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가렛 에드먼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나이팅게일과 마가렛 에드먼즈의 일생
1.2. 나이팅게일과 마가렛 에드먼즈의 업적
1.3. 위인들의 업적에 대한 나의 생각
2. 본론
2.1. 나이팅게일의 업적
2.1.1. 크리미아 전쟁 당시의 업적
2.1.2. 영국군 의료체계 개선 활동
2.1.3. 간호교육 및 간호정책 개선 활동
2.2. 마가렛 에드먼즈의 업적
2.2.1. 한국 최초 간호학교 설립
2.2.2. 한글 간호학 교과서 발간
2.2.3. 간호협회 조직 및 활동
3. 결론
3.1. 나이팅게일의 업적에 대한 평가
3.2. 마가렛 에드먼즈의 업적에 대한 평가
3.3. 위인들의 업적이 현대 간호에 미친 영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나이팅게일과 마가렛 에드먼즈의 일생
나이팅게일은 1820년 5월 12일 영국의 부유한 상류층 가정에서 둘째 딸로 태어났다. 17세 때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돌보는 일에 평생을 바치겠다고 선언하였으며, 부모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뜻을 굽히지 않았다. 1837년 이탈리아 여행 중 만난 스위스 사회주의자 시스몽디의 영향으로 청소년 시절부터 가난한 이웃들에게 관심이 많았고, 1853년 런던 숙녀 병원의 간호부장이 되었다. 1854년 크림 전쟁 당시 38명의 선발 간호사와 함께 전쟁터인 스쿠타리에 도착하여 영국군 야전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하였고, 열악한 의료 환경을 개선하고자 위생과 간호 문제에 대한 개혁을 단행하여 사망률을 42%에서 2.2%로 낮추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1860년 나이팅게일 간호학교를 설립하여 임상간호사를 양성하고 지역사회 간호사 양성을 통해 병들고 가난한 자들을 돌보는데 힘썼으며, 이 밖에도 많은 병원 및 간호 시설의 창립과 개선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오랜 식민지였던 인도의 심각한 위생상태 개선을 위해 약 40년간 헌신하였고, 여성 참정권 주장을 통해 간호 분야를 넘어 사회 전반적인 영향을 끼쳤다.
마가렛 에드먼즈는 1871년 캐나다 온타리오에서 태어났다. 1892년 미시간대학교 간호원 양성학교를 졸업하고 오하이오에서 7년간 간호사로 일했다. 1900년 한국 보구여관의 선교사 커틀러의 요청으로 간호사 양성을 위해 한국행을 결심하였고, 1903년 3월 한국에 도착하여 그해 12월 정동 보구여관에 한국 최초의 간호학교를 설립하였다. 에드먼즈는 간호사 복장과 규칙 제정, 간호 용어 제정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고, 1906년 2명의 첫 한국인 간호사를 배출하였다. 또한 세브란스병원의 간호사 양성 학교 설립에 협력하였으며, 1908년 한글 간호학 교과서를 번역 출판하는 등 한국 간호교육 발전을 위해 힘썼다. 1908년 결혼 후에도 군산과 목포에서 간호 사역과 복음 사역을 병행하다가 1945년 광복을 보고 74세의 나이에 서거하였다.
1.2. 나이팅게일과 마가렛 에드먼즈의 업적
나이팅게일은 1854년 크림 전쟁 당시 38명의 선발 간호사와 함께 전쟁터인 스쿠타리에 도착하여 영국군 야전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당시 병사들을 소모품 정도로 생각한 군부의 편견으로 인해 부상병을 위한 시설은 불결하고 해충이 들끓는 열악한 환경이었으며, 보급품과 의약품도 부족하였다. 나이팅게일은 이에 대한 위생과 간호 문제를 개선하고자 개혁을 단행하였다. 구체적인 통계자료를 제시하여 군정부에 지원을 요청하였고, 결국 영국의 지원을 받아 사망률을 42%에서 2.2%로 줄이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또한 1860년 영국 국민의 기부금으로 토마스 병원 내에 나이팅게일 간호학교를 설립하여 임상간호사를 양성하고 지역사회 간호사 양성을 통해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데 힘썼다. 이 외에도 많은 병원과 간호시설의 창립 및 개선에 힘썼고, 남북전쟁과 프로이센, 프랑스 전쟁 당시 외국 정부의 고문으로 활약하였다. 특히 영국의 오랜 식민지였던 인도의 심각한 위생상태를 개선하고자 약 40년간 헌신적으로 노력하였다.
한편 마가렛 에드먼즈는 1903년 12월 보구여관에 한국 최초의 간호 교육기관인 보구여관 간호원 양성학교를 설립하여 간호사 교육을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한글도 제대로 모르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간호학, 해부학, 생리학, 위생학 등 당시 첨단 교육을 6년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에드먼즈는 간병인을 뜻하는 용어로 '간호원'이라는 용어를 새롭게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또한 1908년에는 첫 한글 간호학 교과서인 '간호교과셔'를 번역, 편찬하여 출판하였다. 에드먼즈는 보구여관 간호원 양성학교와 세브란스병원 간호사 양성학교가 상호 협력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참고 자료
간호학개론 현문사
간호학대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97434&cid=55558&categoryId=55558
에드먼즈-쉴즈-셰핑, 트로이카 체제로 朝鮮 간호계 이끌다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I&nNewsNumb=201505100059
이화여대,‘한국 간호교육의 효시를 만나다’ 특별전시회 http://news.mt.co.kr/mtview.php?no=2011112315398242108&type=1
한국 최초 간호교육기관 설립한 에드먼즈 탄생 140주년 기념행사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5&idx=13070
[네이버 지식백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Florence Nightingale] - 현대 간호학의 창시자이며 군 의료 개혁의 선구자 (인물세계사, 박중서)
[네이버 지식백과] 나이팅게일 (만화로 보는 교과서 인물)
[나무위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중앙일보] 시사칼럼, [권복규의 의료와 세상]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사, 중앙일보,2018-08-20
[네이버블로그] 더세움교회, 2017. 02월 이달의 인물(국외): 마가렛 제인 에드먼즈 선교사 [Margaret Jane Edmunds, 1871-1945], 2017-01-28
[이화여자대학교] 이화뉴스, “보구여관 간호원 양성학교 설립자 故 마가렛 제인 에드먼즈 선생 후손 방문, 국민훈장 동백장 기증”, 2015-06-18
[네이버블로그] 새얀, “선교간호사 에드먼즈의 업적과 한국에의 영향”, 200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