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형외과 수술의 종류
1.1. 어깨 수술
1.1.1. 회전근개 봉합술
회전근개 봉합술은 어깨 관절 부위에 최소 절개를 하여 관절 내시경으로 찢어진 힘줄을 봉합하는 수술이다. 회전근개가 손상되면 어깨 통증, 어깨를 벌리거나 들어 올리는 동작, 뒷짐이 지는 동작을 할 수 없으며 근육의 약화가 나타난다.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진행되며, 회전근개 힘줄을 상완골두에 봉합하여 고정한다. 수술 후 6~8주 동안 보조기를 착용하고 재활 치료를 병행해야 하며, 수술 후 2~3개월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6개월 정도가 지나면 통증은 점차 감소한다. 봉합부위의 재파열 위험과 관절 강직의 발생 가능성이 있어 수술 후 적절한 재활 운동이 매우 중요하다.
1.1.2. 견봉하 감압술
견봉하 감압술은 견봉하 공간에 있는 기계적 충돌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압력을 감소시켜주는 수술이다. 이는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충돌증후군 환자들에게 시행되는 수술이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견관절 움직임 시 회전근개 힘줄과 부딪히는 견봉의 아랫부분을 2-3mm 깎아 평탄화시킨다. 이를 통해 상완골과 견봉사이의 조직의 압력을 낮춰준다.
수술 후 특별한 보조기도 필요하지 않으며 2~3일 정도면 퇴원할 수 있는 간단한 수술이다. 하지만 부위가 어깨인 만큼 수술 후 섬세한 통증 조절이 필요하다.
1.1.3.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견관절 치환술은 어깨 손상 정도에 따라 반치환술, 전치환술,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게 된다. 역행성 전치환술은 어깨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회전근개 힘줄이 없을 때 삼각근이 힘줄 대신 역할을 해주는 수술방법이다.
회전근개 힘줄이 없는 환자에게 시행되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은 관절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를 위해 삼각근이 회전근개 힘줄의 기능을 대신한다. 삼각근이 어깨를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은 어깨 움직임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더 어렵고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며, 관절의 밸런스를 잘못 맞출 경우 지속적인 탈구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술기와 경험이 필요한 수술이라고 할 수 있다.
1.1.4. 견봉성형술
견봉성형술(acromioplasty)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견관절 움직임 시 회전근개 힘줄과 부딪히는 견봉의 아랫부분을 2-3mm 깎아 평탄화시키는 수술이다. 상완골과 과도하게 자란 견봉돌기가 부딪히며 통증 및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 즉 충돌증후군 환자들에게 시행되는 수술이다. 피부를 절개하는 것이 아니라 내시경으로 자그마한 구멍을 하나 뚫고 안쪽에서 견봉돌기를 절제한다. 따라서 보조기도 필요 없고 2~3일 정도면 퇴원할 수 있는 간단한 수술이지만 부위가 어깨인 만큼 수술 후 섬세한 통증 조절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술(arthroscopy)을 사용하여 어깨뼈봉우리(견봉, acromion)의 일부 또는 전부와 물렁조직(연부조직, soft tissue)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로, 어깨 관절을 지지하고 강화하는 회전근개(돌림근띠, rotator cuff)의 충돌(impringement)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한다.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뻗을 때 어깨의 통증이 있는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견봉 표면에서 힘줄(tendon)과 마찰이 있는 견봉의 작은 조각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 상완골과 견봉 사이의 조직의 압력을 낮추게 한다. 견봉성형술은 보조기 없이 간단히 진행할 수 있는 수술이지만, 어깨 부위라는 특성상 수술 후 섬세한 통증 관리가 필요하다.
1.2. 무릎 수술
1.2.1. 내시경적 반월상연골 절제술
내시경적 반월상연골 절제술은 관절 내부를 고해상도 카메라로 관찰하며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혈관이 분포하지 않는 연골판 내측 손상의 경우 손상된 연골 변연을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수술 다음날부터 보행이 가능하며 무릎 대퇴사두근 강화 및 관절 운동 범위 증진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혈관이 분포하는 연골판 가장자리 손상의 경우 봉합술을 시행한다. 젊은 나이와 외상 발생 후 시간이 많이 지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며, 4-6주간 양측 목발 보행과 대퇴사두근 운동 증진이 필요하다.
내시경적 반월상연골 절제술은 관절 내부를 최소 침습적으로 관찰하고 치료할 수 있어 수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연골판의 혈관 분포 여부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할 수 있어 환자의 특성과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술 후 관절 기능 회복과 통증 감소 등 양호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2.2. 전십자인대 재건술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중요한 구조물로, 무릎이 앞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퇴골이 경골에 비해 전내측으로 도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무릎 안에 피가 차면서 심하게 붓고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만약 시간이 지나서 만성기가 되면 급성기에 나타난 붓기나 통증이 점차 사라지지만 걷거나 운동할 때 무릎이 어긋나는 불안정 증상을 겪게 된다.
전방십자인대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연골이나 연골판에 2차적인 손상이 올 수 있고 조기에 관절염이 올 수 있다. 따라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수술 방법은 뼈에 터널을 만들어서 인대를 통과시켜 고정하는 것이다. 우선 경골 터널을 만들고 대퇴 터널까지 형성한 뒤 경골 터널에서부터 타가건을 올려 대퇴 터널로 통과시킨다. 대퇴 터널에 타가건을 통과시킨 후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인대를 강하게 고정한다. 경골 터널은 녹는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아래에 큰 나사못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고정한다.
자가건이나 타가건을 이용할 수 있는데, 자가건은 환자 본인의 인대를, 타가건은 타인의 인대를 사용하는 것이다. 수술 후에는 석고 부목으로 고정하며 보조기를 착용하여 관절 운동을 서서히 회복시킨다. 근육 힘이 회복됨에 따라 목발을 이용한 부분 체중 부하가 가능해지며, 퇴원 후에도 보조기와 목발을 사용하며 점진적으로 완전 체중 부하까지 이루어진다. 수술 후 6개월 정도가 지나면 통증이 대부분 사라지고 관절 기능이 회복되며, 1년 정도면 스포츠 활동까지 가능해진다.
1.2.3. 내측 반월상연골 및 외측 반월상연골 수술
내측 반월상연골 및 외측 반월상연골 수술은 무릎관절 부분에서 주요하게 시행되는 수술 방법이다. 반월상연골은 무릎관절의 안정성과 충격 흡수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반월상연골 내측 및 외측의 손상이나 병변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반월상연골 내측의 손상으로 인한 통증과 기능 저하가 발생하면 내시경적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다. 내측 반월상연골 절제술은 혈관이 분포하지 않는 연골판 내측 손상에 대해 시행하며, 수술 다음날부터 보행이 가능하고 무릎 대퇴사두근 강화 및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통해 재활 증진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