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교육문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상세정보

소개글

"뉴질랜드교육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뉴질랜드의 개요

2. 뉴질랜드의 역사

3. 뉴질랜드의 환경
3.1. 자원
3.2. 농·목축업
3.3. 공업
3.4. 무역
3.5. 교통
3.6. 관광
3.7. 주민·인구
3.8. 사회복지
3.9. 교육
3.10. 스포츠·문화

4. 뉴질랜드의 교육
4.1. 개요
4.2. 교육 환경
4.3. 학제

5. 뉴질랜드의 교육제도

6. 뉴질랜드의 교육제도 현황
6.1. 유아교육
6.2. 초·중등교육(의무교육)
6.3. 고등교육

7.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7.1. 의사소통 기능
7.2. 수학적 사고 기능
7.3. 정보활용 기능
7.4. 문제해결 기능
7.5. 자기관리 기능
7.6. 사회성 및 협동성
7.7. 신체적 기능
7.8. 작업 및 학습 기능

8. 뉴질랜드의 학점은행제
8.1. 추진 배경
8.2. 국가 자격 인정 체제 및 운영

9. 결론
9.1. 연구 요약
9.2. 교육에서 AI의 미래 전망
9.3. 정책적 제언과 사회적 함의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뉴질랜드의 개요

뉴질랜드는 남서태평양에 있는 섬나라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남동쪽으로 폭이 약 2000㎞인 태즈먼해를 사이에 두고 있다. 주로 북섬(北島;11만 4690㎢)과 남섬(南島;15만 460㎢)의 2개 섬으로 되어 있으며, 그 밖에 스튜어트섬·채텀제도를 거느리고 있다. 면적 26만 8680㎢이며, 대체로 남위 33~53˚, 동경 162~173˚ 안에 있다. 관할 도서로 토켈라우제도·쿡제도(1965년 자치정부 발족)·니우에섬(1974년 자치정부 발족)이 있다. 1907년 영국의 자치령이 되고 47년에 정식으로 독립하였다. 영연방(코먼웰스)가맹국이며 공용어는 영어이다. 수도는 웰링턴이다. 국명은 1642년 네덜란드 탐험가 A.J. 타스만이 Staten Landt(남국이라는 뜻)로 명명했으나, 뒤에 네덜란드의 한 지명을 따서 Nieuw Zeeland(새로운 젤란트라는 뜻)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또한 마오리족(族)은 아오테아로아(Aotearoa;희고 긴 구름이라는 뜻)라고 불렀다. 이 나라는 폴리네시아문화권에 속하지만 19세기 중엽 이래 영국으로부터 많은 이민을 받아들인 결과 백인의 비율이 90%를 차지하여 그 밖의 폴리네시아도서와는 다른 발전을 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남반구에 있어서 백인주도(白人主導)의 나라로서 생활수준이 높은 완전복지국가가 되어 있다. 국기는 영연방가맹국임을 나타내는 유니언잭에다 남십자성을 나타내는 4개의 별을 배치한 것이다. 뉴질랜드국가(國歌)는 < God Save the queen>과 < God Defend New Zealand>의 2종류가 있다.


