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요로감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요로감염의 정의 및 원인
2.2. 요로감염의 증상
2.3. 요로감염의 진단방법
2.4. 요로감염의 합병증 및 예후
2.5. 요로감염의 치료
2.6. 요로감염의 간호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대상자 간호력
3.1.2. 신체사정
3.1.3. 특수치료 및 검사소견 기록
3.1.4. 진단적 검사 및 결과
3.1.5. 투약기록
3.2. 대상자 간호과정 기록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요로감염은 소아에게 흔한 세균 질환 중의 하나이다. 조기에 진단하지 못하면 신장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혈압과 신부전이 올 수 있다. 하지만 영유아 시기에는 전형적인 증상보다는 고열만을 보이는 경우가 흔해서 조기 진단이 어렵다. 급성 신우신염이란, 신장의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병하는 요로감염으로 인체 내에서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신우신염은 재발률이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인 질병이다. 따라서 본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인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에게 좀 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요로감염의 정의 및 원인
요로감염은 세균, 바이러스 또는 곰팡이가 원인이 되어 요도, 방광, 요관, 신우 및 신실질과 같은 요로 부위에 감염이 발생하는 질환이다.요로감염은 아동에게 흔한 질병 중 하나이며, 아동의 약 7%가 요로감염을 경험한다. 특히 여아, 코카시아인, 그리고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아에서 발병률이 높다. 신생아와 만 1세 미만의 영아에서 요로감염 발병률이 가장 높으며, 이는 해부학적 구조와 관련이 있다. 요로감염은 대부분 대장균이 원인이 되며, 그 외에도 Proteus mirabilis,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Enterobacter, Enterococcus,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등의 세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들 요로 감염균들은 주로 소화기계에서 요도 부위로 이동하여 방광으로 상행하면서 감염을 일으킨다. 요로감염의 발생에는 해부학적, 생리학적, 화학적 요인과 함께 숙주의 요로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2.2. 요로감염의 증상
요로감염은 나이와 성별,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신생아의 경우 설명할 수 없는 열, 저체온, 성장 지연, 영양 부족, 구토와 설사, 강한 냄새의 소변 등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2세 미만의 아동에서 원인 모를 열이 있다면 반드시 요로감염 검사를 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아동에서 요로감염은 무증상으로 나타나며, 정기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아동의 경우 고열, 녹변, 설사, 처짐 등의 증상을 보인다. 요로감염의 증상은 감염 부위와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2.3. 요로감염의 진단방법
소변 검사를 통해 요로감염을 진단한다. 요로감염의 진단은 농뇨(pyuria)와 소변 배양검사에서 단일 미생물이 최소 50,000 집락이 있는 경우 둘 다를 만족해야 한다. 소변 배양검사에서 한 종류의 세균이 100,000개 이상의 집락형성단위를 보이거나, 무균 도뇨관 검체에서 한 종류의 세균이 10,000개 이상의 집락형성단위가 배양되면 요로감염으로 진단한다.
소변 검사로 요로감염을 진단하는 것이 어려운데, 특히 영아와 어린 아동의 경우 그렇다. 소변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으며, 임상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변 검체를 무균적으로 채취하거나 치골상부 천자를 통해 채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요로감염의 진단을 위해 반드시 요배양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이 외에도 초음파검사나 배뇨성 방광요도조영술(VCUG) 등의 추가 검사를 통해 요로의 해부학적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요로감염이 재발하거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이러한 추가 검사가 필수적이다.
2.4. 요로감염의 합병증 및 예후
단순 신우신염은 항생제 치료 후 수일 내에 호전되고 특별한 후유증을 동반하지 않는다. 그러나 요로 폐쇄가 있거나 신장 농양이 동반된 복합 신우신염의 경우 초기에 입원치료 및 주사 항생제가 필요하며, 기존 질환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9305&cid=63166&categoryId=51023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 이윤미, 박찬경, 홍은영, 박효진, 김경남 외, 수문사, 2019
근거기반 간호과정 /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수문사,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Ⅱ / 김영혜, 권봉숙, 김소희, 김정미, 서지영 외, 수문사, 2021
대한 진단 검사 의학회 https://www.kslm.org/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급성신우신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김영혜 외(2020),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247-249
MSD 매뉴얼 일반인용, 소아의 요로 감염(UTI)
약학정보원
2018-2020NANDA 간호진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