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 지역간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대구 북구 지역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필요성 및 목적
1.2.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방법

2. 지역사회 간호사정
2.1. 지리적 특성
2.2. 인구 특성
2.3. 건강 수준
2.4. 건강관련 환경특성
2.5. 지역사회 자원

3. 지역사회 간호진단
3.1. 간호진단 방법
3.2. 간호진단 내용

4. 우선순위 설정 및 간호사업 계획
4.1. 우선순위 결정 기준
4.2. 우선순위 결정
4.3. 목표설정
4.4. 수행계획 및 평가계획

5. 실습보고서
5.1. 부서별 업무협조 사례
5.2. 부서별 추가 업무 제안
5.3. 보건소 조직 개편 제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필요성 및 목적

지역사회간호학은 개인, 가족, 인구집단 및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니고 있는 건강 잠재능력을 개발하여 대상자의 건강기능 수준의 증진과 향상에 관련된 요인을 강화하는 간호실천의 과학적 과정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간호사는 모든 간호 수준과 단계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해야하고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이번 북구보건소 온라인 실습을 통하여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태전동)을 통계 자료 및 차창밖조사 등을 이용하여 사정하고 그에 따른 간호문제를 도출하여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직접 적용해보고자 한다.


2020년 8월 31일부터 9월 11일 동안 현재 거주중인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전개하였다. 공신력 있는 기관의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지역을 돌아다니며 차창밖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지역사회 자료들을 정리하여 태전동, 대구 북구, 대구 광역시, 전국 등의 통계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OMAHA 문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간호문제 및 진단을 도출하였고 우선순위를 토대로 두가지 진단의 수행계획과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대구광역시의 면적은 883.60㎢이고 대구광역시 북구의 면적은 93.98㎢이며, 태전동의 면적은 4.41㎢이다. 대구 북구는 23개동 700통 4,340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구청(1단3국23과104팀), 보건소(1소3과1지소12팀), 23개동 59팀, 의회(1국2팀4전문위원)로 행정조직기구를 갖추고 있다. 북구의 토지지목별 현황을 살펴보면 대지, 임야, 전, 답 순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다. 북구에는 14개의 문화재와 538개의 의료기관(총 6,516병상), 166개의 학교가 있다. 태전동은 1981년 칠곡군 칠곡읍 전역이 편입되면서 신설되었고, 여러 차례의 경계조정을 거쳐 현재의 지역이 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2,479,887명이고 대구 북구의 인구는 444,616명, 태전동의 인구는 49,799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전동의 세대 수는 19,525세대이며, 성별로는 남자 24,850명, 여자 24,94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 등록 인구도 남자 74명, 여자 167명으로 확인되고 있다. 북구의 인구 동태와 분포를 살펴보면 인구 밀도는 1㎢ 당 4,731명이고, 세대원 수는 1세대당 2.50명, 주택 수는 1세대당 1호, 인구 이동은 1인당 295건, 출생은 1일당 8명, 사망은 1일당 6명, 혼인은 1일당 5.4쌍, 이혼은 1일당 2.2쌍이다. 자동차(자가용)는 1가구당 1.1대, 공무원은 구민 428명당 1인, 소방공무원은 구민 1,291명당 1인으로 나타났다. [


1.2. 자료수집 방법 및 분석방법

대구 북구 태전동의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전개하기 위해 2020년 8월 31일부터 9월 11일까지 2주 동안 공신력 있는 기관의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지역을 직접 돌아다니며 차창밖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정보를 체득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지역사회 자료들을 정리하여 태전동, 대구 북구, 대구 광역시, 전국의 통계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지역사회 간호문제 및 진단은 OMAHA 문제분류체계를 사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우선순위를 토대로 두 가지 진단에 대한 수행계획과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실제로 적용해볼 수 있었다.


2. 지역사회 간호사정
2.1. 지리적 특성

대구 광역시 북구는 대구광역시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북구의 면적은 93.98㎢로 대구광역시 면적 883.60㎢의 약 10.6%를 차지한다. 북구는 2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700통 4,340반의 행정조직을 가지고 있다. 북구청과 보건소, 23개 동 행정복지센터 등으로 구성된 행정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북구에는 문화재가 14개 있으며, 의료기관 538개소(6,516병상), 학교 166개소 등의 시설이 분포하고 있다. 북구의 행정구역은 1981년 칠곡군 칠곡읍 일대가 편입되면서 13개 동이 신설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2. 인구 특성

대구 북구의 총인구는 444,616명으로, 이 중 남성은 220,816명, 여성은 223,800명이다. 대구 북구의 세대 수는 19,525세대이며, 인구 밀도는 1㎢ 당 4,731명이다. 세대원 1세대당 평균 2.50명이며, 주택 1세대당 1호의 비율을 보인다.

