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글라데시 건국 역사와 지리, 환경, 정치, 경제, 지출 산업 전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방글라데시 건국 역사
1.2. 방글라데시의 지리와 환경
1.3. 방글라데시의 정치 구조
1.4. 방글라데시의 경제 현황
2. 방글라데시의 최근 이슈
2.1. 인프라 개발 정책과 PPP 활성화
2.2. 내수 시장 성장과 제조업 투자 확대
2.3. IMF 구제금융 이행에 따른 경제 위기
3. 정치·경제 환경 분석
3.1. 정치 불안정 요인 및 원인
3.2. 대외 관계 및 외교 정책
3.3. 경제 성장과 산업 구조 변화
4. 주요 산업 및 지출 전략
4.1. IT 산업의 성장과 발전 전략
4.2. 섬유산업의 경쟁력과 육성 계획
4.3. 소비재 시장 및 제조업 투자 확대
5. 결론
5.1. 방글라데시 발전을 위한 시사점
5.2. 향후 과제와 정책 방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방글라데시 건국 역사
1971년 3월 26일, 방글라데시는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하여 주권 국가로 탄생하였다. 방글라데시는 영국 식민지배를 거쳐 1947년 파키스탄과 분리 독립했으나, 이후에도 지도층 암살, 수차례의 쿠데타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었다. 1991년 3월 20일 방글라데시 최초의 민선정부가 출범하면서 내각책임제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후 아와미 연맹(AL)과 방글라데시 국민당(BNP)이 번갈아 정권을 잡으며 현재까지 정치적 변화를 겪고 있다. 2009년부터는 아와미 연맹이 장기 집권하며 방글라데시의 정치 지형을 주도하고 있다.
1.2. 방글라데시의 지리와 환경
방글라데시는 남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로,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인도와 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이 자리 잡고 있고, 남쪽으로는 벵골만이 있다. 방글라데시의 지형은 대부분 평야와 삼각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토의 대부분이 갠지스강과 브라마푸트라강, 메그나강 등 주요 하천의 유역을 포함한다. 이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하천 삼각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방글라데시의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로 연중 고온다습하며, 연간 강수량이 1,200-2,400mm에 달할 정도로 강수량이 풍부하다. 우기에는 매년 홍수가 발생하여 국토의 3분의 2가 물에 잠기며, 건기에는 가뭄으로 인한 농업 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방글라데시 정부는 하천과 강 관리, 댐 건설 등 수자원 관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허리케인과 태풍 등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리적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방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방글라데시의 자연환경은 열대 기후와 다수의 하천, 삼림 등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나, 높은 인구밀도와 산업화로 인해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심각한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개발, 재생에너지 확대, 대기질 관리 등 다양한 환경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1.3. 방글라데시의 정치 구조
방글라데시는 1971년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도 지도층 암살, 수십 차례의 쿠데타에 이은 독재 등으로 정치 불안정이 지속되다가 1991년 3월 20일 방글라데시 최초 민선정부가 출범하였다. 정부의 형태는 내각책임제로 내각 총리가 실질적 권한을 행사한다.
방글라데시의 정당제도는 복수정당제를 인정하고 있어 40여개에 달하는 정당이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AL(Awami League)와 BNP(Bangladesh Nationalist Paryty) 두 정당이 번갈아 국가를 이끌고 있는 양당 체제이다. AL당은 벵갈민족주의·민주주의·세속주의·사회주의를, BNP당은 벵갈민족주의·민주주의·이슬람주의·자유시장주의를 지향한다.
현재 정치는 2009년부터 AL당(Awami League) 셰이크 하시나 총리가 집권하며 2013년, 2018년 총선에서도 연임에 성공하여 2023년 말까지 집권할 예정이다. 그러나 정치 주도권의 변화와 혼란, 야당의 불참 관행, 정당 간 갈등 등으로 아직까지 민주적 성숙이 이루어지지 못한 평가를 받고 있다.
