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련 역사사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관련 역사사건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1.2.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3.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 비교 및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
1.4. 모스크바 3상회의 내용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
2. 존경하는 인물: 간호학자 김수지 교수
2.1. 선정 이유
2.2. 간략한 인물 소개
2.3. 나에게 끼친 영향
2.4. 현재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
3. 역사 전환점: 서양의학의 도입
3.1. 선정 이유
3.2. 사건, 사실에 대한 설명
3.3. 사건 이후 우리 역사에 끼친 영향
3.4. 선택한 사건이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
3.5.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관련 역사사건
1.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세도정치가 지속되면서 백성들의 삶이 점점 더 어려워졌다. 삼정의 문란으로 인해 농민들이 분노에 빠졌다. 이 중 전정이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했는데, 각종 부가세가 늘면서 농민들의 고통이 가중되었다. 또한 군정의 문란으로 어린아이와 죽은 사람에게까지 군포가 징수되었으며, 환정에서는 모래가 섞인 쌀이 농민들에게 제공되면서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862년 경상도 진주에서 농민봉기가 시작되었고, 전라도와 충청도로 퍼져나갔다. 진주농민항쟁에서는 몰락한 양반 후손들도 참여하였고, 진정서 제출이 묵살되자 농민들이 앞장서 관아를 습격했다. 정부에서는 회유책과 군사 개입을 통해 농민봉기를 진압하고자 했지만 이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농민봉기를 계기로 삼정이정청이 설치되어 삼정 문란을 해결하고자 했고, 철종이 삼정 개혁안을 올리기로 했다. 따라서 1862년 농민봉기는 세도정치기 문란한 삼정 운영에 대한 농민들의 저항이었으며, 삼정 개혁의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아관파천 사건이 일어난 후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에서 지내기 시작했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황제 칭호를 사용했으며 국호를 대한제국이라고 고쳤고 연호를 광무라고 정했다. 그동안 줄곧 조선은 중국을 사대하면서 조공을 받쳐왔지만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이를 청산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전통적인 유교 질서 속에서 남아 있었던 사대관계를 정리하고자 했으며, 이는 세계 열강들에게 자주독립을 하고 싶다는 열망을 내비친 것이기도 했다.
정부는 만민공동회를 혁파하고 나서 대한제국의 헌법을 제정했다. 법을 통해서 명확하게 주권을 명시했으며 전제군주정을 내세웠다. 정부에서는 1899년에는 통상조약인 한청수호조약을 맺었다. 대한제국은 세계 열강들이 서로 경쟁하는 것을 이용해 여러 가지 개혁을 펼쳤고 이를 광무개혁이라고 한다.
광무개혁은 서양의 제도를 받아들여서 국가의 발전을 이룩하려고 한 것으로 갑오개혁이 외세에 의존해서 실패한 것에서 교훈을 삼아 전통적인 제도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제도를 받아들이려고 했다. 대한제국은 국가의 자주성을 위해서 국방을 강화시키고자 했으며 재정을 개혁하고 상공업을 육성하고자 했다.
먼저 고종이 군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원수부를 설치했으며, 황제호위부대를 증강했다. 또한, 전함을 수입하여 해군력을 키워 나갔다. 정부는 조세 수입을 늘리기 위해서 토지 소유권을 확립하고자 했고 1899년에 이를 위한 양지아문을 서리했다. 이 시기부터 1903년까지 토지조사사업이 벌어졌다. 이를 통해서 토지를 법률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매매가 가능해졌고 국가 개정이 개선되었다. 정부는 상공업 발전을 위해서 제조 공장을 설립하고 민간에 제조회사 설립을 지원했다. 또한, 근대 과학기술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공학교와 광무학교를 설립했다.
광무개혁은 이처럼 전제군주제를 확립하면서 근대 국가를 지향하기 위해서 여러 방면에서 노력했다. 실제로 짧은 기간 동안 성공을 보였지만 1904년에 일본이 러일전쟁을 일으키면서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이 중단되었다. 또한, 개혁을 추진한 세력도 역시 국민들의 열정을 모두 담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3.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통치 방식 비교 및 일제 식민 통치의 본질
1910년에 일본은 조선을 강제적으로 병합한 뒤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하였다. 일본은 헌병경찰제도를 도입하여 헌병경찰이 일반 경찰업무까지 담당하면서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고 일반 행정에도 관여하였다. 이에 따라 정식 절차나 재판을 거치지 않고도 조선인들에게 벌금이나 태형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교사들에게 제복을 입히고 칼을 차게 하여 민중을 위협하기도 하였다.
이에 불만을 가진 사람들과 독립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비밀결사운동을 펼치며 만주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이어나갔다. 제1차 세계대전이...
참고 자료
이지은, 한국 최초의 간호학 박사이자 한국의 나이팅게일, 김수지 교수, 간호사 타임즈, 2021.11.03.
http://www.fornurs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94
한국의 나이팅게일, 50년간 이웃을 보듬다 - ④ 故 김수지, 대한민국과학기술유공자
http://koreascientists.kr/scientists/story/news/?boardId=bbs_0000000000000015&mode=view&cntId=15&category=&pageIdx=
조우현, 박종연, 박춘선, 우리나라 근대 병원의 등장-19세기 말 20세기 초의 병원들-, 대한의사학회, 2002
최명민. "조현병과 사회적 낙인 : 그 형성기제와 극복방안."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9.1 (2021): 206-228.
김민희 기자, ““마음에 병, 숨기는 게 현실”…정신장애인 향한 사회적 낙인부터 없애야”, 강원일보, 23.04.18. http://www.kwnews.co.kr/page/view/2023041617450643096
김상희, 김재현 외 ,인간성장발달과 건강,고문사,2019.
최경숙, 아동발달심리학, 교문사, 2006.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2.
김정희 외, 아동발달심리, 동문사, 1997.
조복희, 아동발달의 이해, 교육과학사, 1995.
문용린외 역(1991). 브론펜브레너가 본 미국과 소련의 아이들. 샘터.
이옥형(1997). 아동발달. 집문당.
이은화외 역(1995). 교육현장에서 본 아동 발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https://www.wikidata.org/wiki/Q643339
https://blog.naber.com/spring_ing34/221245524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