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심부전은 심장 기능의 이상으로 체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혈류를 심장이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의학기술의 발달로 심부전의 원인이 되는 질환들이 잘 치료되면서 생존한 환자들이 늘어나 심부전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사망률을 줄이고 질병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는 심부전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현황을 파악하고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심부전의 정의는 신체 조직에서의 대사요구에 대해 심장이 충분한 양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순환계에 불균형을 초래하는 심근의 기능장애를 의미한다. 또한 울혈성 심부전은 심박출량의 감소로 체내조직의 대사요구를 충족할 수 없게 된다. 조직에서는 혈류량이 감소되고 폐혈관 및 전신 정맥계에서는 울혈을 초래한다. 이때 심장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주요보상기전이 발현된다.
심부전의 원인은 크게 심장으로의 혈액의 유입이 감소되는 경우와 심장의 과부담으로 심부전을 일으키는 경우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출혈이나 쇽, 화상, 탈수 등으로 순환 혈량이 감소되어 정맥 귀환량이 부족될 때 발생한다. 후자의 경우 심장으로의 정맥귀환량이 지나치게 많아져 심박출 시의 저항이 너무 커지면 심근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또한 심근의 병변으로 인한 심실의 펌프장애도 심부전의 원인이 된다.
심부전의 발생기전은 심장 전부하, 심장 후부하, 심박동수, 심근의 수축력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심부전이 발생되면 심실확장기말 용적이 늘어나도 심박출량이 증가되지 않아 폐울혈을 일으키게 되고, 심장 후부하가 증가되면 좌심실의 수축력이 떨어져 박동량 및 심박출량이 감소된다. 또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로 심박동수가 증가하고 심근의 수축력이 저하되어 심부전이 유발된다.
심장은 신체조직의 활동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게 되면,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빈맥, 심실확대, 심실비대 등의 보상기전을 발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기전에도 불구하고 심장의 과부담이 계속되면 결국 심장은 조직의 대사요구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대상부전이라 한다. 결국 심장이 펌프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면 심장수축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심부전은 급성과 만성의 형태로 구분되며, 급성 심부전은 쇽, 심정지, 실신, 돌연사 등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야기한다. 반면 만성 울혈성 심부전은 조직의 부적절한 관류로 인하여 울혈상태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며 임상증상도 급성심부전에 비하여 경미하다.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으로 나뉘는데, 좌심부전은 고혈압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폐울혈이 특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