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혼과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결혼과 가족의 의미
1.1. 결혼의 의미 변화
1.2. 가족의 기능 변화
1.3. 전통 가족과 현대 가족의 특징
2. 결혼만족도의 개념과 구성요소
2.1. 결혼만족도의 개념
2.2. 결혼만족도의 주관적, 객관적 측면
2.3. 변화 가능한 요인과 변화 불가능한 요인
3.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1. 의사소통, 성역할 태도, 애정표현 및 성생활 만족도
3.2. 자녀양육 스트레스
3.3. 가족형태와 소득수준
4. 가족 해체의 예방 방안
4.1. 정서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균형 고려
4.2. 결혼 전 상호 대화와 목표 수립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결혼과 가족의 의미
1.1. 결혼의 의미 변화
과거 전통사회에서 결혼의 의미는 주로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 향상 등의 실용적 목적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 이르러 결혼의 의미는 점차 변화하여 부부 간 정서적 유대감, 상호 성장과 자아실현 등 개인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결혼이 가족과 사회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결혼은 주로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고, 개인의 감정보다는 가문과 가족의 이해관계가 우선시되었다. 또한 부모나 타인의 개입과 승인이 중요하였으며, 출산과 양육을 통해 가족과 사회를 지속시키는 기능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현대 사회에서는 결혼의 의미가 점차 변화하게 되었다. 결혼에 대한 개인의 자율성과 선택권이 확대되었고, 감정적 요소와 정서적 만족이 더욱 강조되게 되었다. 즉, 부부 간의 애정과 이해, 소통 등 정서적 유대감이 중요해졌으며, 상호 성장과 자아실현의 도구로서 결혼이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결혼관의 변화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만혼과 비혼 현상에서도 잘 드러난다. 과거에 비해 결혼을 선택하지 않거나 늦추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더 중시하게 된 현대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전통사회에서 현대사회로 이행하면서 결혼의 의미는 실용적이고 규범적인 성격에서 점차 개인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왔다고 할 수 있다.
1.2. 가족의 기능 변화
가족의 기능 변화는 산업화와 더불어 전통적인 가족의 특성이 약화되고, 새로운 기능이 강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는 가족이 인구재생산, 성과 애정, 양육, 경제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며 강력한 유대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고 개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가족 형태와 역할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전통적 가족의 핵심 기능이었던 경제활동이나 자녀양육 기능이 약화되면서 가족 간 유대관계도 느슨해지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가족 구성원의 경제활동이 가족단위에서 개인단위로 분리되었고, 자녀양육에서도 국가와 시장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또한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이 약화되고, 부부 중심의 핵가족이 보편화되었다. 이처럼 가족의 기능이 축소되고 개인의 자율성이 강조되면서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도 약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족의 기능 변화는 가족 해체의 위험을 높이고 있다. 결혼의 의미가 경제적 안정이나 사회적 지위 획득보다는 개인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부부간 불만족이나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부담이 가중되면서 이혼과 같은 가족 해체로 이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가족의 기능 변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가족 해체를 예방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3. 전통 가족과 현대 가족의 특징
전...
참고 자료
결혼과 가족 1주차 1차시 교안
Baldwin, A. L. (1947년). Changes in parent behavior during childhood. American Psychologist 번역
Greenberger, E., & Chen, C. (1996년). Perceived family relationships and depressed mood in early and late adolescence: A comparison of European and Asian Americans. Developmental Psychology, 번역
박미진, (2019) 엄마가 말투를 바꾸면 아이는 행복해집니다. 메이트북스
김은숙(2012), 우울증, 결혼만족도, 가족건강성 및 신체화증상의 관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혜주(2005), 결혼 기대-실재 간 격차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능력과 대처능력의 조절 효과 검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열(2013), 부부갈등과 성적 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강호(2006), 가족생활주기별 결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미화(2003),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 및 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연합뉴스(2020.03.19), [2019혼인이혼] 지난해 부부 11만쌍 헤어져…40대 이혼율 가장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