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개론 간호이론 로즈마리 파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로즈마리 파시(Rosemaries Rizzo Parse)의 약력과 저서
1.2. 이론의 배경
1.3. 이론 개발에 대한 근거
1.4. 이론의 철학적 가정
1.5. 이론의 원리 및 개념
2. 본론
2.1.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2.2. 연구방법론
3. 결론
3.1. 이론의 적용
3.2. 이론의 평가
3.3. Parse에 대한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로즈마리 파시(Rosemaries Rizzo Parse)의 약력과 저서
로즈마리 파시는 미국 피츠버그 뒤켄대학교에서 간호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9년에는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간호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뉴욕시의 헌터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간호연구 센터의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1993년부터 2006년까지는 시카고의 로욜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7년 1월부터는 뉴욕대학의 이론 자문과 교환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또한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에 위치한 Discovery International사의 설립자이자 회장으로, 국제 간호 이론 컨퍼런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간호과학잡지(Nursing Science Quarterly)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1974년 '간호학 개론[Nursing Fundamentals]'을 저술하였고, 1981년 '인간-삶-건강; 간호 이론[Man-Living-Health; A Theory of Nursing]'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처음 공식화하였다. 이후 1987년 '간호과학; 주요 패러다임, 이론 그리고 비판'을 공저하면서 간호의 패러다임을 전체성 패러다임과 동시성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였다. 1991년에는 자신의 이론을 '인간 되어감의 이론'으로 명명하였고, 1992년 '인간 되어감 이론'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1995년 '간호에 대한 새로운 조명 : 간호실무와 연구에서 인간 되어감 이론'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정립하고 가족에 적용하여 가족 중심의 실무 방법과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1998년 '인간이 되어감 학파: 간호사에 대한 관심 사항 및 기타 보건 전문가'와 1999년 '간호지식 증진을 위한 정직성', 2002년 '통합적 인간관점에서 의료 전달의 변혁' 등의 저서를 발표하였다.
1.2. 이론의 배경
의학과 간호학의 본질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인지하였다. 의학은 인간을 기계론적 생물, 정신, 사회적 존재로 보아 인간을 부분의 합으로 보며 질병을 치료하고 통제하고 예방하는 진단과 치료를 중심으로 하고, 간호학은 인간을 통합된 존재로 보고 부분의 합 그 이상이며 돌봄과 회복을 삼는다. 인간 되어감 학파는 Dilthey와 다른 학자들에 의해 지난 세기 동안 지지되어온 인문 과학의 기초가 되어가고 있다. 이론을 개발할 당시에 파시는 피츠버그 뒤켄대학에 있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 뒤켄대학은 미국의 실존적 현상학 운동의 중심지였다. 실존적 현상주의의 기본적 원리를 근간으로 로저스에 의해 발전되고 하이데거, 샤르트르, 메를로퐁티에 의해 명료해진 단일한 인류의 과학을 종합적으로 다룸으로써, parse는 인문과학으로서 간호업무를 확고히 하였다. 간호사는 그들의 업무와 학술연구를 지도하는 특별한 지식 기반이 필요하며 이 지식은 인간-세계-건강-과정에 관한 것으로 간호사로서 그들의 본분을 다하기 위해 필수적이라는 주장에 동의하였다. Parse는 특히 Rogers...
참고 자료
김지미 외 공저, 『간호학 개론』, 계축문화사, 2019, p35~51
김혜원 외 공역, 『간호이론가와 이론 Ⅰ, Ⅱ』, 대학서림, 2016(개정 8판)
이강도·김명자, "Parse의 인간 되어감 이론:Coherence Model에 의한 분석 및 평가 논문," 간호과학논집 3 no.1 (1998.08.31.): 75-90.
약물의 존자 회복체험연구 - 인간되어감 방법론을 적용하여 (2013) 윤현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parse, R. R. (1981). Man- living-health: A theory of nursing
. New York: John Wiley & Sons.
최혜숙 “암 환자 가족의 고통체험: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 적용”/국회도서관 사이트/ 2011년/ P1~39
https://nursing-theory.org/ (외국 사이트) / Prase 관련 부분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100110000/221578853784 / 메타 패러다임, 연구방법론, 이론의 적용·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