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무의미한 치료 고비용 치료가 아닌 경우에도 이슈가 되어야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존엄사의 의미와 사례
2.1. 존엄사의 의미
2.2. 존엄사의 사례
3. 결론
3.1. 느낀점 및 각오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무의미한 연명치료는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가 임박하였을 때 의학적으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계호흡이나 심폐소생술 등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안락사는 환자의 요청에 따라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약제 등을 투입하여 인위적으로 죽음을 앞당기는 것이다. 존엄사는 최선의 의학적 치료를 다했지만 회복 불가능한 사망 단계에 이른 경우, 질병의 호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오로지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질병에 의한 자연적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최소한의 품위를 지키면서 죽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존엄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윤리적, 법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존엄사의 의미와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존엄사의 의미와 사례
2.1. 존엄사의 의미
존엄사의 의미는 최선의 의학적 치료를 다하였음에도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질병의 호전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질병에 의한 자연적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간으로서 지녀야 할 최소한의 품위를 지키면서 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무의미한 연명치료란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가 임박하였을 때 의학적으로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계호흡이나 심폐소생술 등을 의미한다. 반면에 안락사는 질병에 의한 자연적 죽음이 아니라 인위적 행위에 의한 죽음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안락사 중에서도...
참고 자료
고봉진, ‘2019년 헌법재판소 낙태죄 결정' 분석과 ‘낙태죄 형법조항' 개정방향 제안,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0.
이은진, 낙태죄와 재생산 평등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위매화, 의료민영화 논쟁과 의료공공성 확보 : 영리병원 설립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전창배 IAAE (국제인공지능/윤리협회) 이사장, 킬러로봇, 잔인한 테러 도구가 될 수도, 한국일보, 2022.4.28.
박다해 기자, ‘태아의 생명권’이 낙태죄 찬성 논리가 될 수 없는 이유. 한겨레. 2018.11.22.
박영신 기자, [이슈] 조력존엄사법, '찬성' 자기결정권 보장 vs '반대' 생명경시현상 확산, 시사경제신문, 2022.7.18.
김주연 기자,“안락사, 존엄사 등 중구난방…조력존엄사법 앞서 용어부터 정립”, 청년의사, 2022.9.17.
유연정 기자, ‘동반 자살’ 아닙니다…“자녀 살해, 극단적 형태의 아동학대”, 한겨레, 2023.5.3.
장호종, 박근혜의 의료 민영화,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막을 것인가?, 노동자연대, 2014.
영화 <식코>, 2008.
홍영수, 「의료사회복지 사례연구」, 신정, 2009.
이효순, 「의료사회복지론」, 학지사, 2016.
김연수, 「의료사회복지의 이해와 실제」, 나눔의 집, 2017.
송효석, 「의료사회복지실천론」, 신정, 2019.
기본간호학2(제3판). 양성희(지은이), 2018-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