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배경
화학 시간에 산화-환원 반응에 대해 공부한 후, 산화 작용에 대해 알아보다가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인 항산화 작용에 대해 알게 되었다. 동아리 시간에 활성산소의 산화 작용을 줄이는 항산화제에 대해 조사한 적이 있는데, 이를 나의 진로 분야인 한의학과 연관지어 한약재에서의 항산화작용에 대해 탐구해보고 싶어서 주제를 선정하였다.
1.2. 연구 목적
한약재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한의학 분야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로서 화학 시간에 습득한 산화-환원 반응과 활성산소의 산화 작용, 그리고 항산화 작용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동아리 활동에서 조사한 항산화제와 관련하여 자신의 진로 분야인 한의학과 연관지어 한약재에서의 항산화작용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즉, 한약재에 함유된 성분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효능과 그 생화학적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1.3.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중 인삼, 감초, 천궁, 은행잎의 주요 항산화 성분과 그 작용 기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각 한약재에 함유된 주요 항산화 성분인 ginsenoside, glycyrrhizin, TMP, quercetin 등의 화학적 구조와 생화학적 작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한약재 성분들이 활성산소 제거, 항산화 효소 활성 증진 등의 기전으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최신 연구 동향을 조사하여 한약재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약재가 지닌 높은 항산화 효능과 그 작용 기전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통해 한약재의 항산화 효능과 관련 메커니즘을 고찰하는 것을 주요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우선 한약재 성분의 화학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화학 반응식 작성 프로그램인 'ChemSketch'를 활용하여 직접 관련 화합물을 그려보며 이해의 폭을 넓혔다. 또한 최근 발표된 국내외 논문을 통해 한약재의 항산화 효능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본 연구에 반영하였다. 이를 통해 한약재가 지닌 우수한 항산화 기능과 그 작용 기전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2. 한약재의 항산화 효과
2.1. 한약재의 생화학적 작용
한약재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작용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 생체 내 항산화 작용은 활성산소에 의해 일어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이다.
인삼의 성분 중 ginsenoside라는 glycoside가 주요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Ginsenoside는 지질과산화 정도를 감소시키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 효소와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킨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ginsenoside를 투여한 실험동물의 간에서 지질과산화가 약 30% 감소했으며, 이는 항산화 효소 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