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형외과 관절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형외과 관절경
1.1. 관절염
1.1.1. 골관절염의 정의 및 원인
1.1.2.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및 증상
1.1.3. 골관절염의 진단
1.1.4. 골관절염의 치료
1.2. 슬관절 전치환술
1.2.1. 수술 대상자 및 수술 과정
1.2.2. 수술 전 환자 관리
1.2.3. 수술 과정 및 마취
1.2.4. 수술 후 회복과 합병증
1.2.5. 인공관절의 수명과 한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형외과 관절경
1.1. 관절염
1.1.1. 골관절염의 정의 및 원인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활막관절(synovial hoint)의 만성적이고 진행성, 비염증성 관절질환이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증가하며 50세 미만일 경우에는 남자의 발병률이 높고 50세 이상일 경우에는 여성의 발병률이 남자에 비해 두 배나 더 높다.
골관절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연령, 유전적 성향, 비만, 관절의 모양, 호르몬 등이 주된 원인이다. 노화가 골관절염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관절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무릎을 다친 후 완전히 회복되지 않거나 염증성 관절질환의 후유증으로도 골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관절 연골이 갈라지거나 닳아 없어지면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 골관절염의 주된 특징이다.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고관절, 무릎관절과 경추 및 요천추(lumbosacral), 손가락 근위지 관절에 발생한다.
골관절염은 연령, 유전, 비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의 통증과 기능 저하가 나타나며,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
1.1.2.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및 증상
골관절염은 관절연골의 국소 변형으로 시작하여 점차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연골하골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 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마모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연골이 닳게 되어 관절면에 미란이 생기고 연골부가 점차 갈라지고 얇아지면서 뼈가 노출된다. 이로 인해 뼈의 마찰로 통증이 있고 관절이 붓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뼈의 모양과 관절 구조가 변하고 관절의 가동력이 제한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마모(wear and tear)"과정이라고 한다. 외부적 힘에 대하여 관절면의 견디는 힘이 약해지고 조직이 퇴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골부의 마찰로 인해 새로운 뼈가 형성되어 골증식체가 발생한다. 그 결과 특징적으로 헤베르덴 골성비대가 나타나게 된다. 이는 원위지 관절의 섬유성 관절낭이 점액성 변형을 일으켜 피하종창을 형성하고 골화된 것이다. 즉 연골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들이 활액 내로 떠다니다가 활액막에 부착하여 활액이 증가된 이상적 비대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골관절염 환자는 관절의 통증과 더불어 관절운동의 제한, 관절의 종창, 마찰음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통증은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특히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있거나 자동차에 앉아있고 난 후 주로 발생한다. 운동할 때 무릎에서 서걱 서걱하는 마찰음이 들리기도 한다. 통증을 동반하며 주로 다리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올 수 있고 계단 오르내리기도 힘들어진다. 심한 경우 보행장애가 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골관절염 환자는 관절의 통증, 운동 제한, 관절 종창, 마찰음 등의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점진적으로 관절 기능이 손상되고 변형이 나타나는 것이 골관절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1.3. 골관절염의 진단
이학적 검사 소견: 관절의 종창, 관절 주위의 압통, 운동 제한, 운동시 마찰음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방사선검사: X-RAY 검사에서 질병 초기에는 정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점차 진행되면서 특히 체중이 실리는 관절 내측 부위가 비대칭적으로 좁아지게 ...
참고 자료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Ⅰ, 현문사, (2019)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Ⅱ, 현문사, (2019)
윤숙례 외 공저, 건강사정 실습지침서, 정담미디어, (2014)
조경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 제6판, 현문사, p.293~407
이강이 외 공저, 인체생리학 제5판, 현문사, (2014), p64~85, 150~153
김본원 외 공저, 알기쉬운 병리학 개정판, 현문사, p.45~68, 117, 342~354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2 제7판, 수문사, (2012), p1149~1157, 1166~1175
최명애 외 공저, 임상약리학, 현문사, (2013)
송애랑 외 공저, 의학용어 제5판, 아카데미아, (2014)
김진호 외 공저, 재활의학과 운동계질환별 물리치료학, 군자출판사, (2002)
박필자 외 공저, 관절염의 간호진단과계획 임상메뉴얼, 서울대학교출판부, (2010)
서울 강동성심병원 정형외과부서 매뉴얼, 환자의 입‘퇴원교육자료 참고.
서울 강동성심병원 간호기록지(EMR).
한국 보건복지부 슬관절염 사진 참고.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성인간호학 사진참고.
http://www.kmle.co.kr 의학검색엔진 참고.
http://www.kimsonline.co.kr 킴스온라인 약학정보 검색엔진 참고.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약학정보 검색엔진 참고.
고자경 외, 2017, Pacific Medical Surgical Nursing 성인간호학 Ⅱ, 퍼시픽북스
송경애 외, 2017, 최신 기본간호학 Ⅰ,Ⅱ, 수문사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KMLE : http://www.kmle.co.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