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경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경기 여성 현황
1.1.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1.2. 해외 폐경기 여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2.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2.1.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 건강증진 방법
2.2. 해외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 건강증진 방법
3. 폐경기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
3.1.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
3.2. 해외 폐경기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
4. 간호사의 대안
4.1. 간호사의 개인적 대안
4.2. 사회적 대안
4.3. 정책적 대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경기 여성 현황
1.1.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2001년 대한폐경학회에서 실시한 갤럽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은 49.7세이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기준으로 국내 50세 이상 폐경 여성 인구는 전체 여성 인구의 31.8%를 차지한다. 또한 흡연은 폐경 연령을 2년가량 앞당기며 자궁을 절제한 경우에도 폐경이 앞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여성들은 폐경을 직업의 상실이나 사별과 같은 부정적 사건으로 인식하기도 하고 질병으로 간주하기도 하며, 사춘기와 같은 생애 전환점의 하나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로 폐경을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평균 연령은 48.4세이며 기혼여성이 95%로 가장 많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44%로 가장 높고, 종교는 없는 경우가 65%이며 직업은 전업주부가 71%를 차지한다. 가구 월수입은 200만원 미만이 48%, 200만원 이상이 52%이다. 주관적 건강 상태는 '보통'이 57%로 가장 많고, 과거 산과적 질병력은 없는 경우가 53%이며 74%가 현재 성생활을 하고 있고 그중 46%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구 월수입 200만원 이상인 경우가 200만원 미만인 경우보다 폐경 지식수준이 높았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폐경기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평균 연령, 가족구성, 학력, 직업, 경제수준, 건강 및 성생활 실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1.2. 해외 폐경기 여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해외 여성의 경우 대부분 45~55세 사이에 폐경에 도달한다. 중간 추정 연령은 호주 여성의 경우 51.5세, 스페인 여성의 경우 52.0세, 라틴 아메리카 여성의 경우 50.5세이다. 그러나 100명의 여성 중 약 1명이 40세 이전에 폐경을 경험하기도 한다.
월경이 12개월 연속 중단되면 여성은 폐경에 걸린 것으로 간주되며, 여성은 지방 정부 인력의 70%를 차지한다. 또한 낮은 수준의 교육은 폐경기의 더 이른 나이와 관련이 있다.
킹스 칼리지가 주도한 연구에 따르면 낮은 에스트로겐 수치는 많은 여성들이 장기간 우울로 고통받을 위험이 있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증상은 직장에서 여성에게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CIPD(Chartered Institute of Personnel and Development) 조사에 따르면 폐경기 증상을 겪고 있는 45~55세 사이의 근로 여성 5명 중 3명(55%)이 직장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CIPD 설문 조사에 참여한 여성의 거의 30%는 증상으로 인해 병가를 냈다고 말했으며, 2016년 여성 복지 조사에 따르면 4명 중 한 명은 직장에서 증상의 영향으로 인해 직장을 그만두는 것을 고려하기까지 했다.
유엔은 전 세계적으로 2020년 985만 명의 여성이 50세 이상이라고 추정했으며, 이 수치는 2050년까지 1.65억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국은 폐경 후 여성의 수와 매년 폐경에 도달하는 숫자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얻기 어렵다고 하지만, 약 6,000명의 미국 여성이 매일 폐경에 도달한다고 말했다(연간 2백만 명 이상). 그리고 2020년 전 세계적으로 657만 명의 여성들 중 47%가 노동력에 기여했었다.
미국 전역의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여성 1,0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폐경 상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약 3분의 1(29%)이 폐경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여성의 거의 절반(45%)은 폐경으로 이어지...
참고 자료
「수문사」 성미혜 외 공역, 여성건강간호학 Ⅱ
[네이버 지식백과] 폐경이행기 및 폐경 [menopausal transition, menopaus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Antonio Cano, et al., The Mediterranean Diet and Menopausal Health: An EMAS Position Statement Maturitas, 01 July 2020
https://www.emas-online.org/wp-content/uploads/2020/07/The-Mediterranean-diet-and-menopausal-health.pdf Accessed: 29 April 2022
EMAS Press Release: Menopause In the Workplace Must Become A Global Policy. 18 August 2021. European Menopause and Andropause Society
https://www.emas-online.org/press_release_menopause_must_become_a_global_policy/ Accessed: 29 April 2022
Forbes
https://www.forbes.com/sites/debgordon/2021/07/13/73-of-women-dont-treat-their-menopause-symptoms-new-survey-shows/?sh=4afd2655454f
Jean hailes(호주 여성 건강지), https://www.jeanhailes.org.au/health-a-z/menopause/menopause-management
NHS(영국의 국민 보건 서비스), https://www.nhs.uk/conditions/menopause/symptoms/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Menopause Practice: A Clinician’s Guide – Chapter 1: Overview of Menopause: Demographics. 5th Edition 2014:1.1
김인경 외 2, 2012년, 폐경기 여성의 폐경 지식관 폐경 관리, 대한폐경학회지, 18(2)
김영화 외2, 2018년, 중년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에 대한 융복합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5)
임인숙, 백수경, 2015년, 중년여성들의 완경 경험과 여성성 상실감의 관계, 한국여성학회, 31(1)
조주희, 2013년, 폐경기 증상에 대한 행동 양식과 여성건강관련 실태 조사, 삼성서울병원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421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http://www.nrc.go.kr/portal/html/content.do?depth=dw&menu_cd=05_01_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