2. 뉴질랜드의 역사

뉴질랜드에 최초로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서기 10세기경 폴리네시아 마오리(maori)족의 조상들이 정착하면서부터이다. 이들은 친족을 중심으로 이위(iwi)라는 종족을 형성하여 살았고, 곧 환경에 적응하여 1200년까지는 남섬과 북섬 모두에 정착하였는데 대부분은 기후가 따뜻한 북섬의 상단에 거주하였다. 이곳에 최초로 도착한 유럽 항해자는 1642년에서 43년까지 이 해안을 항해한 네덜란드의 탐험가인 아벨 타스만(Abel Tasman)이었다. 이후 1769년까지는 다른 유럽인이 이곳에 도착하였다는 기록이 없다. 1769년과 1774년 사이에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James Cook)선장이 이곳에 세차례나 상륙하면서 당시 영국왕인 조오지 3세의 이름으로 영국령(英國領)을 선포하였다. 이후 1800년대에 이르러 상인, 개척자, 고래잡이 및 선교사들의 정착이 쇄도하면서 1840년까지 2,000명의 유럽인들(pakeha)이 이곳에 들어와 살게 되었으며 당시 마오리 인구는 10만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영국과 원주민인 마오리족간의 공식적인 관계는 1840년 와이탕이 조약(the Treaty of Waitangi)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 조약에 의해 마오리족은 입법권을 영국왕에게 양도하고 대신 마오리인들은 그들의 토지, 어업, 그밖의 귀중한 소유권에 대한 독점권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오리인들은 영국국민으로서의 권리와 특권을 누릴 수 있도록 규정되었다. 이 조약의 체결로 1840년대에서 1850년대 사이에 영국에서 많은 이주자들이 들어와 마을을 세우고 경작을 시작하였으며, 영국은 1856년 뉴질랜드에 '의무이행 가능한 정부'(responsible government)를 승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유럽에서의 이주가 증가하자 원주민과의 이해관계의 상충이 자주 발생하였고 급기야 1860년대에는 북섬에서 원주민과 이주자들 간의 전쟁으로 비화되었다. 마오리족은 이 전쟁에서 패하여, 토지를 빼앗기고 소수로 전락하게 되었다. 1860년부터 시작된 골드러시가 끝나자 이주민 사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뉴질랜드는 현재와 같은 국가형태를 이루어가기 시작하였다. 1840년의 조약 이후 뉴질랜드는 생활의 대부분을 모국인 영국과의 무역에 의존하여 왔으며 20세기초만 하여도 지구상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중의 하나였다. 뉴질랜드의 대외무역에서 중요한 수출품은 주로 영국으로 수출되는 육류, 양모, 낙농제품 등 1차 산물들이었으며, 수입품은 원유, 공산품이나 국내산업에 필요한 자원이 주종을 이루었다. 또한 뉴질랜드는 가장 빠른 시기에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입법이 이루어진 나라였다. 1890년 최초의 1인 1투표 제도에 의한 일반선거가 실시된 이후 1893년에는 여성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졌다. 노사관계 및 임금규제법이 제정되었고, 노령연금법(Old Age Pension Act)이 1898년에 의회에서 통과되었고 1911년에는 과부에게까지 확대되었다. 또 1926년에는 저소득층 가족을 위한 가족법(Family Allowance Act)이 시행되었다. 이러한 조치들은 결국 1938년 노동당정권에 의하여 특별소비세에 의해 기금이 조성되는 무료의료서비스의 제공과 연금확대를 규정하는 사회보장법이 도입됨으로써 포괄적인 사회보장제도로 정착하게 되었다. 뉴질랜드의 정치형태는 영국의 영향으로 노동당(Labour Party)과 국민당(National Party)이 3년마다 실시되는 총선의 결과에 따라 정권을 주고받는 단원제의 내각책임제가 오랜 기간 지속되었으며, 총선의 결과로써 혼합비례대표제(the Mixed Member Proportional System ; MMP)방식으로 전환되었다.


3. 뉴질랜드의 환경
3.1. 자원

뉴질랜드는 석탄·사철(砂鐵)·수력·목재를 제외하고는 자원이 부족하다. 석탄의 확인 매장량은 2억 1000만t이며 연간생산량은 약 327만t이다. 남섬의 북서부에는 주요 탄광이 집중되어 있으며 북섬의 티탄·마그네사이트 사철광상(鑛床)이 수출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풍부한 강수량과 산지·호소(湖沼)로 수력발전이 성하며, 이것으로 전력의 3/4을 충당하고 있다. 총발전량은 390억 ㎾h이다. 삼림은 국토의 1/4이며 개발가능한 것은 10% 정도이다. 최근에는 식목효과가 나타나 라디아타송(松) 등이 수출되고 있다.


