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낙상의 정의와 개요
1.1. 낙상의 정의
낙상의 정의는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낙상은 주요한 내인성 사고나 위험한 사고의 결과가 아닌, 안정 상태에서 바닥이나 낮은 곳으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사고이다. 서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1.2. 낙상의 유형
낙상은 외부의 충격 없이 어느 순간 균형이나 안정성을 잃고 신체의 일부분이 바닥에 닿는 것이다. 이러한 낙상은 다양한 유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서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균형을 잃고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근골격계 질환, 신경학적 장애, 의식 저하 등으로 인해 자세 유지 능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걸어가다가 발이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보행 장애, 신발 문제, 미끄러운 바닥 등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침대에서 내려오다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는 환자의 근력 저하, 의식 저하, 침대 높이 조절 문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넷째, 화장실에서 변기에서 일어나다가 또는 샤워 중 미끄러져 낙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주로 노인이나 장애인에게서 관찰되며, 균형 유지 능력 저하와 바닥의 미끄러운 표면이 원인이 된다.
다섯째, 오르내리기가 어려운 계단에서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고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계단 디자인 문제, 보행 능력 저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낙상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1.3. 낙상의 특성
낙상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낙상은 주요한 내인성 사고나 위험한 사고의 결과가 아닌, 안정 상태에서 바닥이나 낮은 곳으로 비의도적으로 발생되는 사고이다. 즉,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고의 하나이며, 외국의 경우 의료기관의 낙상 발생률은 2~10%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의 병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1,000명당 연령별 낙상 발생률이 15세 미만인 경우 0.9, 15~59세 미만인 경우가 0.4, 60세 이상인 경우 1.6으로 나타나 노인에서 낙상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병원 내 낙상사고가 일어나는 곳으로는 침상(61.3%)이 가장 흔하고, 그 외 병실(12.9%), 화장실(12.9%), 복도 순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내과와 외과환자에게 발생률이 높고, 응급실을 통해 들어온 경우나 휠체어를 타고 입원한 사람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이처럼 낙상은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되는 사고이며, 의료기관 내에서도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 낙상의 위험요인
2.1. 내적요인
낙상의 내적요인은 다음과 같다. 감각기능 저하(청력, 시력)가 발생하면 주위 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져 낙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보행 장애와 근골격계 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워져 낙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정신기능 장애, 낙상에 대한 두려움은 낙상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다. 급성질환이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신체 기능이 저하되어 낙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3-4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으로 인해 낙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인 내적요인이 낙상의 주된 원인이 된다.
2.2. 외적요인
병원 내부나 외부 환경에 존재하는 요인으로 인해 낙상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욕실과 화장실에서 보조지지도구의 결여, 가구나 시설의 부적절한 디자인, 미끄러운 바닥표면이나 닳아 해진 카펫, 바닥에 노출된 코드와 전선, 부서지거나 금이가서 평탄하지 않은 복도 등 환경적인 요인이 낙상의 원인이 된다. 또한 불충분한 조명으로 인해 주위 환경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낙상이 초래될 수 있다. 부적절한 보조도구의 사용도 낙상의 위험을 높이는데, 침대 난간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휠체어의 잠금장치를 채우지 않은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병원 내부와 주변 환경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고 보조도구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노인의 낙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