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컴퓨터 집중자 상담 계획 및 심리학 적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생활에 대한 모든 자신감과 의욕 상실
1.2.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의 정의와 문제 심각성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본론
2.1. 방에만 있으며 컴퓨터에만 집중하는 사람 분석
2.1.1. 회피성 성격장애의 특성
2.1.2. 회피성 성격장애의 진단 기준
2.2. 상담 계획 수립
2.2.1. 상담자-내담자 관계 형성
2.2.2. 내담자 문제의 근원 파악
2.2.3.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 설정
2.2.4. 상담 과정 평가 및 종결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은둔형 외톨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책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생활에 대한 모든 자신감과 의욕 상실
사회생활에 대한 모든 자신감과 의욕을 완전히 상실했다. 자신감은 바닥으로 떨어졌고, 다시 일자리를 구할 엄두가 나지 않아 집에 틀어박혀 1년 동안 움직이지 않았다. 회사에서 갑작스럽게 해고를 당한 것이 큰 충격이었으며,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외부 관계를 완전히 단절한 채 방안에만 틀어박혀 생활하게 되었다. 이처럼 사회생활에 대한 자신감과 의욕을 완전히 상실한 채 은둔생활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1.2.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의 정의와 문제 심각성
일본에서는 이들을 히키코모리라고 부르며, 현재 한국에서는 은둔형 외톨이로 통하고 있다. 오늘날 히키코모리들에 따르면 히키코모리가 되는 과정에는 "방에 틀어박히고 싶어서 틀어박힌 것보다는 갇히는 것에 가까운 상황이다. 그들은 직장을 잃거나 취직에 실패하거나 학교를 그만두는 정상적인 사회생활과의 단절을 겪은 뒤 자신감 상실 등으로 세상과의 접촉을 차단한 채 살아가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히키코모리 청년들이 국내에 얼마나 있을까. 일찌감치 교실붕괴와 이지메 등의 문제를 겪으며 히키코모리 문제를 국가적으로 다뤄온 일본과 달리, 한국에는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다. 13년 전인 2005년 당시 청소년위원회(국무총리실 산하)가 고교생을 대상으로 은둔형 부적응 성향을 가진 비율을 조사하면서 전체 인구 중에서는 30만~50만명이 은둔형 외톨이일 수 있다는 '추정치'를 조심스럽게 냈을 뿐이다.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아닐 수 없다.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최근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외부 관계를 단절한 채 방안에만 틀어박혀 생활하는 이들을 히키코모리라고 부른다. 은둔형 외톨이, 특히 거의 방안에만 있으며 컴퓨터에만 집중하는 사람들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상담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
참고 자료
“은둔생활 오래되면 말 하는 방법도 잊어버려” 히키코모리, 방 안에 갇힌 청년들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909181658011
이정희, 오마이뉴스, 우리나라 ‘히키코모리’향한 일본인의 경고, 2022.03.30.
어쩌다 히키코모리, 얼떨결에 10년 (만렙 집돌이의 방구석 탈출기) 김재주 저 | 한국경제신문 | 2018.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