1.4. 방글라데시의 경제 현황
방글라데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거듭하며 경제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IMF는 2020년 방글라데시의 GDP를 3,050억 달러, 1인당 GDP를 1,860달러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1인당 GDP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국내 소비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방글라데시는 식품, 미용, 프랜차이즈 등 소비재 및 관련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물류, 교통 분야의 스타트업들도 성장하며 신산업 발전을 이끌고 있다. 더불어 1.7억 명에 달하는 거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가전, 일반 소비재, 제조업 분야의 신규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 경제는 최근 IMF 구제금융 프로그램 이행에 따른 재정 긴축 및 통화정책 강화로 경제 위축 우려가 있다. 높은 재정적자와 물가상승, 통화가치 하락 등으로 수입시장이 경색될 가능성이 있어 해외기업의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2. 방글라데시의 최근 이슈
2.1. 인프라 개발 정책과 PPP 활성화
방글라데시는 경제 성장을 위해 인프라 부족을 가장 큰 장애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인프라 개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연차개발지출(ADP)의 35.4%를 인프라 개발에 집중하며, 특히 전력, 철도, 도로, 수자원 개발 분야에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방글라데시 정부는 2015년 PPP청(Public Private Partnership Authority Bangladesh)을 설립하여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 방식으로 인프라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PPP 방식을 통해 정부의 재정 부담을 낮추고 민간 투자를 확대하여 인프라 개발을 가속화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 인프라 개발 정책과 PPP 활성화 노력으로 방글라데시의 전력, ...
참고 자료
윤쥰모(2018), “인도의 정치 현황과 경제 및 교역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8권 제5호, pp. 229.
이나래(2020). “2020 인도 진출전략”, 「kotra 해외시장뉴스」, pp. 7-8.
「[Vol.24] 인도, 예스뱅크 모라토리엄 선언.. 금융개혁 촉매제 될까? 중국, 회사채 디폴트 급증.. 좀비기업 청산방침?」 (2020년 03월 20일). https://www.youtube.com/watch?v=3oSy0OZL0J0
「[Vol.27] EU, 코로나19로 자동차 소비 급감 / 인도, 코로나19 사태에 자국기업 보호 & 외국자본 규제 강화」 (2020년 05월 04일). https://www.youtube.com/watch?v=p3pjFak3H6k&t=160s
윤주희(2014). “방글라데시 정치불안의 원인과 정치제도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pp. 63-71.
이나래(2020). “2020 방글라데시 진출전략”, 「kotra 해외시장뉴스」, pp. 8-9.
김예진(2019).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_파키스탄”, 「한국수출입은행」, pp. 15.
이미라(2020). “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_파키스탄”, 「한국수출입은행」, pp. 3-5.
이나래(2020). “2020 파키스탄 진출전략”, 「kotra 해외시장뉴스」, pp. 10-11.
김강녕(2009). “한국스리랑카 정치외교협력 발전방안”, 「한국행정학회」, pp. 4-8.
이나래(2020). “2020 스리랑카 진출전략”, 「kotra 해외시장뉴스」, pp. 10-11.
권기철(2020). “스리랑카, 정치 분열로 테러 대응 실패”,「신흥지역정보종합지식포탈」, pp.1-2.
NAVER 지식백과. 두산백과(인도의 4대 상권도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57202&cid=40942&categoryId=40029
•세계도시정보
https://ubin.krihs.re.kr/ubin/mobile/wurban/city_info_intro.php?no=647
•NAVER 지식백과. 두산백과(인도의 도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185&cid=40942&categoryId=33371
NAVER 지식백과. 두산백과(인도의 향후 경제 전망)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5707&ref=y&cid=43780&categoryId=43781
NAVER 지식백과, 인도의 IT 산업 (인도 개황, 2018.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5697&cid=43780&categoryId=43781
NAVER 지식백과, 인도의 에너지 · 자원 개발 산업 (인도 개황, 2018.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5776&cid=43780&categoryId=43781
NAVER 지식백과, 인도의 종교 (인도 개황, 2018.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5804&cid=43780&categoryId=43781
NAVER 지식백과, 두산백과 (인도의 언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6923&cid=40942&categoryId=40029
NAVER 지식백과, 인도의 보건 (인도 개황, 2018. 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95802&cid=43780&categoryId=43781
이상진, “거대한 나라 인도(INDIA)”, 열린충남, 2007, pp.161.
김신주. "인도 경제에 관한 세 논문" VOL.- NO.- (2016)
최윤정 외 2명, “인도의 주요 산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07, pp.7
김찬완, “인도의 외교정책”, 한국외교통상부 서남아과 연구지원과제, 2011, pp, 3
위키백과(인도)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B%8F%84#%EC%A7%80%EB%A6%AC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Jeong, Mu-Seong.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7): 21-37.
Jeong, Mu-Seong. "지역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0): 169-189.
이수홍 기자. “태안군, 군사회복지협의회와 손잡고 취약계층 지원”. 데일리한국 (2024)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1618
네이버 “그라민 뱅크” 한경경제용어사전(2007)
김태홍 기자. “차별 없고 성평등한 사회, 빛나는 제주 원동력”. 제주환경일보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