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와의 관계
2. 본론
2.1. 박테리아 성장곡선
2.2. 박테리아 생장 주기
2.3. 박테리아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4. 박테리아 생장 측정 방법
3. 실험
3.1. 실험 목적
3.2. 실험 재료 및 기기
3.3. 실험 과정
3.4. 실험 결과
4. 결론
4.1. 실험 결과 고찰
4.2.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와의 관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박테리아 생장곡선과 지수함수와의 관계
박테리아의 생장곡선은 시간에 따른 개체군의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주로 S자 형태의 시그모이드 곡선의 모양을 띠며, 유도기, 지수기, 정지기, 사멸기의 4가지 주기로 구분된다.
박테리아가 지수 생장을 하는 지수기에는 개체 수가 지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수학적으로 기하급수 형태의 증가 패턴을 보인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수가 일정한 비율로 두 배씩 증가하는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N=N0*2^n의 형태가 된다. 여기서 N은 최종 개체수, N0는 초기 개체수, n은 지수 생장 기간 동안의 세대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박테리아의 지수 생장은 수학적인 지수함수 형태의 증가 패턴을 띠게 된다. 이는 세대시간(generation time)이 일정한 조건에서 처음 개체수와 최종 개체수를 측정하면 세대 수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대시간을 산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 박테리아의 성장곡선은 단순한 지수함수 형태가 아닌 S자 모양의 시그모이드 곡선을 나타낸다. 이는 환경 저항 요인으로 인해 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즉,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양분 부족, 독성 대사산물 축적, 공간 부족 등의 요인이 작용하여 생장이 점차 둔화되어 정지기와 사멸기로 이어지게 된다.
이처럼 박테리아의 생장곡선은 지수함수적 증가 양상을 보이지만, 실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S자 형태의 시그모이드 곡선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박테리아의 생장 동력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수함수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본론
2.1. 박테리아 성장곡선
박테리아 성장곡선은 박테리아의 생장 과정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박테리아의 생장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지체기(lag phase)로, 새로운 배지에 접종된 박테리아가 증식을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박테리아는 효소, 리보솜, 핵산, ATP 등 증식에 필요한 요소들을 합성한다. 접종 균의 상태와 배지의 상태에 따라 지체기의 길이가 달라진다.
두 번째는 지수기(exponential phase)로, 박테리아가 일정한 비율로 분열하면서 세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박테리아는 항생물질과 화학물질에 가장 민감한 상태이다. 지수기가 지나면서 영양분 부족과 노폐물 축적 등으로 인한 환경저항으로 인해 정지기로 전환된다.
세 번째는 정지기(stationary phase)로, 에너지와 영양분이 고갈되면서 세포 수의 증가와 감소가 평형을 이루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살아남은 세포들은 이차 대사물질을 합성하고 화학적 특성을 유지한다. 정지기의 지속 시간은 종과 환경 요인에 따라 다르다.
네 번째는 사멸기(death phase)로, 세포들이 일정한 비율로 사멸하면서 전체 세균 수가 감소하는 시기이다. 세균 사멸은 대수적으로 일어나지만, 보통 세포가 대수기에서 증식하는 것보다 훨씬 천천히 죽어간다.
이러한 박테리아의 생장 단계는 배양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온도, 수분, pH, 산소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2.2. 박테리아 생장 주기
박테리아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인 생장 양상을 보이는데, 크게 유도기, 지수기, 정지기, 사멸기의 4단계로 구분된다.
유도기는 새로운 배지에 접종된 박테리아가 증식을 위해 필요한 효소, 리보솜, 핵산, ATP 등을 합성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세균의 수는 즉시 증가하지 않는다. 유도기의 시간은 접종균의 상태와 배지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지수기에는 세포가 일정한 비율로 분열하며 세포 수가 동일한 백분율로 증가한다. 이 기간 동안 세균은 항생물질과 화학물질에 가장 민감하므로 의학적으로 중요하다. 지수기 후반으로 갈수록 영양분 부족과 노폐물 축적 등의 환경저항으로 인해 정지기로 전환된다.
정지기는 에너지와 영양분 공급이 고갈되어 세포의 증식과 사멸이 균형을 이루는 시기이다. 정지기 동안 생존 가능한 세포들은 이차 대사물질을 합성하고 화학적 특성을 유지한다.
사멸기에는 세포들...
참고 자료
유주현, 변유랑 외, 「응용 미생물학 실험」, 효일, p.96 탁도에 의한 측정법과 생육곡선
홍태희 외 6명, 「식품 미생물학 & 실험」, 지구문화사, p.178 미생물의 생육 및 생육곡선
미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미생물학 실험」, 월드 사이언스, p.44 미생물의 발육 조건
Brock, Madigan 외 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바이오사이언스, p.147 지수생장의 개념 및 미생물의 생장주기
이건형 외 17명, 「일반미생물학」, 교보문고, p.91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탁도 측정
http://100.naver.com/ , 2012년 5월 27일 참고, 용어 및 생장곡선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 2012년 5월 27일 참고, 미생물의 지수생장 및 생존여건
약공학과 싸이월드 클럽 2학년 미생물실험 자료 3. 박테리아 생장곡선
http://100.naver.com/100.nhn?docid=74878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019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50074
http://www.scienceall.com/knowledgeQnA/knowledge.sca?QueNo=72425&todo=KnowledgeView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7757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9952
http://n.breaknews.com/sub_read.html?uid=179092§ion=sc13
http://100.naver.com/100.nhn?docid=116062
http://cafe.naver.com/kanganimc/29
http://blog.naver.com/joylabnet?Redirect=Log&logNo=10115115069
http://blog.naver.com/ostrich74?Redirect=Log&logNo=130116824737
http://blog.naver.com/taime7?Redirect=Log&logNo=140132742320
Brock(2011), 미생물학, 바이오사이언스(주), p.142
op.cit. p.147~148 (그림 6.8, 6.9 포함)
op.cit. p.149
op.cit. p.150 (그림 6.10 포함)
op.cit. p.157 (그림 6.17 a,b,c 포함)
이장훈(2001), 환경미생물학실험, 동화기술, p.157~159
사이언스올 과학백과사전, '대변장구균, 대장균' (그림 포함)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47282&bbsid=619&popissue
김창한(2004), 식품미생물학, 유한문화사, p.286
Daniel C. Harris(2007), 분석화학, 자유아카데미, p.468,469,523~528,534
hyejongs, 생장측정(흡광도 측정)-미생물 실험, 2006.05.04, 2013.04.25,
http://blog.naver.com/hyejongs?Redirect=Log&logNo=10003937551
zigzaqq, 배지-TSB(Tryptic Soy Broth), 2006.08.29, 2013.04.25,
http://blog.naver.com/zigzagq?Redirect=Log&logNo=100028008056
more8080, 분광광도계, 2011.10.04, 2013.04.2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ore8080&logNo=139529869
http://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langpair=en|ko&u=http://en.wikipedia.org/wiki/Cuvette (그림 포함)
정승남, UV/VIS 분광광도계 큐벳선택방법, 2006.05.01, 2013.04.25,
http://www.tglab.co.kr/?pg=commu/sub_03&page=read&code=03-03&no=2056&pno=3&key=&ss=on&sc=off&sn=on&cate=&brd_code=commu-003&PHPSESSID=1380b23e26ac9daa83b4e8e72aa9e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