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춘천시민의 30~40 남성을 위한 비만예방과 건강한 생활습관 만들기 보건교육 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춘천시민의 30~40대 남성을 위한 비만예방과 건강한 생활습관 만들기 보건교육 계획안
1.1. 지역사회 간호사정
1.2. 지역사회 건강문제 도출 및 진단
1.2.1. 낮은 예방접종률
1.2.2. 고혈압
1.2.3. 비만
1.3. 건강문제 우선순위
1.4. 보건교육계획안
1.5. 보건교육평가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춘천시민의 30~40대 남성을 위한 비만예방과 건강한 생활습관 만들기 보건교육 계획안
1.1. 지역사회 간호사정
강남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자치구로, 높은 재정자립도와 우수한 의료자원, 양호한 건강지표를 보유하고 있다. 강남구의 인구 현황을 살펴보면, 지속적인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총인구는 551,888명(2018년 2분기 기준)으로 서울시 자치구 평균인구(394,297명)을 크게 웃돌고 있다.
강남구 인구의 연령별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인구 구조가 항아리형으로 서울시 및 전국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19세 이하 및 50-54세 연령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여성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여건이 뛰어나 학령기 자녀 가구 유입이 많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남구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의 지속적인 증가는 의료지출 증가에 대한 우려를 발생시킨다. 기존 강남구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의료·편의 서비스를 기대하는 부유노년층의 강남 회귀도 예상되고 있다.
수서동, 일원동, 세곡동 등 강남구 내 일부 지역에서는 기초생활수급권자와 장애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강남구민의 전반적인 건강수준은 높은 편이다. 강남구의 기대수명은 84.8세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으며, 건강수명 또한 73세로 서울시 평균 69.7세보다 높다. 강남구민의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도 2017년 54.4%로 서울시 평균 45.8%에 비해 높은 편이다.
그러나 강남구에서도 흡연, 음주, 비만 등의 건강행태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흡연율은 2016년 이후 소폭 증가 추세이며, 월간음주율과 고위험음주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혈압과 당뇨병 진단 경험률, 만성질환 유병률이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다.
또한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도 증가 추세이며, 이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요인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한편 영양 섭취와 관련하여 저염식 실천 노력과 영양표시 활용률은 높은 편이나, 영양교육 및 상담 수혜율은 낮은 편이다.
운동 실천과 관련해서는 걷기 실천율과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이 증가 추세이나, 체육활동 미참여 이유 중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직장인 등 성인 남성의 신체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강남구의 보건의료 자원 현황을 살펴보면, 의료기관 수가 2,599개소, 병상 수가 8,082개, 종사인력이 21,038명으로 매우 풍부한 편이다. 그러나 의료기관이 특정 지역(신사동, 압구정동 등)에 편중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의료접근성이 낮은 지역(수서동, 세곡동, 일원동 등)도 존재한다. 이에 수서분소와 세곡건강증진센터를 운영하여 의료 취약지역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1.2. 지역사회 건강문제 도출 및 진단
1.2.1. 낮은 예방접종률
춘천시민 30~40대 남성의 낮은 예방접종률은 큰 보건 문제이다. 영유아 완전접종률은 90.1%로 서울시 평균 92.6%보다 낮으며, 취학 전 아동 예방접종 완료율도 89.7%로 서울시 평균 91.4%보다 낮은 편이다. 또한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도 77.7%로 서울시 평균 81.4%...
참고 자료
고혈압 - 만성질환건강통계 – 질병관리청
KOSIS 국가 통계 포털- 강남구 고혈압
비만예방의 날, 주간 건강과 질병, 제12권 제40호, 대한비만학회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2018~2022), 보건복지부
코로나19시대 국민 체중 관리 현황 및 비만 인식 조사, 대한비만학회
https://kosis.kr/search/search.do
고혈압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22
https://socialstory.kr/3505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75936120312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56459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5998&cid=58572&categoryId=58572
https://www.fnnews.com/news/202106081044253419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
제 7기 강남구 지역보건의료계획
[자가 진단] 나도 혹시 고혈압? 함께 체크해봐요↗ 오늘, 굿데이(goodday) 155회
https://youtu.be/4tNSgcsHvmw
홍천군 고혈압,당뇨병등록교육센터
https://www.hongcheon.go.kr/hchd/contents.do?key=1323
통계자료 : 한국 성인의 비만 유병률 추이, 질병관리본부
뉴스 스크랩
국내 성인 남성 52%·여성 25% ‘월 1회 이상 폭음’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706370
30대 남성 건강 적신호…운동부족에 비만·고혈압 환자↑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08886619404736&mediaCodeNo=257&OutLnkChk=Y
야근과불규칙한 근무가 '심혈관질환' 부른다?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08886619404736&mediaCodeNo=257&OutLnkChk=Y
최은숙, 이계희, 하영미 외 공저.(2023).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3판). 서울: 학지사메디컬
지영미.(2024). 2023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지역금연팀.(2023). 2024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금연) 지침.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2024). 흡연.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20501060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2021). 음주.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97
경상북도 정신건강통계.(2022). 음주. https://www.gbmhs.or.kr/0000050
KOSIS 국가통계포털.(2024). 흡연율, 음주율, 비만율. https://kosis.kr/index/index.do
포항시청. https://www.pohang.go.kr/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