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다태임신의 정의 및 원인
다태임신이란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임신한 상태이다. 쌍태임신은 둘 이상의 태아가 자궁 안에서 함께 자라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를 쌍둥이라고 부른다. 일란성 쌍태아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란성 쌍태아의 경우 노령 임산부, 키가 크고 체중이 많이 나가는 임산부, 아이를 많이 낳았던 산모, 쌍태아를 출산한 친족이 있는 가족력, 배란유도제에 의한 임신 등이 원인이 된다. 일란성 쌍태임신은 하나의 난자가 배란되어 한 개의 정자와 수정된 후 2개로 분리되는 경우이며, 이란성 쌍태임신은 2개의 난자가 한꺼번에 배란되어 각각 수정과 착상이 된 경우이다. 다태임신의 원인은 다양하며, 이에 따라 일란성과 이란성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1.2. 다태임신의 증상 및 진단
다태임신의 초기 증상은 단태아와 차이가 없으며, 종종 심한 입덧 증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두 명 이상의 태아와 두 개 이상의 심음을 확인하여야 다태임신을 진단할 수 있다. 겉모습으로 볼 때 임신 주수에 비해 산모의 배가 클 경우 다태아를 의심할 수 있지만, 다태아를 확진하기 위해서는 초음파상으로 태아가 한 명 이상인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쌍태임신에서 난성보다 융모막성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태임신 초음파에서는 융모막성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이융모막성(일란성 쌍태임신의 30~40%), 단일융모막성 이양막성(일란성 쌍태임신의 60~70%), 단일융모막성 단일양막성(일란성 쌍태임신의 1~3%), 결합 쌍태아 등 융모막성과 양막성에 따라 다태임신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1.3. 다태임신의 치료 및 간호
다태임신인 경우 단태임신에 비해 영양소의 요구량이 증가하므로 영양 섭취에 신경을 써야 한다. 단태임신에 비해 열량의 하루 요구량이 300kcal 증가하고, 엽산의 하루 요구량이 1mg 증가한다. 철분의 하루 요구량도 약 2배 증가한다.
또한 단태임신에 비해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산전 관리가 중요하다. 산모와 태아의 사망ㆍ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선천성 기형의 유무를 검사하고 모체 측 질환을 파악하여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조산을 방지하고 태아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며, 태아의 상태가 좋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태아가 사망하기 전에 분만한다.
특히 일란성 쌍태임신에서는 두 태아 사이의 혈관 문합을 통한 혈류의 불균형으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태아의 기형 발생 빈도가 높기 때문에 16주 이후부터 2주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다태임신의 경우 임부는 뱃속 아기의 수에 비례해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자간전증,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구토, 통증, 부종 등이 있다. 또한 단일 양막성 쌍둥이 임신, 결합 쌍둥이, 무심장 쌍둥이, 태아 간 혈관 연결, 쌍둥이 간 수혈 증후군 등 다태임신 특유의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다.
단태임신에 비해 모체의 신체적 변화가 크다. 모체의 혈액증가량이 임신 전보다 50~60% 증가하고, 질식 분만 시의 출혈량도 935ml 이상으로 증가한다. 또한 양수량 과다로 산모 호흡곤란이 올 수 있어 이 경우 양수 천자를 통해 양수를 제거하여 증상을 완화시켜줘야 한다.
2. 본론
2.1. 건강사정
2.1.1. 일반적 특성
김**은 29세의 기혼 여성이다. 교육 수준은 대졸이며, 직업은 공무원이다. 종교는 기독교이고, 경제 상태는 언급되지 않았다. 2021년 1월 16일에 병원에 입원하였으며, 주 증상은 질출혈과 소변 볼 때 분홍색으로 변색된 증상이었다. 가족형태는 가족 수가 2명이며, 희망 자녀 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