대구 북구의 인구 구조를 살펴보면, 0-9세 인구가 약 7.3%, 10-19세 인구가 약 9.5%, 20-29세 인구가 약 14.0%, 30-39세 인구가 약 12.0%, 40-49세 인구가 약 15.8%, 50-59세 인구가 약 17.9%, 60-69세 인구가 약 13.3%, 70-79세 인구가 약 6.6%, 80세 이상 인구가 약 3.6%이다. 이를 통해 대구 북구의 인구 구조가 전형적인 항아리형 피라미드 구조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대구 북구의 인구 중 외국인은 241명으로, 등록 인구 기준 남성은 74명, 여성은 167명이다. 또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5,929명으로, 대구 북구 총인구의 약 11.9%를 차지한다.

한편, 대구 북구의 장애인 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총 17,775명의 장애인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대구광역시 전체 장애인 등록 인구의 17.12%에 해당한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순으로 많다.

기초생활수급자는 19,960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4.8%를 차지하며, 저소득 및 한부모 가정은 14,809명이다. 이를 통해 대구 북구에는 상당수의 취약계층 인구가 거주하고 ...


참고 자료

https://chs.cdc.go.kr/chs/index.do 지역사회 건강조사
https://knhanes.cdc.go.kr/knhanes/main.do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 33회 대구 북구 통계 연보 2019
2019 지역사회 건강통계집
2019 대구 사회조사 보고서(구군)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2021. 189-265p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대구광역시 북구보건소 http://www.buk.daegu.kr/health/index.do
대구광역시의회 https://council.daegu.go.kr/
대구광역시청 www.daegu.go.kr
제7기 북구 지역보건의료계획
https://khealth.or.kr/kps/localHealthPlan/planList.do?menuId=MENU01118&lhp_sido=daegu&lhp_group=2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지역사회 보건통계 (대구광역시 북구 보건소)
https://chs.kdca.go.kr/chs/recsRoom/healthStatsMain.do
행정안전부 주민 등록 인구 통계 https://jumin.mois.go.kr/#
대구광역시 2021 시정현황
2019 북구 통계연보
대구 북구 생활 지도 서비스
http://www.buk.daegu.kr/map/index.do?ISH=ISH&kw=%25EA%25B3%25B5%25EC%25A4%2591%25ED%2599%2594%25EC%259E%25A5%25EC%258B%25A4
Local data
https://www.localdata.go.kr/lif/lifeCtacDataView.do
2020년 거처의 종류 및 주거시설 형태별 가구(일반가구) - 시군구
강북 보건지소 https://www.buk.daegu.kr/gangbuk/index.do?menu_id=00000689
2017년 건강보험통계연보
강정희.(2020).당뇨병 환자의 당뇨성 안질환 및 신장질환 합병증 검사 수검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21(4),226-235.
https://www-dbpia-co-kr.libproxy.knu.ac.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30421
신광훈⋅지미정(2009). 당뇨 환자의 안저 검사 수진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학적 요인. 대한안과학회 2009:50(9):1319-1325
https://www.jkos.org/upload/pdf/Kjo2050-09-06.pdf
김선희, 당뇨인의 특별한 ‘눈 건강’ 관리법, 하이닥, 2017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291840
Y. L. Hsieh, F. H.Lee, C. L. Chen, M. F. Chang, P. H. Han.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receive examination of diabetes complications",
Vol.10, No.4, pp.289-294, 2016 DOI: https://doi.org/10.1016/j.anr.2016.10.004
S. J. Park, H. J. Seo, D. Y. Lee, D. H. Nam. "Main Reasons for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First Fundus Examination in Diabetic Patients",
, Vol.57, No.7, pp.1080-1086, 2016. DOI: http://dx.doi.org/10.3341/jkos.2016.57.7.1080
김종태. 함안군보건소, 당뇨환자 안질환 합병증검사 지원사업 협약. 경남도민뉴스. 2022
http://www.gndnews1.com/news/article.html?no=148008
건강보험공단 통계 연보, 국민건강통계 2019
강화군 보건소,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 - 눈, 강화군 보건소 건강정보게시판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clinic/bbs/bbsMsgDetail.do;jsessionid=1F98532E82F741CA014CA12B0147BBF0?msg_seq=302&bcd=health_data
대구 북구보건소 '무료 정밀안저검사' 실시, 매일신문, 2009
http://news.imaeil.com/page/view/2009030908234005742
강경훈, 심뇌혈관 건강 위한 '레드서클' 아세요?, 헬스조선 뉴스, 2015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5083101762
송성철, 3대 실명질환, 안저검사로 한번에 빠르고 쉽게!, 의협신문, 2021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364
질병관리본부 2017년 조사
이병문, 당뇨병 11년 이상 지나면 10명 중 4명 발병하는 이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