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지털게임과 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타크래프트의 역사와 영향
1.1. 스타크래프트란 무엇인가?
1.2. 스타크래프트의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1.3.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의 인기와 몰락
2.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와 새로운 부활
2.1. 스타크래프트의 향수와 아프리카TV 스타리그
2.2.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의 등장과 의의
3. 잊고 있던 스타크래프트2
3.1. 스타크래프트2의 등장과 특징
3.2. 스타크래프트2의 문제점과 논란
4.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의 과제
4.1. 서버 불안정 문제
4.2. 맵핵 문제
4.3. 밸런스 문제
5. 스타크래프트의 미래
5.1. 스타크래프트의 지속가능성
5.2. 스타크래프트의 발전 방향
6. 디지털 게임의 문화적 가치
6.1. 현실의 재현
6.2. 공동체 형성을 통한 체험
6.3. 디지털 게임이 전달하는 메시지
7. 디지털 게임이 나아가야 할 방향
7.1. 메시지의 전달 방식
7.2. 메시지의 목적
7.3. 사이버 문화에 대한 청소년 보호 대책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타크래프트의 역사와 영향
1.1. 스타크래프트란 무엇인가?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한 공상과학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1998년 3월에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개인용 컴퓨터 게임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된 게임 중 하나이다. 게임은 서로 다른 세 종족인 테란, 프로토스, 저그를 선택하여 특정 지역을 점령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게임에서 제공하는 스토리를 따라서 진행 하는 싱글플레이와 배틀넷을 통해 서로 다른 사용자와 경쟁을 하면서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가 있다. 스타크래프트는 한국 게임사에 큰 영향을 미친 게임으로,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공부 못하는 아이', '사회 낙오자'로 취급받던 시대를 바꾸었다. 스타크래프트의 성공으로 PC방이 새로운 유망사업으로 각광받았고, 한국은 IT 강국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또한 프로게이머의 등장으로 10대 청소년들의 유망직업 1위가 프로게이머가 되었다. 이처럼 스타크래프트는 대한민국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게임이라 할 수 있다.
1.2. 스타크래프트의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스타크래프트의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은 대단했다. 스타크래프트는 '게임하는 사람은 공부 못하는 아이', '사회 낙오자'로 취급받던 게임문화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스타크래프트가 등장하면서 PC방은 새로운 유망사업으로 부상했고, 한국은 IT 강국으로 떠올랐다. 특히 프로게이머의 등장은 10대 청소년들의 유망직업 1위가 프로게이머가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스타크래프트의 인기에 힘입어 스타리그가 열리게 되었고, 게임은 E-스포츠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게임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2010년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해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의 위상은 크게 추락하게 되었다. 이로써 E-스포츠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스타리그는 폐지되었다. 이처럼 스타크래프트는 대한민국 게임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지만, 동시에 그 부작용도 겪어야 했다고 볼 수 있다.
1.3.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의 인기와 몰락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대한민국에 미친 가장 큰 영향 중 하나는 프로게이머의 등장이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들은 게임의 인기와 함께 스타로 부상했다. 특히 '테란의 황제' 임요환은 예상치 못한 전략과 화려한 플레이, 극적인 역전승으로 많은 팬들을 열광시켰다. 그의 곱상한 외모는 여학생들에게 아이돌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게 했다. 스타크래프트 게임의 완벽한 게임성과 프로게이머들의 화려한 플레이는 마치 예술의 경지에 올랐다고 평가받았다. 스타크래프트 게임은 사람들을 흥분시키고 열광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2010년 4월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들이 승부조작 사건에 연루되면서 E-스포츠의 공정성이 크게 의심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구단이 해체되고 스타리그가 폐지되는 등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의 몰락을 초래했다. 승부조작 사건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들의 명성과 신뢰를 크게 실추시켰고, 이들의 인기와 지위가 급격히 하락하게 되었다. 스타크래프트 게임의 인기가 프로게이머들의 활약에 크게 의존했던 만큼,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한 프로게이머들의 몰락은 스타크래프트 게임 전체에도 큰 타격을 주었다.