3.2. 농·목축업

뉴질랜드의 농·목축업은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핵심적인 산업 분야이다. 농지면적은 2122만 ha에 이르고 있으나 실제 경작지는 49만 ha에 불과하다. 이는 뉴질랜드 농업이 주로 목초에 의존하는 초지농업(草地農業)이기 때문이다. 면양 4314만 마리, 소 963만 마리, 돼지 35만 마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경영규모는 면양의 경우 460 ha, 면양·소맥의 혼합농업이 약 190 ha, 낙농은 약 60 ha이다. 농업종사자 1인당 경작지는 97 ha로 매우 넓은 편이며, 노동생산성 또한 세계적인 수준이다. 국내총생산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0%에 못 미치지만,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뉴질랜드 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뉴질랜드는 소와 면양 등 축산업과 낙농업이 주를 이루는 농·목축업 중심의 국가이다. 방목 면적의 확대와 경영 규모의 증가를 통해 노동생산성이 높은 편이며, 이는 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중심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이 되고 있다.


3.3. 공업

제2차산업 노동자의 비율은 21%이며, 농업의 약 3배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총생산 중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7%로 다른 산업부문에 비하여 생산성은 높지 않다. 이는 식육가공·낙농품 등의 중소공장이 8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알루미늄 정련, 선강일관 공장 등 중공업부문에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알루미늄은 수출산업으로 확립되어 있다. 공장의 70%가 북섬, 특히 오클랜드지방에 집중되어 있다.

제2차산업 노동자의 비율이 전체 노동자의 21%를 차지하고 있으나, 제조업의 국내총생산 기여도는 다른 산업부문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는 주로 식육가공, 낙농품과 같은 중소공장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알루미늄 정련, 제철소 등 중공업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은 주요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공장의 지리적 분포를 보면 북섬, 특히 오클랜드 지역에 70%가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3.4. 무역

뉴질랜드의 대외무역은 수출 142억 달러, 수입 150억 달러 규모이다. 주요 수출품목은 낙농품, 육류 등 1차 산물이며, 주요 수입품은 석유를 포함한 공산품이다. 주요 무역대상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미국, 영국 등이다.

뉴질랜드는 1976년 이후 수출품목의 다양화가 이루어졌는데, 그 이전까지는 주로 영국으로 수출되는 육류, 양모, 낙농제품 등 1차 산물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1976년 이후 알루미늄 수출이 추가되면서 수출품목이 다양화되었다.

수입품은 석유를 비롯한 공산품이 주를 이룬다. 주요 수입대상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미국 등이다. 1970년대 이후 영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감소하고 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뉴질랜드의 수출 증대를 위해 1985년 신수출진흥계획을 수립하여 해외시장 개척과 신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하였다. 또한 1984년부터 높은 관세를 단계적으로 인하하고 수입허가제를 폐지하는 등 무역자유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뉴질랜드의 개방도가 1983년에서 1993년 사이 42% 증가하였고, 경상수지 적자도 1985년 GDP의 9% 수준에서 1993년 2% 이하로 감소하였다.
...


참고 자료

* 김근세(1997), 권위에서 시장으로-뉴질랜드 정부조직개편의 본질과 한계, 한국정책학회보 6-2, 한국정책학회
* 김우정(1998), 뉴질랜드의 교육, 교육과학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1996), 뉴질랜드 편람
* 도널스 브래스(1997), 공병호 역, 뉴질랜드 개혁이야기, 자유기업센터
* 정종진(1999), 뉴질랜드 교육제도의 현황과 개혁동향, 초등교육연구논총 제 14권,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 홍우창(1996), 우리는 지금 뉴질랜드로 간다, 민서출판사
* 한국은행 조사연구자료(1996), 뉴질랜드 금융경제개혁의 특징 및 시사점
김재훈, 박광훈(1999), 뉴질랜드의 정부회계제도개혁 발생기준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3(2): 107-122,
삼성출판사(1997) 편집부 자신만만 세계여행 뉴질랜드 피지, 삼성출판사
옥동석, (1999b), 뉴질랜드의 재정관리시스템, 한화경제, 4월호: 27-43,
윤성식(1997), 최근 선진국예산개혁의 교훈 대리인이론의 관점, 한국행정학보 31-2, 한국행윤영진외(1999), 정부개혁의 모델: 뉴질랜드에서 배운다」, 서울: 지샘,
이계식(1995), 뉴질랜드 새로운 국가, 이계식, 문형식 편, 정부혁신, 한국개발연구원
정종진(1998), 뉴질랜드의 교육, 교육과학사
정학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