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부포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음부포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음부포진 (herpes genitalis)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3.1. 일차감염
2.3.2. 초기감병
2.3.3. 재발성 감염
2.4. 진단
2.5. 치료
2.5.1. 대증요법
2.5.2. 항바이러스제
2.5.3. 억제요법
2.6.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3.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3.1. 정의
3.2. 발병단계
3.2.1. HIV 감염기
3.2.2. 무증상기
3.2.3. 초기 증상기
3.2.4. AIDS 환자
3.3. 전파방법
3.4. 원인
3.5. 증상
3.6. 진단
3.7. 치료
3.8. 예방방법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음부포진과 HIV는 모두 성매개성 감염병으로, 이들 질환은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음부포진과 HIV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성매개성 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 모두가 이들 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음부포진 (herpes genitalis)
2.1. 정의

음부포진은 성병(sexual transmitted disease)으로, 남성은 남근, 여성은 질과 외음부 및 주변피부 엉덩이나 항문주변에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소수포로 시작되고 수포가 터지면 미란면은 수일만에 건조해서 1주일 전후로 반흔을 남기지 않고 치유된다. 그러나 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증상이 나타날 경우 피부가 따가운 약한증상에서 통증을 동반한 물집(blister)이 생기는 심한경우도 있다. 감염이 되어도 몇 달, 몇 년 동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증상은 없지만 이미 감염되어 있거나 바이러스 보균자의 경우, 자신도 모르는 새 상대방에게 감염시킬 수 있다. 첫증상이 오고 대개 2~3주내에 사라졌다가 첫증상보다는 약한 재발이 산발적으로 오게된다. 항바이러스약이 증상을 완화시켜주게되고 재발이 자주오는 경우는 항바이러스약을 복용하여 예방하게된다. 재발은 herpes simplex virus(2형)의 감염에 따른다. 주로 성교에 의해서 전염한다.


2.2. 원인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가 원인이다.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사람이 유일한 숙주이며, 직접 성교와 생식기 분비물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단순포진 바이러스 Type 1과 Type 2가 있는데, Type 1은 주로 허리 위를, Type 2는 주로 허리 아래, 특히 음부를 감염시킨다. 피부나 점막을 통해 인체에 감염되면 균이 소멸되지 않고 병변이 소실된 후에도 계속 후근신경절에 잠재하여 있다가 외상, 피로, 월경, 발열,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 의해 재발된다.


2.3. 증상
2.3.1. 일차감염

음부포진에 감염되면 보통 3~7일의 잠복기를 거치며 통증, 소양감, 배뇨곤란, 서혜부 림프샘종 등의 국소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생식기 부위의 홍반과 소양감을 동반한 구진이 점차 수포와 농포, 궤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4~15일간 지속되지만, 병변은 4~6주 내에 반흔 없이 치유되며 화농성 이차감염은 드물다. 중증의 전신감염은 신생아나 에이즈 환자와 같이 면역기능이 저하된 경우에 흔히 나타날 수 있다. 면역 기전이 정상인 사람의 경우 항체는 이차 감염 후 약 7일 경에 나타나고, 2~4주 후에 최고치에 이르게 된다.


2.3.2. 초기감병

감염 후 3~6주 경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시기에는 감기나 몸살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열, 극도의 피로, 설사, 심한 체중 감소, 림프절 종대, 아구창을 포함한 곰팡이 감염 등의 증상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2~3주 후에 자연적으로 좋아지게 된다. 항체는 약 3개월 후에 나타나므로 이때 검사해도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다.


2.3.3. 재발성 감염

재발성 감염은 일차감염이 진정된 후 바이러스가 제거되지 않고 신경계 주변에서 활동을 하지 않는 동면상태로 들어가다가 부정기적으로 재발이 되는 것이다. 재발성 감염은 일차감염 환자의 약 50%에서 6개월 이내에 재발된다. 재발성 감염은 면역기전이 정상인 경우에도 발생하는데, 그 이유가 명확하지 않으며 항체가 의미있게 증가하지 않는다. 재발성 감염은 보통 일차감염보다 증상이 경미하다. 임신 시 감염은 자연 유산, 조산, 자궁내 태아의 성장지연과 관련이 있으며 재태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재발 감염의 빈도나 심각성이 증가한다. 대개의 경우 감염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도 있는데, 증상이 온다 하더라도 잠시 감염부위가 가렵다든지 붉게 변했다 사라지면서 신경근에서 동면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증상이 오는 경우는 미열과 통증이 오게 되며 일부는 성기나 항문주변에 고통스런 물집이 나타났다가 터지게 되며, 성기주변에 혹 같은 것을 느끼게 된다. 때로는 첫감염 후 수개월 또는 수년 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재발이 일어날 경우 첫증상이 있을 때 보다는 증상도 약하고 지속시간도 단축되게 되며, 첫증상 후 통상적으로 2년 내에 4~5번에 재발이 오게 된다. 사람에 따라 햇빛, 질병, 과도한 음주, 스트레스로 인해 재발이 오기도 하는데 재발이 잦은 경우 이러한 유발인자를 파악해 피하는 것도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0).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pp 440~444, pp.451~453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p.1495~1497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249
박영주 외(2020). 여성건강간호학Ⅰ현문사 pp292-297

여성도 모르는 여성의 몸. 클릭! 인터넷 산부인과 100문 100답. 노홍태, 아카데미북, 2001.서울
[네이버 지식백과] 동아조비락스정400mg [Zovirax Tab. 400mg Dong-A]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핵심 부인과학. 장주연, 군자출판사, 1999년. 서울
산과학. 김승조, 안웅식, 현대의학서적사, 1987. 부산
모성,여성건강 간호학2권. 하영수 외, 신광출판사, 2003, 서울
여성건강과 간호 2권, 이경혜, 이영숙 외, 현문사, 2013년, 서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