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왕절개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제왕절개 수술의 정의 및 특성
1.2. 제왕절개 분만의 증가 추세
1.3.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 증가
2. 본론
2.1. 제왕절개 적응증
2.1.1. 모체 측 요인
2.1.2. 태아 측 요인
2.1.3. 태반 측 요인
2.1.4. 기타 요인
2.2. 제왕절개 수술 과정
2.2.1. 수술 준비 및 계획
2.2.2. 수술 방법 및 절개 유형
2.3. 제왕절개 수술의 장단점
2.3.1. 장점
2.3.2. 단점
2.4. 제왕절개 수술 전후 간호
2.4.1. 수술 전 간호
2.4.2. 수술 후 간호
3. 결론
3.1. 제왕절개 분만의 의의와 전망
3.2.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간호학적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제왕절개 수술의 정의 및 특성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벽과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수술이다. 이는 질강 분만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자궁 외 복부임신이나 자궁파열 후 태아를 개복하여 꺼내는 수술은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 수술기술과 무균조작법, 의료기술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성사망률이 큰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 높으므로 가급적 자연분만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제왕절개 수술에는 다양한 절개 유형과 방법이 사용되며, 주요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 심각한 임신중독증, 전치태반, 태아곤란증 등이 있다. 제왕절개 수술의 장점으로는 응급상황 대처가 가능하고 분만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나, 단점으로는 회복 속도가 더디고 통증이 심하며 자연분만에 비해 출혈량이 많다는 점 등이 있다. 따라서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선택되는 분만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제왕절개 분만의 증가 추세
제왕절개 분만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들어 제왕절개 분만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반복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높은 비율에 기인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이 전체 출산의 약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이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제왕절개 분만의 안전성이 향상되었고, 산모와 의사 모두 제왕절개를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과거 제왕절개 수술을 받은 산모들의 경우 다음 출산 시에도 반복적으로 제왕절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제왕절개 분만이 누적되고 있다. 이처럼 제왕절개 분만의 증가는 의료기술의 진보와 함께 산모와 의사의 선호도 변화, 그리고 과거력에 의한 반복수술 증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3.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 증가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필요성 및 관심 증가이다. 최근 의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위험성이 있지만 기존의 질식 분만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되고 있다. 또한 고령 산모와 다태아 임신 등 고위험 임산부의 증가로 인해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 분만이 필요한 다양한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2. 본론
2.1. 제왕절개 적응증
2.1.1. 모체 측 요인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은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 크기에 비해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정상적인 질식 분만이 어려운 경우이다. 아두골반 불균형은 모체 측 요인에 해당한다.
아기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보다 크면 정상적인 출산 과정에서 아기의 통과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산모의 골반 크기와 태아의 크기를 x-ray나 초음파 등으로 확인하여 불균형의 정도를 파악한다. 아두골반 불균형이 심한 경우 산모나 태아에게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제왕절개술이 필요하다.
과거에 제왕절개 분만을 한 경험이 있는 산모 또한 모체 측 요인에 포함된다. 이전 제왕절개 수술로 인해 자궁 반흔이 형성되어 다음 분만 시 자궁 파열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반복 제왕절개술이 필요하다.
중증 고혈압성 질환, 심장병 등의 모체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질식 분만이 어렵거...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수문사
간호학대사전(대한간호학회)
여성건강간호학 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현문사
모성간호학 정문숙 저 정담미디어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최연순 외 8인,수문사
모성 및 부인간호학, 하영수,이경혜, 신광출판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국가정보관리포털, 제왕절개,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index.jsp
MDS메뉴얼, 제왕절개, https://www.msdmanuals.com
대한산부인과학회, 제왕절개퇴원후 교육 동영상, https://www.ksog.org/bbs/?code=vod1&mode=view&number=6330