 개선방안,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홍렬(2010),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및 피난특성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