2.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와 새로운 부활
2.1. 스타크래프트의 향수와 아프리카TV 스타리그
블리자드는 7월 30일 스타 리마스터 출시 기념으로 이벤트 경기를 열었다. 이를 통해 국기봉, 기욤 패트리, 홍진호 등 옛날에 활약하던 선수들이 다시 경기를 펼치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타크래프트를 다시 찾아주었다. 나를 포함한 주변 친구들도 LOL이나 배틀그라운드를 하느라 바쁘지만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향수로 술 한잔 하고 스타 내기를 하기 위해 PC방에 가게 되는 등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인기가 다시 고양되었다.
스타리그가 폐지되고 백수가 된 선수들이 아프리카TV 방송에 데뷔해 BJ가 되었다. BJ가 된 선수들은 자신의 게임플레이를 시청자들에게 보여주며 팁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시청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에게 일종의 돈인 별풍선을 선물함으로써 소통하며 상부상조하게 되었다.
OGN과 MBC GAME에서 방송되던 스타리그가 폐지되었지만 2016년 아프리카TV가 새로운 스폰서가 되면서 '아프리카TV 스타리그'(ASL)란 이름으로 대회를 이어오고 있다. 2017년 9월 말부터는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로 전환하여 세계 최초의 스타 리마스터 공식 리그가 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시 '택뱅리쌍'(김택용, 송병구, 이제동, 이영호)의 경기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많은 한국인들이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향수를 갖게 되었기 때문에, 블리자드는 Asia, U.S East, U.S West, Europe 서버 외에 한국을 위한 별도의 Korea 서버를 만들어 주었다.
2.2.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의 등장과 의의
2017년 7월 말 블리자드는 스타크래프트 REMASTERED(이하 스타 리마스터)를 출시했다. 스타 리마스터는 기존 게임 플레이를 유지했지만 그래픽과 사운드를 향상시켜 4K UHD 해상도까지 지원하고, 오리지널 사운드트랙과 음향 효과가 재녹음되었다. 블리자드는 7월 30일 스타 리마스터 출시 기념으로 이벤트 경기를 열었다. 국기봉, 기욤 패트리, 홍진호 등 옛날에 활약하던 선수...
참고 자료
가라타니 고진 (柄谷行人) (2006), 『근대문학의 종언』, (조영일 편역). 서울: 도서출판 b.(원저 출판연도 2003).
김명성 (2016),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한계와 대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 : 성균관대학교.
박근서 (2005), 컴퓨터 게임의 역사와 게임 패러다임의 전환, 『게임산업저널』, 제 9호, 118~142.
존 브로크맨 저, 김태규 역, 제 3의 문화, 대영사, 1996,02
박해량 순경, [기고] 사이버 불링, 들어보셨나요, 경남 데일리, 2020.02
http://www.k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4679
이종재 기자, 손안의 불법 도박장, 도내 청소년들 무방비 노출, 강원도민일보, 2020.01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004126
리셋 증후군, 현실과 혼동…결국 '토막살인'에 '동생 살인'까지 "충격", MBN뉴스, 2014.03, https://www.mbn.co.kr/news/life/1694980
박수호, 문희철 외 2명 기자, [한국 사이버 중독에 빠지다]사이버 중독 4가지 유형…마약·도박 중독 못지않은 폐해, 매일경제, 2012.09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2/09/577826/
조택영 기자, 범죄의 온상 ‘다크웹’, 청소년들이 위험하다. 일요서울, 2019.11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365
양승민 기자, 청소년 게임 천국…사이버 범죄도 급증, 충청투데이, 2012.12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0853
고광본 기자, 사이버 불링·평판위험·폭력..세계 어린이 60% 온라인 위험 노출, 서울경제, 2020.02,https://www.sedaily.com/NewsView/1YYVS3EDD3
배시규 저, 사이버 문화와 윤리, 학문사, 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