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사지 건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경사지 집합주거의 계획 배경
1.2. 경사지 집합주거의 필요성
2. 경사지 주거건축계획의 이론적 고찰
2.1. 경사지 주거건축의 계획 배경
2.2. 경사지 저층형 집합주거의 단지 계획 요소
3. 경사지 주거건축 최신 계획안 분석
3.1. 판교지구 운중블록의 개요
3.2. 페카 할린 + 아이아크 계획안 분석
3.3. 야마모토 리켄 + 건원건축 계획안 분석
3.4. 마크 맥 + 동우건축 계획안 분석
3.5. 소결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경사지 집합주거의 계획 배경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도시의 인구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나 도시의 과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 삶의 기본여건인 주택 과부족 현상과 고밀도 집합 주거의 등장, 지역적 특성을 고려치 않은 주거환경의 획일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 되고 있다. 인구에 비해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에 경우, 고밀도 고층 집합 주택의 긴요함에도 불구하고 비계획적인 난개발이나, 경제성만과 효율성만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져 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심부에서 단순히 스케일상의 문제만이 아니라 대지로부터 격리되어 거주한 고층 건물에서 거주자의 건강이나 자녀들의 사회성에 직·간접적으로 손상을 받은 연구 결과도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약 65.7%가 산지인데 반하여 대지는 2.3%에 불과하다. 또한, 6.25전쟁의 혼란과 산업 발달로 인한 인구의 도시 집중화 및 핵가족화 현상은 경사지의 택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아직도 서울시 주택 재개발 구역의 66.5%가 경사지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저층집합주택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고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주거 형태로서 경사지 집합 주택이 이 문제의 해결에 한 가지 방향이라 생각되며 우리의 주거문화 수준 향상에 따른 수요자 측의 다양한 현대적, 감각 욕구에 대처할 수 있는 주거 유형중 하나라 생각된다. []
1.2. 경사지 집합주거의 필요성
고층 적층식 공동주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사지 집합주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65.7%가 산지이지만 대지는 2.3%에 불과하여 경사지의 택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고층 집합주택은 주택난 및 토지공급 문제를 해소할 수 있지만, 거주자의 건강과 자녀들의 사회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경사지 집합주거는 저층 집합주택의 맥락을 유지하면서도 주택난과 토지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주거수준 향상과 자연환경을 중시하는 현대적 수요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다. 경사지는 대부분 우수한 경관과 환경을 갖고 있으므로, 경사지형 및 경사지주택의 특성에 맞는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경사지 집합주거는 인간의 욕구가 반영된 주거생활을 위한 가족집단의 주거 계획에 중점을 두고, 양호한 도시경관으로 유도 가능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2. 경사지 주거건축계획의 이론적 고찰
2.1. 경사지 주거건축의 계획 배경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도시의 인구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주택 과부족과 고밀도 집합 주거 등의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우리나라는 전체 국토의 약 65.7%가 산지이지만, 대지는 2.3%에 불과하여 경사지의 택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서울시 주택 재개발 구역의 66.5%가 경사지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경사지 집합주택은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경사지 집합주택은 저층집합주택의 맥락을 유지하면서도 주택난과 토지공급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환경을 중시하며 여유 있는 생활을 지향하는 현대적 욕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지는 대부분 양호한 자연경관과 우수한 환경을 지니고 있어,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거주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지형 및 경사지주택의 특성에 맞는 사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2. 경사지 저층형 집합주거의 단지 계획 요소
경사지형은 볼록형(凸)과 오목형(凹)으로 나뉘며, 볼록형 경사지는 분산, 개방, 분리의 공간 특성을 나타내고 오목형 경사지는 집중, 폐쇄, 결합의 공간 특성을 나타낸다. 경사도는 인간의 적응성, 차량의 등판, 계단 설치 등에 영향을 미치는데, 10°-30°의 경사도가 주택 건축이 가능하다. 경사면의 방위에 따라 일조, 통풍, 건물 배치 등의 조건이 달라지며 남향 경사면이 가장 유리하다. 이에 따라 경사도와 방위를 고려한 주동 배치 유형과 가로...
참고 자료
건설교통부, 건설교통통계연보, 2006
대한주택공사, 「판교지구 운중블록 공동주택 국제설계경기 도록집」 , 2006
서울시 시정 개발 연구원, 「구릉지 재개발 아파트의 대안적 형태 개발」,1995,
한국토지개발공사, 「지역의 자연특색을 활용한 주택지 개발」, 1987,
한국토지개발공사, 「구릉지 주거단지 개발」, 1988
Kevin Lynch, 주종원 역, 단지계획, 동명사, 1984,
Hubert Hoffman, “One Family Housing” Thames and Hudson, 1967
김진경, 김종인, “저층저밀 공동주거 단지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제2호. 2000
안정표, “경사지의 지형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형 주거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우동주, “경사지 집합주거 유형개발을 위한 현장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논문, 1993
이봉현, “경사지 주거건축의 공간구성 방식과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이신수, “한국도시 연립주거의 유형적 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91,
이준범, “중층․고밀 공동주거 계획기준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장성주, “경사지 주거건추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논, 1989,
전선화, “경사지 특성을 고려한 저층 집합 주택 계획안” 홍익대학교 건설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조원희, “저층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설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황인재, 양동양, "경사지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1985
현택수, “경사지 주택계획에 있어서 지형유형과 주동형식의 상관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0권 제1호, 1994
현택수, “경사지의 지형특성에 상응하는 저층집합주택의 기본유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황영현, “경사지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박소현 “경사지 특성을 고려한 저층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정선옥, “경사지 고층고밀 아파트의 대안으로서 저층고밀 집합주거단지의 계획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김창성.르 코르뷔제가 제시한 4가지 구성의 개념과 주택 작품 분석.2022.12.KIEAE Journal, vol.22, no.6, pp.111-118
김선관.시트로앙 주택.2017.1.16.더네이버
우지혜.[세계건축] 20세기 3대 거장 르 코르뷔지에 ‘빌라 사보아’.2020.7.7.문화뉴스
김종훈.새로운 혁신 주거의 전형을 보여주다.2014.8.5.매거진한경
장 장세르, 김교신 역, “르 꼬르뷔지에-인간을 위한 건축”, 시공디스커버리총서 54 시공사 1997.
이호정, ‘근대건축사’, 문운당, 2009,
김도식 외 “Le Corbusier 건축 작품 읽기”, 기문당. 2002
빌리 뵈지거, “르 꼬르뷔지에 작품과 프로잭트” 이관석 옮김 MGH and 맥 그로우힐, 한국에프시에스사, 2001,
안우진, ”현대 건축의 새로운 흐름”, 이문당,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