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22 국어 교육과정 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2022 국어 교육과정 문학
1.1.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1.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1.3. 의사소통 유형
1.4. 의사소통 교육의 중요성
2. 한국어 교재와 국어 교과서의 차이
2.1. 한국어 교재의 특징
2.2. 국어 교과서의 특징
2.3. 한국어 교재와 국어 교과서의 차이점
3. 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시사점
3.1. 2022 국어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3.2. 국어 교과서의 변화 양상
3.3. 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2022 국어 교육과정 문학
1.1. 의사소통의 의미와 기능
의사소통은 발신자와 수신자 간 메시지를 주고받는 행위로, 상호작용을 통해 생각, 느낌, 가치관 등을 전달하는 현상이다. 의사소통은 인간관계의 필수적인 매개체로서 인간사회에 매우 중요하다. 의사소통은 생활환경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구성원을 교육하며, 즐거움을 주고, 서로를 설득하여 합의를 얻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의사소통을 통해 발신자의 내적 긴장을 완화하고, 소속감을 얻으며, 정서적 안정과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의사소통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인간 생활에서 필수적인 행위라 할 수 있다.
1.2. 의사소통의 구성요소
발신자, 정보, 전달 매체, 수신자, 반응은 의사소통의 구성요소이다. 발신자는 행위자를 의미하며, 개인 또는 집단일 수 있다. 정보는 발신자가 보내고자 하는 내용으로 객관적 사물, 사상, 개념, 감정 등이 해당되며 메시지라고도 한다. 전달 매체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언어적 방법인 말, 글 등과 비언어적 방법인 몸짓, 표정, 행동 등이 있다. 수신자는 메시지를 받는 개인이나 집단을 말한다. 반응은 메시지를 받는 수신자의 응답을 의미하며, 발신자가 의도한 반응을 효과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의 구성요소는 발신자, 정보, 전달 매체, 수신자,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1.3. 의사소통 유형
의사소통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Beaubien(1970)은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메시지의 선택, 전달, 환류(feedback) 요소를 기준으로 의사소통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Satir(1972)는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인 일치형과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인 회유형, 비난형, 평가형, 산만형 등 5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일치형은 의사소통의 내용과 내면의 감정이 일치하는 유형이다. 회유형은 자신의 의사보다는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려고 애쓰는 유형이다. 비난형은 지배적이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유형이다. 평가형은 객관적이고 냉담하여 정서적 교류를 하지 않는 유형이다. 산만형은 주변 일에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는 유형이다.
이처럼 의사소통에는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이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사소통 유형을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의사소통 교육의 중요성
의사소통은 인간관계와 사회적 ...
참고 자료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고등학교』
교육부(2019), 『주간보도자료』,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한국교육과정 평가원(2020), 『포지션 페이퍼 통권76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과와 발전 방향: 서·논술형 수능 도입 가능성 모색」
홍정기(2006), 교수·학습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불일치 현상의 이론적 고찰, 교육과정평가연구
김주현, 이용진(2015),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 대한공업교육학회
이승효(2011), 고등학생의 의사소통유형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Satir의 의사소통유형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금성출판사, 중등 기술·가정②
2022학년도 국어과 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