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바르부르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바르부르크 효과
2.1. 정의
2.2. 바르부르크 효과의 특징
2.3. 바르부르크 효과의 작용 기전
3. 역 바르부르크 효과
3.1. 정의
3.2. 역 바르부르크 효과의 작용 기전
4. 종양 가소성
4.1. EMT(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4.2. TAM(Tumor-Associated Macrophage)
4.3. CAF(Cancer Associated Fibroblast)
4.4. 암세포 유래 엑소좀
5. 종양가소성 표적 항암제
5.1. 종양연관 대식세포 표적 항암제
5.2. 엑소좀 이용 항암제
5.3. CAF 억제제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서론
암은 질병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질병이다. 암이 발생하면 일반적인 치료법인 수술, 방사선 요법, 항암제 투여 등을 통해 치료를 하지만, 완치율이 낮고 재발률이 높다. 이에 따라 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암세포가 주변 세포와 물질을 변화시켜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을 만드는 '종양 가소성'이 암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종양 가소성에 대한 이해와 이를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종양 가소성의 기전을 살펴보고, 이를 저해할 수 있는 차세대 항암 치료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바르부르크 효과
2.1. 정의
가소성이란 어떤 유전자형의 발현이 특정한 환경 요인을 따라 특정 방향으로 형질전환하는 성질이다. 종양 가소성의 종류로는 상피세포가 중간엽 또는 줄기세포 유사 세포로 형질전환하는 '암세포 가소성(EMT)', 종양 친화적 기질세포로 형질전환하는 '기질세포 가소성(TAM, CAF)', 종양 친화적인 기질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기질성분 가소성(암세포 유래 엑소좀)'이 있다. 즉, 종양 가소성은 종양이 쉽게 전이되고 자라기 위해 주위 세포나 세포물질을 바꾸어 종양 친화적인 미세환경을 형성하는 성질이다.
2.2. 바르부르크 효과의 특징
암세포는 포도당의 높은 수준의 흡수 및 특정 대사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작동함으로써, 포도당의 대사 반응인 해당과정이 시트르산 회로(TCA 회로) 및 전자전달계로의 정상적인 흐름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암세포는 호기성 조건에서도 에너지를 얻기 위해 발효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기능 부전의 미토콘드리아가 암 발생의 주요 원인일 수 있다. 또한 암세포에서 피루브산이 대부분 젖산발효 과정으로 이어지면서, 젖산과 H+이온이 다량 생성되어 방출되는데, 이 자극에 의해 염증 세포가 활성화되고 이 종양 주위 미세 환경이 암의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형성하여 암이 형성된다. 이처럼 바르부르크 효과는 암세포가 산소호흡을 대체하는 에너지 생성 경로를 항진시켜 무산소호흡인 발효에 의한 에너지 생산에 의존하는 특징을 보인다.
2.3. 바르부르크 효과의 작용 기전
암 세포는 전자전달계와 미토콘드리아의 정상적인 호흡이 억제되어 해당과정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 과정에서 포도당을 과도하게 섭취하고 젖산을 다량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젖산과 수소 이온이 세포 외부로 방출되어 주변 환경을 산성화시킨다. 이러한 산성 환경은 정상 세포의 사멸을 유발하지만 암 세포는 내성을 가져 생존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염증 반응은 암 세포의 성장과 침윤을 돕는다. 즉, 암 세포는 정상적인 호흡 대...
참고 자료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연구를 통한 조직섬유화 조절 타겟 발굴(2012.06, 곽미경, 교육과학기술부)
때론 ‘잡초’ 같은, 또는 ‘집사’ 같은 암연관섬유아세포(CAF) (2023.01.06, 이우상, 모바일한경)
대한화학회 화학백과
세포 정보 담은 엑소좀, 암 성장 및 전이를 조절한다(2017.06.02, 조정민, 바이오스펙테이터)
암 전이 억제 할 수 있는 새로운 조성물 개발(2022.12.20, 윤병기, 후생신보)
아론티어, 美 AACR서 CAF 치료제 비임상 결과 공개(2023.04.25, 남대열, HIT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