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답사 목적과 선정 이유
나는 경주의 한옥마을을 답사하고자 한다. 한옥은 우리나라 전통 가옥 중 가장 유명한 것이지만 이제는 온전한 형태로 보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경주에는 아직도 한옥마을이 남아있어 전통문화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주의 먹거리에 대한 정보도 듣고 있어 전통문화를 경험하면서 입도 즐거운 여행을 하고자 한다. 경주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도시로, 이러한 매력적인 특색을 탐구해보고자 이번 답사를 선정하게 되었다.
1.2. 경주의 한옥마을 소개
우리나라 전통 가옥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한옥'이다. 이는 익히 알려져 있지만, 이제 온전한 형태의 한옥을 쉽게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불과 몇십 년 전까지만 해도 시골 마을에 한옥이 많이 있었으나, 개발 열풍과 함께 전통 가옥인 한옥이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지역적 특색을 살리고자 한옥을 개발하지 않는 곳도 있으며, 이 중 경주에도 한옥 마을이 존재한다.
경주의 '교촌마을'은 유명하지는 않지만 매우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마을은 다른 유명 한옥마을들과 달리 잘 알려지지 않은 편이지만, 전통문화의 정취를 느끼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매력적인 목적지가 될 수 있다. 경주 교촌 한옥마을에는 최부자 고택이 있는 등 향교와 전통한옥이 많이 잔존해 있으며, 인근에 월성과 월정교, 첨성대, 계림 및 고분 등 신라의 소중한 유적들이 위치해 있어 신라 문화와 조선의 문화가 공존하는 매우 특별한 장소이다.
경주 교촌 한옥마을은 최근 새롭게 복원·조성되면서 문화유적의 원형을 효과적으로 보존하는 동시에 관광객들이 즐길 수 있는 관광지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최근 목조 교량인 월정교(국내 최대 규모)가 새로 복원되어 목조 건축의 웅장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야간에는 조명으로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2. 본론
2.1. 답사 지역(경주)의 특징과 답사 코스
경주의 한옥마을은 특유의 풍경과 유서 깊은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 경주 교촌 한옥마을에는 최부자 고택이 있으며, 향교와 전통한옥이 많이 잔존해 있다. 이 마을은 신라 문화 속에 조선의 문화가 공존하는 상당히 특별한 장소이다.
경주 교촌 한옥마을은 새롭게 복원이 조성되어 문화유적의 원형을 효과적으로 보존하면서 동시에 관광객들이 즐길 수 있는 관광지가 되었다. 최근 목조 교량인 월정교(국내 최대 규모)가 새로 복원되어 목조 건축의 웅장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야간에는 조명으로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에는 '삼국유사'와 관련된 이야기보따리가 여러 곳에 숨겨져 있는데, 김알지가 태어난 계림과 원효스님과 요석공주 간 사랑을 이은 문천교(蚊川橋) 터, 그리고 김유신이 살았던 재매정 등이 교촌과 남천을 따라 흩어져 있다. 답사자 또한 월정교와 최부자 고택 등을 순차적으로 둘러보며 이 장소들의 역사와 문화를 경험하였다.
2.2. 체험 소감
한옥마을에 들어서자 동시에 여러 가지 느낌이 들었다. 주변 어디를 둘러봐도 높은 건물이 내 시야를 막지 않아 일단 마음이 안정되는 듯했다. 그리고 한옥 특유의 고즈넉하고 차분한 느낌이 심신을 차분하게 만드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드문드문 있는 관광객들의 활기참은 생기 발랄하게 느껴졌다. 그곳을 가만히 보고 있으니, 문득 얼마 전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과거와 현재를 오가던 드라마가 떠올랐다. 말도 안 되는 소재라며 비판을 했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