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가계도와 생태도의 개념과 특징
가계도는 내담자를 중심으로 2-3 세대에 걸친 가족 구성원들의 정보와 관계(주로 사회적 관계와 감정적 관계를 모두 포함함), 그리고 그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들을 명료화·범례화하여, 알아보기 쉽게 정리한 표나 도표이다. 따라서 가계도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 가족 전체의 구성과 구조, 역사성, 속성 및 경향, 성격, 역할 및 관계, 생애 주기, 가족 유형, 가족 변화의 양상 및 주요 문제점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담자의 기본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원활한 상담이나 기타 사회복지 적용의 장면에서 충분한 윤활유 역할을 해줄 수 있다.
생태도는 가계도의 더욱 확장된 정보제공 도표로 활용되는 개념으로, 내담자와 내담자의 가족 전체가 처해있는 환경, 자원, 사회적 기반, 제도, 시설 등과의 관계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담고 있다. 생태도를 통해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들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으며, 잠재적 갈등요소나 환경의 질, 수준에 대해 비교적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보완해야 할 자원이나 환경요소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1.2. 사회복지실천에서의 활용
사회복지사는 가계도와 생태도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계도는 내담자를 중심으로 2-3세대 가족 구성원의 정보와 관계를 범례화한 도표이다. 이를 통해 상담자는 가족 구성, 역사, 성격, 역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내담자의 기본 정보를 쉽게 확인함으로써 상담 과정에서 윤활유 역할을 한다.
생태도는 가계도를 확장하여 내담자를 둘러싼 환경 체계와의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생태도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와 가족이 처한 환경, 활용 가능한 자원, 갈등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에 대한 생물-생태론적 관점에서의 총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즉, 가계도와 생태도는 내담자 및 가족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상담자로 하여금 문제의 본질과 원인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신뢰관계 형성과 함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2]
1.3. 본 과제의 목적
본 과제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에서 필요한 자기이해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본인 가족의 가계도와 생태도를 통해 자기이해의 실제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사회복지사의 자기이해는 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