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역대기 신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역대기 신학
1.1. 역대기
1.1.1. 책 이름
1.1.2. 저작권 그리고 역사적 배경과 연대
1.1.3. 저작목적
1.1.4. 내용연구 및 탐구문제
1.2. 에스라
1.2.1. 책 이름
1.2.2. 연대와 저작권
1.2.3. 역사적 배경
1.2.4. 북이스라엘과 남 유다를 비교하며 보는 바벨론 포로에서의 귀환
1.2.5. 내용 연구
1.3. 느헤미야
1.3.1. 연대와 저작권
1.3.2. 역사적 배경
1.3.3. 내용 연구
1.3.4. 에스라와 느헤미야가 주는 메시지
1.4. 에스더
1.4.1. 책 이름
1.4.2. 연대와 저작권
1.4.3. 역사성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저작목적
1.4.4. 신학적 메시지
1.4.5. 내용 연구 및 탐구문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역대기 신학
1.1. 역대기
1.1.1. 책 이름
역대기(상)
역대기(상)의 책 이름은 역대기이다. 역대기는 원래 한 권의 책이었으나 후대에 두 권으로 나뉘었다. 역대기라는 제목은 히브리어 원문의 "그 날들의 말씀들"이라는 의미를 반영한 것이다. 역대기는 역사서인 동시에 신학적 의미를 지닌 하나님의 말씀이다.
1.1.2. 저작권 그리고 역사적 배경과 연대
역대기는 언제, 누가 기록하였는지에 대하여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유대 전통에 따르면 역대기의 저자는 학사 에스라로 알려져 있으나 충분한 증거는 없다. 학사 에스라가 저자라면, 그는 학자적 기질로 역사적 자료들을 검증할 것이다. 참고자료들이 거대한 왕궁의 기록들이기 때문에 소실되더라도 몇몇 선지자들의 기록은 일치할 것이다. 비록 역대상하의 내용과 열왕기상하의 내용이 유사하지만, 에스라가 의도적으로 열왕기를 참조하지 않았을 것이다.
역대기는 아담의 족보부터 시작해서 페르시아의 고레스 칙령이 선포된 기원전 538년 시기까지를 다룬다. 서론적으로 역대상은 1~9장까지 족보를 기록하고 그 후에 10장부터 기원전 1010~970년에 발생한 사건들을 기록한다. 역대하는 기원전 970~538년에 일어난 사건들을 기록한다. 역대기를 읽는 자들은 이미 바벨론 유수 이수 포로생활 이후의 디아스포라 세대이거나 성전재건 시대의 세대라고 할 수 있다.
1.1.3. 저작목적
역대기의 저작 목적은 바벨론 포로에서 돌려보낸 유대인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하나님과의 언약관계를 회복하는 것이다.
포로에서 돌아온 유대인들은 더 이상 "왜 하나님이 자신들을 포로로 보냈는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오히려 자신들의 뿌리와 정체성, 그리고 이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역대기 저자는 이런 질문들에 답을 주기 위해 이 책을 기록하였다.
역대기의 첫 부분인 역대상 1-9장까지의 족보는 당시 유대인들의 정체성과 뿌리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어지는 역대상 10장부터 역대하 36장까지의 역사적 서술은 유대인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특히 역대기 저자는 포로에서 귀환한 유대인들이 가졌던 문제들, 즉 이방여인들과의 혼인, 모세의 율법 준행 소홀 등을 바로잡고 신정정치의 재건을 격려하기 위해 이 책을 기록하였다. 결국 역대기의 저작 목적은 포로에서 돌아온 유대인들의 정체성 회복과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 회복에 있다고 할 수 있다.
1.1.4. 내용연구 및 탐구문제
역대기의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역대상은 다윗왕조에 정통성을 지니는 남유다의 이야기이다. 역대기의 저자는 사무엘상하와 열왕기상하에 이미 기록된 역사를 새로운 관점으로 다시 기록하려는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벨론 70년 포로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사실을 기록하면서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께 순종하지 아니함으로 약속의 땅으로부터 바벨론 포로로 붙잡혀간 사실을 깨우쳐준다. 그들이 겪었던 모든 고난은 하나님 섬기기를 거절하고 우상숭배에 몰두한 결과라고 강조하며 과거의 잘못에 대한 반성을 일깨워 주며 유대민족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이와 같은 확신 아래 역대기 저자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그들의 하나님께 충성할 때에, 하나님도 자기 백성들에게 신실하신 분이라고 기록한다. 동시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을 버렸을 때 찾아올 재난을 기록한다. 역대하는 역대상에 이어 계속하여 하나님의 백성들이 가나안 땅, 즉 약속의 땅으로부터 추방되는 사건들을 다룬다. 역대기 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벨론 포로로 잡혀간 사실을 인식하면서 하나님을 섬기지 않고, 우상숭배에 몰두한 결과 발생한 일임을 상기시킨다. 만약 모든 고난을 극복하고 바벨론 포로에서 소수의 그룹이 약속의 땅으로 돌아온다면, 그들은 반드시 철저하게 하나님을 섬기고, 재건된 성전에서 예배를 회복하며 하나님의 율법을 주의 깊게 지키도록 반성의 의미를 되짚어준다.
또한 역대하에서 저자는 왕들에 대하여 세밀하게 다루고 있다. 솔로몬이 건축한 예루살렘 성전을 영적으로 평가하며 솔로몬의 결점들을 무시하고 넘어간다. 아마도 성전을 건축한 왕이기에 직접적으로 비판을 피했는지는 모른다. 그러나 그는 남쪽 유다를 통치한 왕들을 평가할 때에 보다 엄격하게 비평적으로 다룬다. 율법을 준수하고 성전에서 하나님께 신실하게 예배를 드린 왕들은 장수하고 평화시대를 누리는 것으로, 하나님을 섬기기 않고 악을 행한 왕들은 자신들과 자기 백성들에게 고통과 재난을 불러온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탐구문제>
1. 다윗왕의 통치의 특징은 무엇인가? 다윗은 왕국 건설과 더불어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을 향한 예배 공동체로 거듭나길 소원한다. 결국 다윗은 성전 건축이란 소원을 드러내고, 마침내 솔로몬을 통하여 성전 건축을 완공한다.
2. 바벨론...
참고 자료
Martin Noth. 『HISTORY OF ISRAEL』 (Germany: Alt-Note. 1950); 박문재 옮김. 『이스라엘 역사』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정규남. 『구약개론』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85).
박윤선. 『(성경주석)사무엘서, 열왕기, 역대기』 (서울: 영음사. 1982)
Martin Noth. 『HISTORY OF ISRAEL』 (Germany: Alt-Note. 1950); 박문재 옮김. 『이스라엘 역사』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Howard, David M, 구약 역사서 개론, 류근상 옮김, 크리스챤출판사 (2001)
강정주, 역대기 해석과 신학, 개신논집 제7집, 2007.12
소형근, 구약성서 역대기, 은성, 2006.10.16
박희천, 다윗과 솔로몬의 통일왕국 (박희천 목사의 열왕기 역대기 강해), 생명의 말씀사, 2010.06.25
송연찬, 다윗왕국과 언약 (역대기 상하 구속사 강해), 깔뱅, 2006.07.14
엄태항, 역대기에 나타난 인과응보의 재접근에 따른 문예적 고찰, 성서침례출판사, 2011
김충구, 역대기 사가의 신학 이해 : 다윗 언약 사상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2001
최종진, 역대기 저자의 신학, 한국기독교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