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커피 에세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커피와 문화
1.1. 커피의 현재와 미래
1.2. 커피의 다양한 경험
2. My Coffee Story
2.1. 카페라테
2.2. 아이스 아메리카노
2.3. 아포가토
3. 마무리하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커피와 문화
1.1. 커피의 현재와 미래
오늘날 커피는 단순한 기호식품을 넘어 우리 삶의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다. 커피 소비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커피전문점의 폭발적인 성장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커피 수입량이 9만 1천 톤에서 13만 톤으로 143% 증가했고, 수입액은 2억 3천만 달러에서 7억 1천만 달러로 310%나 늘어났다. 또한 20세 이상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도 2007년 247잔에서 2011년 338잔으로 37% 증가했다. 이와 함께 국내 커피전문점 수도 2012년 말 기준 약 3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처럼 커피는 현대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한 기호식품이 되었고, 앞으로도 커피 소비 및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소비자들의 커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계속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피가 개발되고 있으며, 커피전문점들 또한 새로운 메뉴와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커피의 건강적 측면을 강조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도 커피는 우리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개인화된 커피 소비 문화가 더욱 확산될 것이며,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농 커피나 공정무역 커피와 같은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커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커피 관련 기기와 앱이 등장하며 커피 문화를 한층 풍요롭게 만들 것이다.
1.2. 커피의 다양한 경험
커피는 그 맛과 향, 분위기 등으로 인해 각자의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사람들은 커피를 마시면서 특별한 장면과 감정을 떠올리곤 하는데, 이는 커피가 삶의 일부로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이다.
커피의 맛과 향은 개인마다 선호하는 바가 다르다. 어떤 이에게는 강렬한 쓴맛이 그들의 추억을 소환하지만, 다른 이에게는 지나치게 강한 향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커피를 즐기는 장소나 상황에 따라서도 그 경험이 달라지는데, 혼자 조용히 마시는 커피와 친구들과 함께 마시는 커피는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심지어 동일한 메뉴의 커피라도 마시는 사람의 기분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전혀 다른 경험이 될 수 있다. 어떤 이에게는 쓴맛이 너무 강해 불편했던 커피가, 다른 상황에서는 활력을 주는 든든한 한 잔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별한 사건이나 경험과 연결된 커피는 그 순간의 감정을 생생하게 떠올리게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첫 데이트에서 함께 마신 카페라테는 그 때의 설렘을 상기시킬 것이고, 졸업 당일 마신 아메리카노는 그 뿌듯함을 다시 느끼게 해줄 것이다. 이처럼 개인마다 독특한 커피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커피 하나로도 다양한 경험과 추억을 만들어낼 수 있다. 커피는 단순한 기호식품을 넘어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My Coffee Story
2.1. 카페라테
카페라테
태어나서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커피를 마셔왔지만, 가장 처음으로 마셨던 커피는 바로 카페라테이다. 카페라테를 마시러 갔던 그날은 성인이 되고 처음으로 가족 여행을 갔던 날이었다. 이전에는 가족 여행을 가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 카페에 들어가...
참고 자료
아메리카노 대신 카페라떼 먹어야 하는 이유”, 강수연, 헬스조선, 2023/02/02,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02/2023020202141.html
Colleen E. Haight. (2011). The Problem with Fair Trade Coffee. Stanford Social Innovation Review. http://search.proquest.com.proxy.mah.se/docview/870638995
Fair trade coffee.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Fair_trade_coffee. Retrieved 7/10/2013
FairTrade Foundation. (2011). Level of Trust in Fairtrade. Global Survey Shows UK Leads the Way on Fairtrade. http://www.fairtrade.org.uk/press_office/press_releases_and_statements/archive_2011/october/global_survey_shows_uk_leads_the_way_on_fairtrade.aspx
Fairtrade International. (2011). What is Fair trade?. http://www.fairtrade.net/what-is-fairtrade.html
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s International. (2010). Annual Report 2009-2010. Retrieved May 27, 2011, from http://www.fairtrade.net/fileadmin/user_upload/content/2009/resources/FLO_Annual-Report-2009_komplett_double_web.pd
Kilian, B., Jones, C., Pratt, L., & Villalobos, A. (2006). “Is Sustainable Agriculture a Viable Strategy to Improve Farm Income in Central America? A Case Study on Coffe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3), 322–330. Retrieved from http://en.wikipedia.org/wiki/Fair_trade_coffee#cite_note-Kilian.2C_B._2006-11
Mendoza, R., & J. Bastiaensen, J. (2003). Fair Trade and the Coffee Crisis in the Nicaraguan Segovias. Small Enterprise Development, 14(2), p. 42. Retrieved from http://en.wikipedia.org/wiki/Fair_trade_coffee#cite_note-44
Valkila, J., Haaparanta, P., & Niemi, N. (2010). Empowering Coffee Traders? The Coffee Value Chain from Nicaraguan Fair Trade Farmers to Finnish Consumers. Journal of Business Ethic, 97, 257-270. Retrieved from http://en.wikipedia.org/wiki/Fair_trade_coffee#cite_note-Kilian.2C_B._2006-11
Stefano Ponte. (2002). The ‘Latte Revolution’? Regulation, Markets and Consumption in the Global Coffee Chain. p.3
팀 하포드, 『경제학 콘서트』, 김명철 역, 웅진지식하우스, 2006.
배은나, <커피라이프, 이제 시작이다.>, 중앙일보, 2012년 10월.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1333430&cloc=olink|article|default
SBSCNBC뉴스, <원두값 내리는데…거꾸로 가는 '이상한 커피값'>, 2013년 4월.
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556875
노컷뉴스, <커피향 지하철을 타다>, 2012년 10월.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289250
관세청, <커피 교역으로 본 우리나라 커피 시장>, 2011년 3월, 보고서 참조
TV방송 <시사 매거진 2080>, 585회, 2006년 7월 16일 방송.
20대 성인남녀 4인과의 인터뷰. 2013년 5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